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민승(李敏承)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BBFCC2B9B1781X0
자(字)공눌(公訥)
호(號)현계(玄溪)
생년1841(헌종 7)
졸년1912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무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민승(李敏承)
1841년(헌종 7)~1912년. 조선 말기 무신. 자는 공눌(公訥)이고, 호는 현계(玄溪)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한양(漢陽)이다.

1858년 무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전라좌도수군절도사(全羅左道水軍節度使)‧경상좌도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동지돈녕원사(同知敦寧院事) 등을 역임하였다.

1889년(고종 26)에 왕세자가 태묘(太廟)의 동향대제(冬享大祭)를 섭행(攝行)한 뒤 아헌관(亞獻官)‧종묘서도제조(宗廟署都提調)의 관리들에게 차등 있게 시상(施賞)할 때 병방(兵房)의 소임을 수행한 공로를 인정받아 가자(加資)되었다. 1896년(건양 1) 정2품으로 중추원일등의관(中樞院一等議官)에 임용되어, 칙임관(勅任官) 2등에 서임(敍任)되었다. 성재(性齋) 허전(許傳)이 주축이 되어, 유장희(柳長熙)‧박치소(朴稚紹)‧유낙희(柳洛熙)‧이치승(李致承) 등과 함께 녹양시회(綠楊詩會)를 결성하여 학문과 시를 교유하였다.

향년 72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슬하에 5남을 두었는데, 이근호(李根澔)‧이근택(李根澤)‧이근홍(李根洪)‧이근상(李根湘)‧이근목(李根沐)이다.

[참고문헌]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