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헌구(申獻求)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0D5CCAD6CB1823X0 |
자(字) | 계문(季文) |
생년 | 1823(순조 23)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고령(高靈)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상세내용]
신헌구(申獻求)
1823년(순조 23)∼미상. 조선 말기 문신. 자는 계문(季文)이다.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부친은 신응모(申應模)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1864년(고종 1) 이후 사헌부지평(持平)‧집의(執義)‧이조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 1885년(고종 22) 조선 측 대표로 독판(督辦) 김윤식(金允植) 등과 함께 ‘중조전선조약(中朝電線條約)’에 동의하는 서명을 하였다. 그 후 이조참판‧형조판서‧한성부판윤‧예조판서 등을 지냈다. 1894년(고종 31) 경기도관찰사 재직 시절 경기‧강원도 일대에서 봉기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였다. 1898년(광무 2)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1902년(광무 6) 최익현(崔益鉉) 등과 함께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을 지냈다.
부친은 신응모(申應模)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1864년(고종 1) 이후 사헌부지평(持平)‧집의(執義)‧이조참의(吏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 1885년(고종 22) 조선 측 대표로 독판(督辦) 김윤식(金允植) 등과 함께 ‘중조전선조약(中朝電線條約)’에 동의하는 서명을 하였다. 그 후 이조참판‧형조판서‧한성부판윤‧예조판서 등을 지냈다. 1894년(고종 31) 경기도관찰사 재직 시절 경기‧강원도 일대에서 봉기한 동학농민군을 진압하였다. 1898년(광무 2) 중추원의관(中樞院議官)을, 1902년(광무 6) 최익현(崔益鉉) 등과 함께 궁내부특진관(宮內府特進官)을 지냈다.
[참고문헌]
高宗實錄
國朝文科榜目
國朝文科榜目
[집필자]
김혜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