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한복윤(韓復胤)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55CBCF5C724B1574X0
자(字)원길(元吉)
호(號)수암(睡庵)
생년1574(선조 7)
졸년1660(현종 1)
시대조선중기
본관청주(淸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한현(韓顯)
생부한옹(韓顒)
생모온양정씨(溫陽鄭氏)
저서『수암유고』

[상세내용]

한복윤(韓復胤)
1574년(선조 7)∼1660년(현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원길(元吉), 호는 수암(睡庵).

부친은 사간 한옹(韓顒)이며, 모친은 온양정씨(溫陽鄭氏)정숙(鄭琡)의 딸이다. 큰아버지인 현감 한현(韓顯)에게 입양되었다.

1611년(광해군 3)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서 학업을 닦았다.

1617년 「태학연명소(太學聯名疏)」를 올려 폐모론을 주창하던 이위경(李偉卿)정조(鄭造)윤인(尹訒) 등을 탄핵하고 폐모의 옳지 않음을 주장하다가 광해군에게 미움을 사서 종신금고의 처분을 받고 도성에서 축출되었다.

그뒤 향리로 돌아가 은거하면서 학문을 연구하고 후진의 교육에 전념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 후에 정릉참봉(靖陵參奉)과 금오랑(金吾郞) 등에 제수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저서로는 『수암유고』가 있다.

[참고문헌]

睡庵遺稿

[집필자]

윤혁동(尹爀東)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