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홍도(朴弘道)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BC15D64DB3C4B1576X0 |
자(字) | 자수(子修) |
생년 | 1576(선조 9) |
졸년 | 1623(광해군 15)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죽산(竹山)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박문영(朴文榮) |
조부 | 박윤한(朴允韓) |
외조부 | 유륜(兪綸) |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홍도(朴弘道)
1576년(선조 9)∼1623년(광해군 15).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자수(子修).
박윤한(朴允韓)의 손자이고, 박문영(朴文榮)의 아들이며, 모친은 유륜(兪綸)의 딸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에 제수되었다.
그뒤 1613년에 지평‧문학을 거쳐 다음해 헌납이 되었으며, 이어 홍문관수찬을 역임하였다.
그뒤 1615년 이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617년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와 금산군(錦山君) 이성윤(李誠胤) 등 19인이 이이첨(李爾瞻) 무리들의 횡포를 탄핵하는 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삼사의 공격을 받아 이들과 함께 변방으로 위리안치되었다.
그러나 뒤에는 오히려 이이첨의 무리들과 연루된 혐의로 1623년(인조 즉위) 좌부승지로 재직중 참형당하였다.
박윤한(朴允韓)의 손자이고, 박문영(朴文榮)의 아들이며, 모친은 유륜(兪綸)의 딸이다.
1610년(광해군 2)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언에 제수되었다.
그뒤 1613년에 지평‧문학을 거쳐 다음해 헌납이 되었으며, 이어 홍문관수찬을 역임하였다.
그뒤 1615년 이조정랑을 역임하였다.
1617년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와 금산군(錦山君) 이성윤(李誠胤) 등 19인이 이이첨(李爾瞻) 무리들의 횡포를 탄핵하는 소를 올렸다가 오히려 삼사의 공격을 받아 이들과 함께 변방으로 위리안치되었다.
그러나 뒤에는 오히려 이이첨의 무리들과 연루된 혐의로 1623년(인조 즉위) 좌부승지로 재직중 참형당하였다.
[참고문헌]
光海君日記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집필자]
조병로(趙炳魯)
명 : "홍도(弘道)"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