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민영환(閔泳煥)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BFCC601D658B1861X0
자(字)문약(文若)
호(號)계정(桂庭)
시호(諡號)충정(忠正)
생년1861(철종 12)
졸년1905(광무 9)
시대조선후기
본관여흥(驪興)
활동분야문신 > 문신
민겸호(閔謙鎬)
출신지서울
묘소경기도 용인
공훈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상세내용]

민영환(閔泳煥)
1861년(철종 12)∼1905년. 조선 말기의 문신.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문약(文若), 호는 계정(桂庭). 서울 출신.

호조판서 민겸호(閔謙鎬)의 아들이다.
2. 관직과 활동
1881년동부승지, 이듬해 성균관대사성에 발탁되었다.

그러나 이해 6월 군제개혁으로 인한 구군대의 불만과 대원군의 재집권욕의 복합으로 폭발한 임오군란의 발발로 아버지 민겸호가 살해되자 사직하였다.

1884년 이조참의에 임명된 뒤 도승지전환국총판(典圜局總辦)홍문관부제학이조참판내무협판개성유수해방총관(海防總管)친군연해방어사(親軍沿海防禦使)한성우윤(漢城右尹)기기국총판(機器局總辦)을 역임하였다.

1887년 상리국총판(商理局總辦)친군전영사(親軍前營使)호조판서가 되었다.

1888년과 1890년 두 차례 병조판서를 역임하였고, 1893년 형조판서한성부윤, 1894년 독판내무부사형조판서가 되었으며, 1895년 8월 주미전권대사에 임명되었다.

당시 일제는 한국에서의 세력우위를 점하고자 1894년 도발한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뒤 청나라요동반도(遼東半島)를 점유하고자 하였으나, 러시아독일프랑스와 연합하여 삼국간섭으로 이를 좌절시켜 조선에서 그 세력이 약화되었다.

그는 1895년 일제가 명성황후(明成皇后)를 시해하는 을미사변을 일으키자 주미전권대사에 부임하지 않고 고향에 내려갔으며, 때때로 입궐하여 고종에게 간언을 올렸다.

1896년 4월 러시아황제대관식에 특명전권공사로 임명되어 윤치호(尹致昊)김득련(金得鍊)김도일(金道一) 등을 대동하고 참석하였다.

이때 인천을 떠나 상해(上海)나가사키(長崎)동경(東京)캐나다뉴욕런던네덜란드독일폴란드를 지나 모스크바에 여장을 풀었고, 시베리아를 횡단하여 이해 10월 하순 귀국하였다. 해외파견사절 중 최초로 세계일주를 하였으며, 의정부찬정(議政府贊政)군부대신을 역임하였다.

다음해 1월 영국독일러시아프랑스‧이탈리아‧오스트리아 등 6개국 특명전권공사가 되었으며, 영국여왕의 즉위 60년 축하식에 참석하기도 하였다. 이 도중 손병균(孫炳均)김병옥(金秉玉) 등을 대동하고 러시아에 들러 러시아황제에게 고종의 친서를 전달하고 각국 외교사절을 예방하였다.

이와같이, 두 차례에 걸친 해외여행으로 각국 특히 구미제국의 발전된 문물제도와 근대화 모습을 직접 체험하였다.

그리하여 귀국 후 마침 발족한 독립협회의 취지에 찬동, 이를 적극 후원하였다. 독립협회의 핵심인 정교(鄭喬)는 지금 정부요인 중 국민이 신임할 수 있는 인물은 한규설(韓圭卨)민영환밖에 없므으로 민영환군부대신경무사에 임명하면 민심이 수습될 것이라고 고종에게 상주까지 하였다.

1898년 의정부참정(議政府參政), 내부대신 겸 군부대신을 지냈으나, 어용단체인 황국협회(皇國協會)의 지탄과 공격을 받아 한때 관직에서 물러나기도 하였다.

그뒤 다시 참정대신탁지부대신에 임명되었고, 그의 건의에 의하여 설치된 원수부(元帥府)회계국총장(會計局總長)장례원경(掌禮院卿)표훈원총재(表勳院總裁)헌병사령관을 역임하였고, 훈일등태극장(勳一等太極章)‧대훈위이화장(大勳位李花章)을 받았다.

러일전쟁 후 다시 내부대신군법교정총재(軍法校正總裁)학부대신을 역임하였다.

그러나 날로 심해지는 일본의 내정간섭에 항거하여 친일내각과 대립하였기 때문에 한직인 시종무관으로 좌천당하였으며, 1905년 참정대신외무대신을 역임하였으나, 다시 시종무관으로 밀려났으며, 순국할 때까지 시종무관으로 있었다.

시종무관으로 밀려난 뒤 외교권강탈 같은 사태가 나올 것에 대비하여 무장이었던 한규설총리대신으로 추대하려고 노력하였으나 실패하였다.
3. 을사조약체결과 자결
1905년 11월 일제가 을사조약을 강제 체결하여 외교권을 박탈하자, 원임의정대신 조병세(趙秉世)를 소두(疏頭)로 백관들과 연소(聯疏)를 올려 조약에 찬동한 5적의 처형과 조약의 파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황제의 비답(批答)이 있기도 전에 일본헌병에 의하여 조병세는 구금되고 백관들이 해산당하자, 자신이 소두가 되어 다시 백관들을 거느리고 두 차례나 상소를 올리고 궁중에서 물러나지 않았다.

이에 일제의 협박에 의한 왕명거역죄로 구속되어 평리원(平理院: 재판소)에 가서 대죄한 뒤 풀려났다.

그러나 이들은 다시 종로 백목전도가(白木廛都家: 육의전)에 모여 소청(疏廳)을 설치하고 항쟁할 것을 의론하였으나 국운이 이미 기울어졌음을 깨닫고 죽음으로 항거하여 국민을 각성하게 할 것을 결심, 본가에서 자결하였다.

세통의 유서가 나왔는데, 한통은 국민에게 각성을 요망하는 내용이었고, 다른 한통은 재경 외국사절들에게 일본의 침략을 바로보고 한국을 구해줄 것을 바라는 내용이었으며, 또 다른 한통은 황제에게 올리는 글이었다.

그의 자결소식이 전해지자, 원임대신 조병세를 비롯하여 전참판 홍만식(洪萬植), 학부주사 이상철(李相喆), 평양대(平壤隊) 일등병 김봉학(金奉學) 등 많은 인사들도 스스로 목숨을 끊었고, 그의 인력거꾼도 목숨을 끊어 일제침략에 항거하였다.

이러한 그의 충절을 기려 나라에서 후하게 예장하라는 명령이 내려졌고, 대광보국숭록대부의정대신(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大臣)의 최고관작이 추증되었으며, 의절의 정문도 세워졌다. 유해는 경기도 용인에 예장되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에 추서되었으며, 동상은 안국동 로터리에서 와룡동 비원 앞으로 옮겨졌다.

유고 중 대표적인 것으로 『해천추범(海天秋帆)』『사구속초(使歐續草)』『천일책(千一策)』 등이 있고, 그밖에 많은 소(疏)‧차(箚) 등이 있다. 시호는 충정(忠正)이다.

[참고문헌]

閔忠正公遺稿
大韓每日申報
韓國季年史
梅泉野錄
騎驪隨筆
大韓帝國官員履歷書

[집필자]

김성균(金聲均)
대표명민영환(閔泳煥)
영환(泳煥)
성명민영환(閔泳煥)
시호민충정공(閔忠正公)

명 : "영환(泳煥)"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東宮日錄v16所止則夫子之訓垂戒於後世可謂深切矣以若文王之聖緝熙所止亶在於敬之一字而況以文王爲師者尤豈不知所自勉乎泳煥奏曰此篇之義果不外乎三綱八條而明德新民又爲一部之肯綮矣余曰桂坊文義奏之鍾濂奏曰明德者人莫不有之而所以
東宮日錄v16辨人之邪正賢愚亦在乎君心之睿知此皆爲後世人主之所當鑑法而若能至公無私親賢遠小則正所謂治國其如視諸掌乎泳煥曰睿敎切當矣潚曰睿工日益將就大學今又畢講臣不勝欽欽仰攢祝蓋學問之道知行而已旣知之如此則必行之如此乃能
東宮日錄v16念矣鍾濂曰臣日講侍書筵伏見大學一部終始之講讀區區欣仰之忱莫之與京臣歸到鄕谷之日當與草野之士欽頌睿德矣泳煥曰伏見我邸下大學今旣畢講論語將爲繼講睿講工慥慥漸進於聖人之梱域臣不勝欽頌萬萬大學是入德之門也論語是入
東宮日錄v16其彰君之過故以孝友爲答此所爲不出家而成敎於國者也聖人愛君憂國之誠於斯可見而後世爲人臣者所當景仰鑑法也泳煥曰睿敎切當矣又曰睿工勤孜論語初卷今又畢講大小臣僚莫不欣祝而第伏念是書異於他書讀之之法必如聖門弟子之侍
東宮日錄v17怨天不尤人如夫子之言道之將行也與命也道之將廢也與命也匡人其與予何前聖後賢之言間於一也非聖賢孰與於此哉泳煥曰睿敎切當矣晩植曰今日朝講獲覩盛儀睿德天縱典學日就臣不勝欽仰第以此章言之孟子若進用於魯則庶復三代之治
東宮日錄v29次仰瞻容善曰仰瞻各本中六本最爲得眞無有一毫未盡處不勝萬幸請以是上綃恐好矣泳韶曰今此六本果是十分得眞矣泳煥曰此六本果得逼眞諸臣所見皆如是矣上曰上消就完後又當召卿等仰瞻矣
東宮日錄v29一次自有懿式則其自今至于萬萬歲將遵而行之而今年御眞圖寫尤爲慶幸矣臣等亦幸得生老於聖世獲以仰瞻榮幸極矣泳煥曰臣等皆仔細仰瞻所見僉同御眞冕服本第二本翼善冠本第二本睿眞冕服本第二本似爲彷彿而俱未十分得眞矣更爲展
東宮日錄v29監日日仰瞻草本眼目旣熟有難辨眞今日初次仰瞻諸臣所見尤宜近之矣仍奏曰又有六本更爲展奉使之仰瞻若何上曰唯泳煥展奉御眞軍服小本二本睿眞軍服小本二本幅巾小本二本上命大臣及諸大臣以次仰瞻容善曰仰瞻各本中六本最爲得眞
東宮日錄v29服本第二本翼善冠本第二本睿眞冕服本第二本似爲彷彿而俱未十分得眞矣更爲展奉他本使之仰瞻恐未知若何上曰唯泳煥展奉御眞軍服本二本睿眞翼善冠本二本上命大臣及諸臣以次仰瞻容善曰臣與諸臣仰瞻則御眞軍服大本第一本睿眞翼
東宮日錄v29何如上曰一樣矣容善曰太子宮氣候何如上曰平順矣容善曰太子妃宮氣候何如上曰平順矣仍敎曰近日頗旱矣標題時至泳煥奉御眞展奉于床上用求請書寫擧行乎上曰唯用求俯伏跪御眞睿眞標題書寫訖泳煥等以次掛奉御眞冕服本一本翼善冠
東宮日錄v29平順矣仍敎曰近日頗旱矣標題時至泳煥奉御眞展奉于床上用求請書寫擧行乎上曰唯用求俯伏跪御眞睿眞標題書寫訖泳煥等以次掛奉御眞冕服本一本翼善冠本二本軍服大本一本小本一本睿眞冕服本一本翼善冠本二本軍服大本一本小本一
奉命寫記v1應再呼不應三呼乃曰唯至 上前上曰朴容基謂明年四月乃可完矣今蔡龍 臣謂十二月初旬間能畢矣其能如是速完乎泳煥 對曰所任之人豈不預料而言之乎方摹寫時冬候 方深上數行幸寫所問龍臣曰房室得不冷乎窓 戶得無寒氣乎以手
影幀模寫都監儀軌v3奉安矣 今已告竣 誠爲萬幸矣容善曰 今又日吉六聖朝御眞還安 慶祝萬萬矣上曰 奉審閣臣秘書卿掌禮卿進前泳煥進前奏曰 臣承命進詣冷泉亭御眞奉安後 仍爲亭內奉審 則安寧矣聲根奏曰 臣承命陪詣平樂亭御眞奉安後亭內
略紀便覽v1函告各國公使書曰泳煥爲國不善國勢民計乃至於此徒以一死報皇恩以謝我二千萬同胞死者已矣今我二千萬人民行當殄滅於生存競爭之中貴
略紀便覽v1訣告國民書曰諸公豈不諒只泳煥決以一死仰報皇恩以謝我二千萬同胞兄弟泳煥死而不死期助諸君於九泉之下幸我同胞兄弟千萬倍加奮勵堅乃志氣勉
略紀便覽v1訣告國民書曰諸公豈不諒只泳煥決以一死仰報皇恩以謝我二千萬同胞兄弟泳煥死而不死期助諸君於九泉之下幸我同胞兄弟千萬倍加奮勵堅乃志氣勉其學問決心戮力復我自由獨立則死者當喜笑於
韓史綮v3丙戌二十三年淸德宗光緖十二年春三月爲俄羅斯人開港于會寧府○置親軍海防營以閔泳煥爲營使泳煥謙鎬之子也○夏五月法蘭西人來定通商約○六月意大利人來定通商約○王錫鬯辭官歸國錫鬯嘗上書切論政失○以閔
韓史綮v3用五人以正署約之罪仍席藁坐闕門外期以蒙允長谷川遣兵執拘之泳煥代秉世繼上疏址鎔根澤等矯囚于法司少頃釋之泳煥知國事已去與母徐氏訣出至鐘街舊傔家遺書勸國人忠義引刀三刺頸以死時秉世已得釋將糾衆復上疏聞泳煥死歎曰吾
韓史綮v3家遺書勸國人忠義引刀三刺頸以死時秉世已得釋將糾衆復上疏聞泳煥死歎曰吾惟有往訪閔文若而已遂呑鴉片煙自盡泳煥少時爲帝寵幸頗用事受賂後使西洋諸國而還忽改節慷慨數進忠言凡所賂遺悉却之
韓史綮v3京率百官上疏請斬朴齊純李址鎔李根澤權重顯李完用五人以正署約之罪仍席藁坐闕門外期以蒙允長谷川遣兵執拘之泳煥代秉世繼上疏址鎔根澤等矯囚于法司少頃釋之泳煥知國事已去與母徐氏訣出至鐘街舊傔家遺書勸國人忠義引刀三刺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