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희등(鄭希登)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15D76CB4F1B1506X0 |
자(字) | 원룡(元龍) |
시호(諡號) | 의민(毅愍) |
생년 | 1506(중종 1) |
졸년 | 1545(명종 즉위) |
시대 | 조선전기 |
본관 | 동래(東萊)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부 | 정구(鄭球) |

[관련정보]
[상세내용]
정희등(鄭希登)
1506년(중종 1)∼1545년(명종 즉위).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원룡(元龍). 본관은 동래(東萊).
종부시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종질(從姪)이다.
1528년(중종 23)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에 보직되었다. 이어 정언으로서 상처하였을 때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인물됨을 높이 평가하여 사위로 맞이하려고 하였으나 이를 거절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안로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도사‧광흥창수(廣興倉守)‧사복시첨정 등의 한직으로 전전하다가, 1537년 김안로가 제거된 뒤 수찬‧정언‧교리‧헌납 등 청요직(淸要職)에 중용되었다.
1541년 지평으로서 그해의 흉황(凶荒)과 수령의 폐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별견어사(別遣御史)로 파견되었고, 1544년 세자시강원우필선‧장령을 지냈다.
이듬해 인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하자 권세를 잡게 된 소윤의 윤원형(尹元衡)‧이기(李芑)‧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대윤의 윤임(尹任)‧유관(柳灌)‧유인숙(柳仁淑) 등을 제거하려 하였을 때 극력 반대하다가 혹독한 고문을 당하고 용천(龍川)으로 유배가던 도중에 죽었다.
1547년(명종 2)정미사화 때 죄가 추가되어 가산을 적몰당하였다.
1568년(선조 1) 신원(伸寃)되고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적몰된 가산도 환급받았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종부시첨정(宗簿寺僉正) 정구(鄭球)의 아들이며, 승지 정원(鄭源)의 종질(從姪)이다.
1528년(중종 23) 진사가 되고, 1534년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승문원부정자에 보직되었다. 이어 정언으로서 상처하였을 때 김안로(金安老)가 그의 인물됨을 높이 평가하여 사위로 맞이하려고 하였으나 이를 거절하였다.
이로 인하여 김안로의 모함을 받아 함경도도사‧광흥창수(廣興倉守)‧사복시첨정 등의 한직으로 전전하다가, 1537년 김안로가 제거된 뒤 수찬‧정언‧교리‧헌납 등 청요직(淸要職)에 중용되었다.
1541년 지평으로서 그해의 흉황(凶荒)과 수령의 폐해를 조사하기 위하여 별견어사(別遣御史)로 파견되었고, 1544년 세자시강원우필선‧장령을 지냈다.
이듬해 인종이 죽고 명종이 즉위하자 권세를 잡게 된 소윤의 윤원형(尹元衡)‧이기(李芑)‧정순붕(鄭順朋) 등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대윤의 윤임(尹任)‧유관(柳灌)‧유인숙(柳仁淑) 등을 제거하려 하였을 때 극력 반대하다가 혹독한 고문을 당하고 용천(龍川)으로 유배가던 도중에 죽었다.
1547년(명종 2)정미사화 때 죄가 추가되어 가산을 적몰당하였다.
1568년(선조 1) 신원(伸寃)되고 이조판서로 추증되었으며, 적몰된 가산도 환급받았다. 시호는 의민(毅愍)이다.
[참고문헌]
中宗實錄
仁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仁宗實錄
明宗實錄
宣祖實錄
國朝榜目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大東野乘
[집필자]
이범직(李範稷)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