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절(合節)
[상세내용]
합절(合節)
미상∼647년(진덕여왕 1). 신라 진덕여왕 때의 인물. 비령자(丕寧子)의 종〔奴〕이었다.
647년 백제의 대군이 신라를 쳐들어오자 신라는 김유신(金庾信)이 1만 군사를 이끌고 이를 막으려 출전하였다.
이때, 주인 비령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과 함께 전쟁터에 나갔다. 신라는 전세가 매우 불리해지므로 김유신이 비령자에게 군사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하여 적진에 나아가 싸울 임무를 주었다.
이때 비령자로부터 아들 거진을 잘 타일러 함께 자신의 유골을 거두어 돌아가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러나 비령자가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하는 모습을 보고 거진이 싸우려 나가려 하매, “대인(大人: 비령자)의 말씀이 합절로 하여금 아랑(阿郞: 거진)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서 부인을 편히 위로하라고 하였는데, 지금 아들로서 아버지의 명을 저버리고 어머니의 자애를 버린다면 효도라 할 수 없다.”고 하며 말고삐를 잡고 놓아주지 않다가 거진으로부터 칼로 팔이 잘렸다.
이에 합절 또한, “사천(私天: 上典)이 무너졌는데 죽지 않고 무엇을 하리오. “ 하고 적진에 들어가 싸우다가 죽었다. 이를 본 신라 군사들이 감격하여 용감하게 싸워 백제군을 크게 깨뜨리고 대승을 거두었다.
김유신은 옷을 벗어 이들 시신을 덮어주고 곡읍(哭泣)하였다.
또 왕이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예로써 반지산(反知山)에 합장하였다.
647년 백제의 대군이 신라를 쳐들어오자 신라는 김유신(金庾信)이 1만 군사를 이끌고 이를 막으려 출전하였다.
이때, 주인 비령자와 그의 아들 거진(擧眞)과 함께 전쟁터에 나갔다. 신라는 전세가 매우 불리해지므로 김유신이 비령자에게 군사들의 사기를 돋우기 위하여 적진에 나아가 싸울 임무를 주었다.
이때 비령자로부터 아들 거진을 잘 타일러 함께 자신의 유골을 거두어 돌아가라는 부탁을 받았다.
그러나 비령자가 용감히 싸우다가 전사하는 모습을 보고 거진이 싸우려 나가려 하매, “대인(大人: 비령자)의 말씀이 합절로 하여금 아랑(阿郞: 거진)과 함께 집으로 돌아가서 부인을 편히 위로하라고 하였는데, 지금 아들로서 아버지의 명을 저버리고 어머니의 자애를 버린다면 효도라 할 수 없다.”고 하며 말고삐를 잡고 놓아주지 않다가 거진으로부터 칼로 팔이 잘렸다.
이에 합절 또한, “사천(私天: 上典)이 무너졌는데 죽지 않고 무엇을 하리오. “ 하고 적진에 들어가 싸우다가 죽었다. 이를 본 신라 군사들이 감격하여 용감하게 싸워 백제군을 크게 깨뜨리고 대승을 거두었다.
김유신은 옷을 벗어 이들 시신을 덮어주고 곡읍(哭泣)하였다.
또 왕이 듣고 눈물을 흘리며 예로써 반지산(反知山)에 합장하였다.
[참고문헌]
三國史記
[집필자]
신동하(申東河)
명 : "합절(合節)"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