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복만(柳卜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BCF5B9CCB1855X0
생년1855(철종 6)
졸년1882(고종 19)
시대조선후기
활동분야변란 > 반란인
유도문(柳道文)
김소사(金召史)

[상세내용]

유복만(柳卜萬)
1855년(철종 6)∼1882년(고종 19). 무위영(武衛營)소속 포수로 임오군변의 주동인물.

유도문(柳道文)의 아들로, 모친은 김소사(金召史)이며 동부(東部) 사근절리(沙斤節里)에서 살았다.

1882년(고종 19) 6월 5일 13개월의 군료가 지급되지 못한 상황에서 전라도의 조미(漕米)가 도착하여 선혜청의 도봉소(都捧所)에서 구훈련도감소속의 군병들에게 방료(放料)가 있었다.

그러나 방료된 것은 1개월분이었을 뿐만 아니라 두량도 차지 않고 더욱이 질이 나쁜 것이었다.

이에 격분한 군병들은 군료의 수령을 거부하면서 항의하게 되었고, 유복만은 동료인 김춘영(金春永)정의길(鄭義吉)강명준(姜命俊) 등과 함께 고직(庫直)을 구타하면서 앞장섰다.

이 소식이 전해지자 선혜청당상 민겸호(閔謙鎬)는 군관에게 명하여 군병들을 탄압시키는 한편, 유복만 등을 분쟁의 주동자로 지목하여 포도청에 수감하였다. 뒤이어 이들에 대한 처형이 있을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지자, 6월 8일 유복만의 동생인 유춘만(柳春萬)김춘영의 아버지인 김장손(金長孫)을 찾아가 무위영 군병들의 봉기를 촉구하는 통문을 작성하였고, 그 자신이 장두(狀頭)가 되었다.

이 통문에 따라 그 다음날 군민이 함께 봉기하여 군변이 일어났으며 포도청에 수감중이었던 유복만 등도 이때 석방되었다. 석방된 이들은 군민을 영솔하여 군변을 확대시켰고, 특히 그 다음날 궐내에 난입하여 민겸호, 경기감사 김보현(金輔鉉) 등의 살해를 지휘하였으며, 민비(閔妃)가 타고 있던 사인교를 파괴하였다.

그러나 7월 13일에 대원군이 청군(淸軍)에 의하여 피랍되고 군변이 실패하자, 군변의 주모자로서 김장손정의길강명준홍천석(洪千石)허씨동(許氏同)윤상룡(尹尙龍)정쌍길(鄭雙吉)문창갑(文昌甲) 등과 함께 체포되어 포도청에 재차수감되었다.

그뒤 8월 23일과 24일 양일간에 금위영에서 추고가 있었으며, 이때 유복만김춘영의 위협에 의하여 범궐하였음을 밝혔으나 사인교파괴에 가담하였음을 시인하였다.

그는 모반대역부도(謀反大逆不道)로 결안(結案)되어 8월 25일 군기시 앞에서 능지처사(凌遲處死)되었다.

[참고문헌]

壬午大逆不道罪人長孫等鞫案
壬午軍變(權錫奉, 한국사 16, 국사편찬위원회, 1975)

[집필자]

권석봉(權錫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