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호의(李好義)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D638C758B1560X0 |
자(字) | 사의(士宜) |
생년 | 1560(명종 15)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전주(全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이천경(李天擎) |
조부 | 이헌보(李憲輔) |
외조부 | 유헌(柳憲)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호의(李好義)
1560년(명종 15)∼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사의(士宜).
이헌보(李憲輔)의 손자로, 교관(敎官) 이천경(李天擎)의 아들이며, 모친은 유헌(柳憲)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97년 모화관정시문과(慕華館庭試文科)에 갑과로 급제, 병조좌랑‧정언‧사서‧지평‧평안도도사‧헌납‧장령‧통례원상례(通禮院相禮)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609년(광해군 1) 고부사(告訃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동부승지‧우승지를 거쳐 1615년 형조참판이 되었으며, 1623년(인조 1) 양양부사로 나갔다.
임진왜란 때 불탄 왕조실록을 중간하였고, 홍문관부교리로 있으면서 기주관을 겸직하기도 하였다.
이헌보(李憲輔)의 손자로, 교관(敎官) 이천경(李天擎)의 아들이며, 모친은 유헌(柳憲)의 딸이다.
1589년(선조 22)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597년 모화관정시문과(慕華館庭試文科)에 갑과로 급제, 병조좌랑‧정언‧사서‧지평‧평안도도사‧헌납‧장령‧통례원상례(通禮院相禮) 등을 두루 역임하였다.
1609년(광해군 1) 고부사(告訃使)의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다녀왔고, 동부승지‧우승지를 거쳐 1615년 형조참판이 되었으며, 1623년(인조 1) 양양부사로 나갔다.
임진왜란 때 불탄 왕조실록을 중간하였고, 홍문관부교리로 있으면서 기주관을 겸직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宣祖實錄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光海君日記
仁祖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집필자]
조계찬(趙啓纘)
명 : "호의(好義)"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