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상휴(金相休)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0C1D734B1757X0
자(字)계용(季容)
호(號)초천(蕉泉)
생년?(미상)
졸년1827(순조 27)
시대조선후기
본관광주(廣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무택(金茂澤)

[상세내용]

김상휴(金相休)
미상∼1827년(순조 27).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계용(季容), 호는 초천(蕉泉).

부친은 김무택(金茂澤)이다.

1803년 증광문과에 갑과로 급제하고 홍문록에 올랐다.

이듬해 홍문관교리로서 강화부안핵어사(江華府按覈御史)로 나아가 강화부 중군 이만원(李晩遠)의 불법을 다스렸다.

1805년 시독관으로 『강목』을 강독하면서 임금에게 선악을 밝게 할 것을 아뢰었다.

이듬해 수찬이 되었으며, 1807년 응교가 되었다.

이듬해 공충우도(公忠右道: 현재 충청도의 일부)의 암행어사가 되어 관할지역의 목사군수 등이 백성들을 제대로 다스리지 않는다는 장계(狀啓)를 임금에게 올렸다.

1810년 통신사일본에 다녀왔으며, 그 공로로 1812년 가의대부(嘉義大夫)의 품계를 받았다.

1817년 강화부유수, 1819년 대사성을 거쳐 이조참판대사간이 되었으며, 1822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1824년 형조판서좌부빈객의정부좌참찬 등을 거쳐, 이듬해 판의금부사, 1826년 예문관제학이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재호(李載琥)
대표명김상휴(金相休)
상휴(相休)
성명김상휴(金相休)

명 : "상휴(相休)"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疏箚錄v36噫堂箚之出今已幾年擧朝之臣未嘗以玄鄭事彈人而獨彼逞憾之輩藉此一事作爲機穽白地構捏至及於如臣無累之身故相休亦爲生㤼有此疏本然相休旣非邪黨之所仇嫉者則豈有他慮亦不滿一笑也臣以孤畸之蹤忝在簪紳之列故徒增一隊之睢
疏箚錄v36之臣未嘗以玄鄭事彈人而獨彼逞憾之輩藉此一事作爲機穽白地構捏至及於如臣無累之身故相休亦爲生㤼有此疏本然相休旣非邪黨之所仇嫉者則豈有他慮亦不滿一笑也臣以孤畸之蹤忝在簪紳之列故徒增一隊之睢盱而上添九重之酬應天牌
疏箚錄v36苟欲自明何患無辭而乃反構勒爲說不少顧藉言之者雖甚容易當之者不亦難乎大抵陳箚後或有異見則例皆趁卽疏本而相休則首尾三年曾無立異之疏今於時移事往之後必待臺言之發始乃張皇爲說以臣之愚未見其理直也臣於向日疏後益爲見
疏箚錄v36言固不免爽實而伴直與會議旣是三人送書而聯名又爲三人而無一人陳疏自列以明其意見之參差則謂之詢同亦非過語相休之稱病不來以書往復誠如其言而至於玄重祚鄭彦仁事則初無一言之提及今乃以不爲擧似一反其書爲言有若初有是說
疏箚錄v36到故一例見漏於覆逆而玄鄭二人亦在其中矣若於其書以玄鄭爲言則卽當怳然覺悟爭執之不暇而豈有無端不從之理耶相休急於持臣忘其書辭而然也其後相面時不過數語酬酢而已亦未嘗語到於玄鄭則面責云云未知何據彼旣以告君不實斥臣
疏箚錄v36未知何據彼旣以告君不實斥臣而其所爲言乃有此爽實何其責人則明耶至於其名之聯錄亦有其故伊日館中再次書邀於相休則以書與訊皆以聯名爲托僚員李惟命則亦以在外聯參亦多已例同爲塡名之意丁寧書及故果爲列錄而乃以急於掉脫漫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