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옥균(金玉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625ADE0B1851X0
자(字)백온(伯溫)
호(號)고균(古筠)
호(號)고우(古愚)
시호(諡號)충달(忠達)
생년1851(철종 2)
졸년1894(고종 31)
시대조선후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정치 > 정치가
김병기(金炳基)
생부김병태(金炳台)
출신지공주
저술『치도약론(治道略論)』

[상세내용]

김옥균(金玉均)
1851년(철종 2)∼1894년(고종 31). 조선 말기의 정치가‧개화운동가.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백온(伯溫), 호는 고균(古筠) 또는 고우(古愚). 공주 출신.
1. 성장기
김병태(金炳台)의 장남으로, 7세 때 당숙 김병기(金炳基)에게 입양되어 서울에서 성장하였다.

11세 때인 1861년 양부 김병기강릉부사로 되어 임지에 가자, 양부를 따라 강릉에 가서 16세까지 율곡사당(栗谷祠堂)이 있는 서당에서 율곡학풍의 영향을 받으면서 공부하였다. 어려서부터 재주가 뛰어나서 학문뿐만 아니라 문장‧시‧글씨‧그림‧음악 등 예능부문에서 탁월한 소질을 발휘하였다.
2. 개화당의 세력확장 노력
당시 오경석(吳慶錫)유홍기(劉鴻基)박규수(朴珪壽) 등에 의하여 나라의 근대적 개혁을 위한 개화사상이 형성되자, 김옥균은 다른 청년들과 함께 1870년 전후부터 박규수의 사랑방에서 개화사상을 배우고 발전시켜 개화사상을 가지게 되었다.

1872년 알성문과에 장원급제하고, 1874년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로 임명되었다. 이 무렵부터 정치적 결사로서의 개화당의 형성에 진력하여 다수의 동지들을 모으고 그 지도자가 되었다.

1879년 개화승 이동인(李東仁)일본에 파견하여 일본의 근대화 실태를 알아보게 하고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의 파견을 주선하도록 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혁신의 뜻을 가지고 있는 관리들과 청년들을 모아 개화당의 세력확장에 진력하는 한편, 스스로 일본의 근대화 실정을 시찰하기 위하여 1881년 음력 12월 일본에 건너가서 일본의 명치유신(明治維新)의 진전과정을 돌아보고 일본의 대표적인 정치가들과도 접촉하여 그들의 정치적 동향 등을 상세히 파악한 다음 돌아오는 도중에 일본시모노세키(下關)에 이르렀을 때, 본국에서 임오군란이 일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황급히 귀국하였다.

제1차 도일(渡日)직후에 『기화근사(箕和近事)』를 편찬하였다.
3. 자주근대화의 노력과 청국의 방해
임오군란이 수습된 뒤 승정원우부승지참의교섭통상사무(參議交涉通商事務)이조참의호조참판외아문협판(外衙門協辦) 등의 요직을 거치면서 나라의 자주근대화와 개화당의 세력 확대에 진력하였다.

그는 일본이 동양의 영국과 같이 되어가는 것을 보고 조선은 동양의 프랑스와 같이 자주부강한 근대국가를 만들어야 나라의 완전독립을 성취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나라의 정치 전반에 대경장개혁(大更張改革)을 단행하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양반신분제도의 폐지, 문벌의 폐지, 신분에 구애받지 않는 인재의 등용, 국가재정의 개혁, 공장제도에 의거한 근대공업의 건설, 광업의 개발, 선진과학기술의 도입과 채용, 상업의 발달과 회사제도의 장려, 화폐의 개혁, 관세 자주권의 정립, 농업과 양잠의 발전, 목축의 발전, 임업의 개발, 어업의 개발과 포경업의 개발, 철도의 부설과 기선 해운의 도입, 전신에 의거한 통신의 발전, 인구조사의 실시 등을 주장하였다.

또한, 나라의 자주근대화를 위해서 학교를 널리 설립하고 신교육의 실시를 주장하였으며, 자주 국방력 양성, 경찰제도의 개혁, 형사행정의 개혁, 도로의 개선과 정비, 위생의 개혁, 종교와 신앙의 자유 허용, 조선의 중립화 등을 주장하였다.

김옥균조선의 완전 자주독립과 자주근대화를 달성하기 위하여 이러한 주장을 국가의 정책으로 실천하고자 하였으나 청국의 극심한 방해를 받았다. 당시 청국은 임오군란의 진압을 위하여 3천명의 군대를 조선에 파견하여 대원군을 납치해가고 임오군란을 진압, 명성황후 정권을 재수립한 뒤에도 철수하지 아니하고 청군을 그대로 서울에 주둔시킨 채, 조선을 실질적으로 속방화(屬邦化)하기 위한 적극간섭정책을 자행하였다.

청국은 김옥균 등의 자주근대화정책이 그들의 속방화정책에 저항하는 것이며 조선의 청국으로부터의 독립을 추구하는 것이라고 보고 김옥균 등의 개화당과 개화정책을 극도로 탄압하였으며, 청국의 도움으로 재집권한 명성황후 친청 사대수구파들도 이에 야합하여 김옥균 등 개화당을 박해하였다.
4. 위로부터의 대개혁 모색
김옥균은 임오군란 후 1882년 9월 수신사 박영효(朴泳孝)의 고문이 되어 제2차로 일본에 건너가서 수신사 일행을 먼저 귀국시키고 서광범(徐光範)과 함께 더 체류하면서 본국으로부터 유학생들을 선발해 보내도록 하여 일본의 여러 학교에 입학시킨 다음 1883년 3월 귀국하였다.

김옥균일본 동경에 체류하는 동안 『치도약론(治道略論)』을 저술하였다. 김옥균은 1883년 6월 국왕의 위임장을 가지고 제3차로 일본에 건너가서 국채(國債)를 모집하려 하였다.

그러나 묄렌도르프(Mo"llendorff, P. G.)명성황후 수구파의 사주를 받은 주조선 일본공사 다케조에(竹添進一郞)김옥균이 휴대한 조선 국왕 고종의 국채위임장을 위조한 것이라고 본국에 허위 보고하여 방해함으로써, 국채모집은 완전히 실패하고 1884년 4월 귀국하였다.

그는 세차례에 걸친 도일과정에서 일본 명치유신의 성과를 견문하고 닥쳐올 나라의 위기를 급박하게 느껴 더욱 초조해졌으며, 그가 개화정책을 서두르면 서두를수록 청국 및 명성황후 수구파와의 정치적 갈등과 대립은 더욱 첨예하게 되었다. 이에 김옥균은 정변(政變)의 방법으로 먼저 정권을 장악한 다음, 그의 개화사상과 주장을 실천하며 나라를 구하기 위한 ‘위로부터의 대개혁’을 단행할 것을 모색하게 되었다.

청국과 프랑스가 안남문제를 둘러싸고 청‧불전쟁의 조짐을 보이자, 1884년 5월 청국은 조선에 주둔시킨 3천명의 청군병력 중에서 1,500명을 안남전선으로 이동시켜 서울에 청군은 1,500명만 남게 되었으며, 1884년 8월 마침내 청‧불전쟁이 일어나 청국은 연전연패하였다.

이에 김옥균은 정변을 일으킬 기회가 왔다고 판단하고, 1884년 9월 개화당 동지들과 함께 정변을 일으키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일본공사 다케조에일본에 갔다가 그해 10월 30일 서울에 귀임하여 종래의 개화당에 대한 적대정책을 바꾸어 개화당에 접근하면서 추파를 던져오자, 김옥균은 정변에 대한 청군의 무력개입을 막는 데 이용하기 위하여 조선군 1천명 이외에 일본공사관 호위용의 일본군 150명을 정변에 끌어들이는 계획을 세웠다.
5. 삼일천하와 개혁실패
그리하여 1884년 양력 12월 4일(음력 10월 17일) 우정국 준공 축하연을 계기로 마침내 갑신정변을 단행하여 그날밤으로 명성황후 수구파의 거물 대신들을 처단하고, 12월 5일 이재원(李載元: 국왕의 종형)영의정으로, 홍영식(洪英植)좌의정으로 한 개화당의 신정부를 수립하였다.

김옥균은 신정부에서 판서가 임명되지 않은 호조참판을 맡아 재정권을 장악하고 실질적으로 정변과 신정부를 모두 지휘하였다. 개화당은 정권을 장악하자 12월 5일 저녁부터 6일 새벽까지 밤을 새워가며 회의를 열어서 김옥균의 주도하에 혁신정강(革新政綱)을 제정하여 6일 오전 9시경에 국왕의 전교형식(傳敎形式)을 빌려 공포하였으며, 이날 오후 3시에는 국왕도 이를 추인하여 대개혁정치를 천명하는 조서(詔書)를 내려서 국정전반의 대개혁이 이루어질듯하였다.

그러나 청군 1,500명은 이날 오후 3시부터 갑신정변을 붕괴시키기 위한 무력개입을 시작하여 불법으로 궁궐에 침입하면서 공격해들어왔다. 외위(外衛)를 담당했던 조선군이 청국침략군에 저항하다가 패퇴하자, 중위(中衛)를 맡았던 일본군은 개화당이 사태를 수습할 사이도 없이 도망하고 철수해버렸다.

이에 개화당은 청군의 무력공격을 방어하지 못하여 갑신정변은 실패하고, 김옥균 등 개화당의 집권은 ‘삼일천하(三日天下)’로 끝나고 말았다. 김옥균은 갑신정변이 실패로 돌아가자 후일의 재기를 기약하고 박영효서광범서재필 등 9명의 동지들과 함께 일본으로 망명하였다.

그러나 일본정부는 망명한 김옥균을 박해하여 1886년 8월 오가사와라섬(小笠原島)에 귀양을 보냈으며, 또한 1888년 북해도(北海道)로 추방하여 연금시켰다.

그뒤 동경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되어 1894년 3월 청국의 상해로 망명하였으나, 명성황후 수구파가 보낸 자객 홍종우(洪鍾宇)에게 상해 동화양행(東和洋行)객실에서 암살당하였다. 청국과 명성황후 수구파 정부는 야합하여 시체를 서울 양화진(楊花津)에 실어다가 능지처참하였다.

4개월 뒤에 갑오경장으로 개화파정부가 수립되자 이듬해 법부대신 서광범총리대신 김홍집(金弘集)의 상소에 의하여 그의 죄가 사면, 복권되었으며, 1910년 규장각대제학에 추증되었다. 시호는 충달(忠達)이다.

저서로는 『기화근사』『치도약론』『갑신일록(甲申日錄)』 등이 있다.

[참고문헌]

嗚呼古筠居士(閔泰瑗, 1925)
朝鮮之偉人(開闢社, 1926)
金玉均傳 上(古筠紀念會, 1944)
甲申政變과 金玉均(閔泰瑗, 國際文化協會, 1947)
開化黨硏究(李光麟, 一潮閣, 1973)
金玉均의 開化思想(愼鏞廈, 東方學志 46‧47‧48合輯, 1985)

[집필자]

신용하(愼鏞廈)
대표명김옥균(金玉均)
옥균(玉均)
성명김옥균(金玉均)
시호충달(忠達)

성명 :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爛錄v6主及各殿宮御東偏房子日本公使與逆黨等處廳事曾往日本學習之士官生徒十三人忽作一作夥入宮環擁少頃洪英植與金玉均等相持假作悲泣之狀自是派日兵圍繞宮門四面凶黨及生徒居中制命禁止出入水泄不通十八日曉左營使李祖淵後營使
爛錄v6方無阻礙百官軍民羅立門外望之而不得入有近門者輒被日兵揮劍驅逐涕泣而退當午刻凶黨自相除官洪英植爲右議政金玉均爲戶曹參判朴泳孝兼帶前後營使徐光範兼帶左右營使協辦交涉通商事務仍行署理督辦徐載弼爲前營正領官兵柄財權
爛錄v6火起公館百姓皆云日本人自燒壬午之變日本人亦嘗自燒天然亭我民則知公館多藏火藥故不敢向邇況大膽放火乎凶黨金玉均朴泳孝徐光範生徒十餘人皆已斷髮洋服由領事館藏身木櫃中登日本商船千歲丸港口之人膾炙相傳由交涉通商衙門照
爛錄v6逆黨金玉均朴泳孝洪英植徐光範徐載弼等曾經遊歷日本藐視本國輕慢人倫輕財喜事侈濫踰分我大君主以其薄有才辯略通外國之
掌禮院日記v4○贈諡故內閣總理大臣贈大提學洪英植贈大提學金玉均贈大提學魚允中에게對야左와如히贈諡심이라
掌禮院日記v4集諡號忠獻事君盡節曰忠嚮忠內德曰獻贈奎章閣大提學洪英植諡號忠愍慮國忘家曰忠使民悲傷曰愍贈奎章閣大提學金玉均諡號忠達慮國忘家曰忠疏中通理曰達贈奎章閣大提學魚允中諡號忠肅慮國忘家曰忠執心決斷曰肅
宣傳官廳日記承候官內外衙門官員主事譯員天明還閉卽納○三更量叛臣金玉均洪英植朴孝泳孝徐光範徐載弼與倭賊作亂○大殿大王大妃
略紀便覽v1按甲申革黨之敗邦人或惜之若金玉均者邦人尤稱其才卽日本人亦多崇拜或述其本傳或珍其筆蹟或有拜其墓而慕其平生者或有拾其毛髮而藏之曰英雄之血
略紀便覽v1本將官之信標者耳玉均等遂矯命差除組織政府左議政李載元右議政洪英植兵曹判書李載完吏曹判書沈舜澤戶曹判書金玉均禮曹判書尹弘淵刑曹判書李沇應工曹判書洪鍾軒外務衙門督辦金弘集協判金允植前營使兼後營使左捕將右捕將漢城
略紀便覽v1日本人在朝鮮屢進屢退以有中國扼之故感憤日深欲乘機排之於是金玉均朴泳孝洪英植徐光範等以少年黨而親日者也閔台鎬趙寧夏尹泰駿金允植魚允中等以老成派而親中者也同時俄國亦潛
略紀便覽v1淵趙定煕等爲親俄派三黨分立而爭機成矣於是日黨諸人欲除淸俄兩黨而斷行其改革主義癸未十一月竹添進一郞歸國金玉均藉借債渡日密陳排淸之計日廷嘉之將壬午賠款之未淸者四十萬圓而還予之以助其進行玉均遂率擧學徒二十人以歸此
略紀便覽v1甲申九月竹添進一郞來是時淸國與法國有安南之役日使乃誘金玉均等曰淸今無暇東顧排淸獨立正在於此時哉不可失也每夜聚商綢繆祕密而欲藉日兵以禦淸人養刺客以除淸黨且自日廷
略紀便覽v1時金玉均追施逆律之事先是金玉均朴泳孝等亡命日本我廷屢要引渡不得後金玉均被逐遷小笠原島又遷札幌甲午三月韓人李逸稙洪鍾宇等渡日本欲殺國事犯諸人逸稙謀殺泳孝機洩被捕玉均欲棄日本
略紀便覽v1金玉均追施逆律之事先是金玉均朴泳孝等亡命日本我廷屢要引渡不得後金玉均被逐遷小笠原島又遷札幌甲午三月韓人李逸
略紀便覽v1時金玉均追施逆律之事先是金玉均朴泳孝等亡命日本我廷屢要引渡不得後金玉均被逐遷小笠原島又遷札幌甲午三月韓人李逸稙洪鍾宇等渡日本欲殺國
韓史綮v1金孝元李山海宋時烈許穆尹拯等其人也主改革者其跡雖似叛逆而其心稍異於叛逆則叛逆傳之外當別立改革黨傳而金玉均朴泳孝輩其人也附書於玆以俟後日撰韓全史者之或取意焉澤榮이페이지는빈페이지입니다
韓史綮v3頗衆○十二月改機務衙門爲經理軍國事務衙門外務衙門爲交涉通商事務衙門時淸人王錫鬯來仕爲軍國衙門參議○以金玉均爲捕鯨使時玉均於少年文臣中最以通曉時務著名故王有意柄用矣○用吳長慶規勸設保擧試于成均館令弘文提學李應
韓史綮v3商兩便秋八月以內帑不足割一萬五千斤付內庫名曰御用蔘令譯人採造以售於是譯人失利爭占其穴而奸弊益甚矣○時金玉均欲立不世之功業謂所善郵征局總辦洪英植承旨徐光範朴泳敎校理徐載弼及朴泳孝曰今宇內萬國皆自主自尊而獨我邦
韓史綮v3所敎王雖知日本兵已退而恐或又有變遂往御世凱營英植淳穆之次子泳敎泳孝兄也後世凱謂金允植曰貴國之政亂久矣金玉均諸人之所爲不可謂無見若當時玉均等聞于我則吾當中立以觀其成惟事出不意故沮之焉吾殊以爲悔耳○金玉均朴泳孝
韓史綮v3亂久矣金玉均諸人之所爲不可謂無見若當時玉均等聞于我則吾當中立以觀其成惟事出不意故沮之焉吾殊以爲悔耳○金玉均朴泳孝徐光範徐載弼及士官生徒等皆與竹添進一郞走之日本時都民欲殺竹添至其館見其已去遂焚館而退○以京畿監
韓史綮v3○以京畿監司金弘集爲左議政判書金炳始爲右議政外務督辦金允植爲兵曹判書仍兼本職炳始力辭不拜○王還宮○罪金玉均等三族時洪淳穆巳向闕叩頭而自殺矣○十二月竹添進一郞自日本來王遣金允植責其助逆出兵竹添反嚇罵允植曰吾遵
韓史綮v3親玉均然後乃可圖今若欲徑見玉均則玉均必疑而拒之子可先游泰西各國鐘宇如其言彺泰西久之復至日本宣言於人曰金玉均國士也吾徧游泰西亦未見若此者惜乎吾君不能知也因以手抵地痛哭玉均聞而異之使人請見鐘宇遂得親近議事然玉均
韓史綮v3甲午三十一年六月以後爲開國五百三年淸光緖二十年春二月洪鐘宇殺金玉均于淸國之上海先是王憤玉均所爲屢遣人往日本欲殺之不果久後又遣李世稙鐘宇素落魄無卿聞其事思欲立功乃往見世
韓史綮v3其意多解退乃以泳孝爲內務大臣趙羲淵爲軍務大臣徐光範爲法務大臣申箕善爲工務大臣尹雄烈爲警務使箕善有文學金玉均之亂被累竄海島至是見宥焉○朝延聞公州捷欲進復全州以李圭泰爲左先鋒李斗璜爲右先鋒十二月南小四郞令圭泰斗
韓史綮v3賣國不已至賣內地河川又將賣何物乎唾面而去○初京師賤人有宋秉畯者桀驁有機數事諸閔得出入宮掖嘗見帝言願斬金玉均頭來帝壯之厚資送于日本秉畯圖玉均不得遂入日本籍以居及一進會出爲日本人來入其會爲頭領秋七月與尹始炳等揭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