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홍진(趙弘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D64DC9C4B1743X0
자(字)관보(寬甫)
호(號)창암(窓巖)
생년1743(영조 19)
졸년1821(순조 21)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재운(趙載運)
생부조재검(趙載儉)
조부조석명(趙錫命)
외조부한배주(韓配周)

[상세내용]

조홍진(趙弘鎭)
1743년(영조 19)∼1821년(순조 21).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관보(寬甫), 호는 창암(窓巖).

조부는 판돈녕부사 조석명(趙錫命)이고, 부친은 조재검(趙載儉)인데, 조재운(趙載運)의 양자로 갔다. 외조부는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청주한씨(淸州韓氏) 한배주(韓配周)이고, 생외조부는 기계유씨(杞溪兪氏) 유건기(兪健基)이며, 처부는 동래정씨(東萊鄭氏) 정동은(鄭東殷)이다.

1763년(영조 39) 계미(癸未)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2등 17위로 합격하고, 1783년(정조 7) 계묘(癸卯)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6위로 급제하였다. 사간원대사간, 사헌부대사헌, 홍문관교리삼사(三司)의 관직을 두루 거치고, 이조좌랑(吏曹佐郞), 의주부윤(義州府尹), 강원도관찰사, 한성부판윤(漢城府判尹)을 지냈다. 1783년(정조 7)에는 관북(關北)의 창곡을 살피러 가는 길에 대관령 동쪽의 양양(襄陽), 삼척(三陟), 강릉(江陵) 등 아홉 고을의 암행어사가 되어 민정(民情)을 살폈다.

1784년(정조 8)에 행한 홍문록(弘文錄)에서 4점(點)을 받고, 1785년(정조 9)에 37세 이하의 나이 어린 문신(文臣)을 규장각(奎章閣)에 소속시켜 재교육과정을 밟게 했던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발탁되는 등 젊은 문신에 대한 정조의 기대를 받았다. 1788년(정조 12)에 장령 오익환(吳翼煥)이 임금의 잘못과 시대의 폐단을 극언한 상소를 올린 일이 있었는데, 지평 최수로(崔守魯)오익환을 사주한 사람으로 조홍진을 거론하였다. 조홍진은 북을 쳐[擊鼓] 스스로 변명하고, 최수로는 오히려 삭직을 당하였다. 문효세자의 탄생 때 경사로 여기지 않고 세자 책봉을 서두를 일이 아니라는 등의 불경스런 말을 한 조시위(趙時偉)와는 친척이다.

1808년(순조 8)에는 동지부사가 되어 중국에 다녀왔다.

[참고문헌]

朝鮮王朝實錄
國朝文科榜目
홍재전서(弘齋全書) 제39권 ‘原春道 암행어사 趙弘鎭에게 내리는 봉서’

[집필자]

고윤희
수정일수정내역
2008-12-312008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