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덕지(崔德之)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5CB355C9C0B1384X0
자(字)가구(可久)
호(號)연촌(烟村)
호(號)존양(存養)
생년1384(우왕 10)
졸년1455(세조 1)
시대조선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최담(崔霮)

[상세내용]

최덕지(崔德之)
1384년(우왕 10)∼1455년(세조 1). 조선 초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가구(可久), 호는 연촌(烟村)존양(存養). 참의 최담(崔霮)의 아들이다.

1405년(태종 5) 식년문과에 동진사(同進士)로 급제한 뒤 추천을 받아 사관이 되었고, 1409년 교서관정자로서 원구단(圜丘壇)에서 기우제를 지낼 때 오제제문(五帝祭文)을 준비 못하여 한때 투옥되었다.

뒤에 감찰삼사(三司)의 청요직(淸要職)을 거쳐, 외관으로 김제군수남원부사 등 여러 주‧군을 다스렸다. 남원부사를 사퇴한 뒤 영암영보촌(永保村)에 내려가 학문연구에 몰두하였는데 이때 존양이라는 호를 사용하였다.

문종이 즉위하자 그를 불러 예문관직제학에 임명, 그의 학문을 높이 평가하였으나 그는 아직 치사할 나이가 안되었는데도 연로함을 이유로 사직하고 고향으로 내려갔다. 당시 풍습으로 볼 때 명예로운 직책을 사임하고 귀향하는 경우가 드물었으므로 동료들은 그의 높은 덕과 행동을 칭송하며, 다투어 시부를 지어주고 노자를 마련하여 주었다.

72세에 죽으니 영암의 주민들이 사당을 세워 제사하고 존양사(存養祠)라 이름지었다. 그는 세종 때 배출된 많은 학자 중 한 사람으로 정치적 격동에 휘말려들지 않고 문신이자 학자로서 명예로운 삶을 마쳤다.

전주서산사(西山祠), 남원주암서원(舟巖書院), 영암녹동서원(鹿洞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참고문헌]

太宗實錄
文宗實錄
國朝榜目
山堂集
東儒師友錄
國朝人物考

[집필자]

김용만(金容晩)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