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영보(李英輔)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601BCF4B1687X0
자(字)몽여(夢與)
호(號)동계(東溪)
생년1687(숙종 13)
졸년1747(영조 23)
시대조선중기
본관연안(延安)
활동분야학자 > 유생
이화신(李華信)
평산신씨(平山申氏)
외조부신정(申楨)
저서『동계유고』

[상세내용]

이영보(李英輔)
1687년(숙종 13)∼1747년(영조 23). 조선 후기의 학자.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몽여(夢與), 호는 동계(東溪). 통덕랑 이화신(李華信)의 아들이며, 모친은 평산신씨(平山申氏)신정(申楨)의 딸이다.

유가의 경전은 물론 제자백가에 통하였다. 『사기(史記)』를 깊이 연구하여 역사학에도 일가견을 가지고 고대 인물의 선과 악, 정치의 잘잘못을 기탄없이 비판하였다.

특히 당시에 이단으로 지목되던 『장자』『이소경』『노자』 및 불경 등을 깊이 연구하여 유가의 경전과 비교분석한 뒤 옳은 것은 인정하고 그르다고 인정되는 것은 비판하였다.

1714년(숙종 40) 진사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1717년 정릉참봉(靖陵參奉)에 기용된 뒤 순탄하게 관계에 있다가 1743년(영조 19) 금성현령을 끝으로 사직한 뒤 고향으로 돌아와 후진을 육성하면서 지냈다. 마을에 충신과 효자, 열녀 등을 찾아 포상을 상신하고 정려각을 세우는 등 지방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저서로는 『동계유고』 4권이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대표명이영보(李英輔)
성명이영보(李英輔)

성명 : "이영보(李英輔)"에 대한 용례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