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덕(金大德)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E40B300B355B1577X0 |
자(字) | 득지(得之) |
호(號) | 소봉(蘇峰) |
호(號) | 이안당(易安堂) |
생년 | 1577(선조 10) |
졸년 | 1639(인조 17)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광산(光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김원상(金元祥) |
생부 | 김원록(金元祿) |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대덕(金大德)
1577년(선조 10)∼1639년(인조 1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득지(得之), 호는 소봉(蘇峰)‧이안당(易安堂).
부친은 동지돈녕부사 김원록(金元祿)이며, 큰아버지 감찰 김원상(金元祥)에게 입양되었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이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검열을 거쳐 1603년에 대교가 되었다.
1617년(광해군 9)에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에 유폐시키려는 폐모론에 극력 반대하다가 삭직당하였다. 인조반정 후 사간이 되어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의 잘못을 주장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이 포위되자, “척화신(斥和臣)을 적에게 보내자.”고 주장하는 자들에게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인조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화를 부를 소지를 없앴다. 벼슬이 참판에 이르렀다.
글씨에 뛰어났는데, 초서‧예서에 능하였다.
부친은 동지돈녕부사 김원록(金元祿)이며, 큰아버지 감찰 김원상(金元祥)에게 입양되었다.
1601년(선조 34) 진사가 되고, 이해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가 되었다.
이듬해 예문관검열을 거쳐 1603년에 대교가 되었다.
1617년(광해군 9)에 인목대비(仁穆大妃)를 서궁에 유폐시키려는 폐모론에 극력 반대하다가 삭직당하였다. 인조반정 후 사간이 되어 인조의 사친추숭(私親追崇)의 잘못을 주장하였다.
1636년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이 포위되자, “척화신(斥和臣)을 적에게 보내자.”고 주장하는 자들에게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인조의 동의를 얻음으로써 화를 부를 소지를 없앴다. 벼슬이 참판에 이르렀다.
글씨에 뛰어났는데, 초서‧예서에 능하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海東號譜
東國文獻 筆苑編
槿域書畵徵
仁祖實錄
國朝人物考
國朝榜目
海東號譜
東國文獻 筆苑編
槿域書畵徵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