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최익현(崔益鉉)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D5CC775D604B1833X0
자(字)찬겸(贊謙)
호(號)면암(勉菴)
생년1833(순조 33)
졸년1906(광무 10)
시대조선후기
본관경주(慶州)
활동분야호국 > 지사
최대(崔岱)
출신지경기도 포천
저서『면암집』
공훈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상세내용]

최익현(崔益鉉)
1833년(순조 33)∼1906년. 한말의 애국지사.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찬겸(贊謙), 호는 면암(勉菴).

경기도 포천 출신. 최대(崔岱)의 아들이다.
1. 유년시절
6세 때 입학하여 9세 때 김기현(金琦鉉)문하에서 유학의 기초를 공부하였고, 14세 때 벽계(蘗溪)에 은퇴한 성리학의 거두 이항로(李恒老)의 문하에서 『격몽요결(擊蒙要訣)』『대학장구(大學章句)』『논어집주(論語集註)』 등을 통하여 성리학의 기본을 습득하였으며, 이항로의 ‘애군여부 우국여가(愛君如父 憂國如家)’의 정신, 즉 애국과 호국의 정신을 배웠다.
2. 관력과 정치적 의지
1855년(철종 6) 명경과에 급제하여 승문원부정자로 출사한 이후 순강원수봉관(順康園守奉官)사헌부지평사간원정언신창현감(新昌縣監)성균관직강사헌부장령돈녕부도정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고 1870년(고종 7)에 승정원동부승지를 지냈다.

수봉관‧지방관‧언관으로 재직시 불의와 부정을 척결하여 자신의 강직성을 발휘하였고, 특히 1868년에 올린 상소는 경복궁(景福宮) 재건을 위한 대원군의 비정을 비판, 시정을 건의한 것이다.

이 상소는 그의 강직성과 우국애민정신의 발로이며 막혔던 언로를 연 계기가 되었다.

또, 1873년에 올린 「계유상소(癸酉上疏)」는 1871년 신미양요를 승리로 이끈 대원군이 그 위세를 몰아 만동묘(萬東廟)를 비롯한 많은 서원의 철폐를 단행하자 그 시정을 건의한 상소다. 이 상소를 계기로 대원군의 10년 집권이 무너지고 고종의 친정이 시작되었다.

한편, 고종의 신임을 받아 호조참판에 제수되었고 누적된 시폐를 바로잡으려 하였으나, 권신들은 반발을 하여 도리어 대원군하야를 부자이간의 행위로 규탄하였다.

이에 「사호조참판겸진소회소(辭戶曹參判兼陳所懷疏)」를 올려 민씨일족의 옹폐를 비난하였으나 상소의 내용이 과격, 방자하다는 이유로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3. 우국애민‧위정척사운동
1873년부터 3년간의 유배생활을 계기로 왕도정치적 명분이 상실된 관직생활을 청산하고 우국애민의 위정척사의 길을 택하게 되었다.

그 첫 시도로서 1876년 「병자지부소(丙子持斧疏)」를 올려 일본과 맺은 병자수호조약을 결사 반대하였다. 이 상소로 흑산도로 유배되었으나 그 신념과 신조는 꺾이지 않았다.

유배에서 풀려난 뒤 1895년 을미사변이 일어날 때까지 약 20년 동안 침묵을 지켰다. 이 시기는 일본과의 개국 이래 임오군란‧갑신정변‧동학운동‧청일전쟁 등 여러 사건이 연속적으로 일어나 국내외 정세가 복잡하였던 때였다.

특히 1881년에 신사척사운동이 일어나 위정척사사상이 고조되고 있을 때 이 운동의 선봉에 섰던 그가 침묵을 지켰다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이러한 침묵에도 불구하고 일본의 침략이라는 역사적 위기상황 속에서 항일투쟁의 지도이념으로 성숙하게 된 것은 그의 위정척사사상이 고루한 보수적인 것이 아님을 말해주는 것이다.

또, 항일정치투쟁방법도 이제까지의 상소라는 언론수단에 의한 개인적‧평화적이 아닌 집단적‧무력적인 방법으로 바뀌었고 위정척사사상도 배외적인 국수주의로부터 민족의 자주의식을 바탕으로 한 자각된 민족주의로 심화되었다.

이러한 그의 항일구국이념은 1895년 을미사변의 발발과 단발령의 단행을 계기로 폭발하였다. 오랫만의 침묵을 깨고 「청토역복의제소(請討逆復衣制疏)」를 올려 항일척사운동에 앞장섰다.

이때 여러 해에 걸쳐 고종으로부터 호조판서각부군선유대원(各府郡宣諭大員)경기도관찰사 등 요직에 제수되었으나 사퇴하고 오로지 시폐의 시정과 일본을 배격할 것을 상소하였다.

당시 올린 상소는 1896년에 「선유대원명하후진회대죄소(宣諭大員命下後陳懷待罪疏)」, 1898년 「사의정부찬정소(辭議政府贊政疏)」와 재소, 「사궁내부특진관소(辭宮內府特進官疏)」와 재소, 1904년 「사궁내부특진관소」의 삼소‧사소, 「수옥헌주차(漱玉軒奏箚)」, 「궐외대명소(闕外待命疏)」와 재소‧삼소‧사소 등이 있다.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곧바로 「청토오적소(請討五賊疏)」와 재소를 올려서 조약의 무효를 국내외에 선포할 것과 망국조약에 참여한 박제순(朴齊純) 등 오적을 처단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언론수단에 의한 위정척사운동은 집단적‧무력적인 항일의병운동으로 전환되었다.

1906년 윤4월 전라북도 태인에서 궐기하고 한편으로 「창의토적소(倡義討賊疏)」를 올려 의거의 심정을 피력하고 궐기를 촉구하는 「포고팔도사민」의 포고문을 돌리고 일본정부에 대한 문죄서 「기일본정부(寄日本政府)」를 발표하였다.
4. 역사적 역할과 의의
74세의 고령으로 의병을 일으켜 최후의 진충보국하고자 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적지 대마도 옥사에서 순국하였다.

그러나 그의 우국애민의 정신과 위정척사사상은 한말의 항일의병운동과 일제강점기의 민족운동‧독립운동의 지도이념으로 계승되었다.

그의 학문은 위정척사운동에 비하여 큰 업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그는 성리학에 기본을 두고 있는 이항로의 학문을 이어받고 있었으나 이기론(理氣論)과 같은 형이상학적인 관심보다는 애국의 실천도덕과 전통질서를 수호하는 명분론에 더 큰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그의 이기론은 이항로의 설을 조술하고 스승의 심전설(心專說)을 계승하였을 뿐이다.

그러나 그의 사상과 이념은 역사적 현실에 바탕을 둔 실천성을 지니고 있었기 때문에 구국애국사상으로, 또 민족주의사상으로 승화, 발전할 수 있었다. 여기서 위정척사사상의 역사적 역할과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최익현의 사우관계는 김기현이항로를 스승으로 하여 성리학을 배웠으나 후자의 영향이 절대적이었고 학우관계는 이항로문하에서 수학한 동문인 이준(李峻)이박(李樸)임규직(林圭直)김평묵(金平黙)박경수(朴慶壽)유중교(柳重敎) 등 비교적 단순하였다.

저서는 『면암집』 40권, 속집 4권, 부록 4권이 있다.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최익현의 대의비인 춘추대의비(春秋大義碑)가 현재 충청남도 예산군 광시면 관음리에 있다. 제향은 모덕사(慕德祠: 충청남도 청양군에 있음.)포천해주고창곡성순화무안함평광산구례 등에서 봉향되고 있다.

[참고문헌]

勉菴集
梅泉野錄
韓國痛史
義兵運動史(金義煥, 博英社, 1974)
韓末의 民族思想(洪淳昶, 探求堂, 1975)
獨立有功者功勳錄 1(國家報勳處, 1986)
勉菴崔益鉉의 生涯와 思想(洪淳昶, 霞汀徐廷德敎授回甲紀念會學術論叢, 1970)

[이미지]

[집필자]

홍순창(洪淳昶)
대표명최익현(崔益鉉)
익현(益鉉)
성명최익현(崔益鉉)
찬겸(贊謙)
면암(勉庵)

성명 : "최익현(崔益鉉)"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爛錄v1二十六日同副承旨崔益鉉上疏略曰挽近以來政變舊章人取軟熟大臣六卿無建白之議臺諫侍從避好事之謗朝廷之上俗論恣行而正誼消諂佞肆志
爛錄v1二十七日領敦令洪有陳疏而答曰卿懇日昨崔益鉉之疏辭中政變舊章之句語實非卿之自當政令之變與不變皆在予躬卿之如是自引豈不過當哉兩司聯箚曰伏以臣等俱以
爛錄v1二十八日玉堂政院聯箚而竝施罷職之典刑曹參議安驥泳辭職云云卽見崔益鉉疏本下者則外托言事而內實沽直不顧事面而肆然投匭橫豎說去無非激軋之論隱映做出莫非誣逼之事擧大小而打盡一
爛錄v1曰臣謹依聖敎招致諸生以批旨內辭意曉諭勸入則諸生等書進所懷以爲伏以聖批若此隆重臣等義不敢一向違越而第崔益鉉疏辭中彝倫斁喪四字何嘗無關於師門明倫之道乎旣未得摭實指的之端則臣等安敢晏然自處於首善之地耶雖伏承還入
爛錄v1三十日掌令洪時衡伏以臣遐士疏蹤幸竊科第厚被洪造之恩屢經侍從之列而識見庸陋無一建白者矣日昨伏讀承旨臣崔益鉉疏疏批有曰極爲嘉尙又曰敢述盛事爲敎大哉王言一哉王心及見其疏辭則果是切切正直鳳鳴朝陽也以臣昏愚可知大聖
爛錄v1初二日居齋生又捲堂而其發論與班首移送秋曹嚴刑一次報來遠竄其不入儒生竝停擧戶曹參判崔益鉉辭職疏曰伏以臣馹召之下猥陳情私冀蒙睿燭而縣道封章自爾淹滯未趁登徹且復治疏之際措辭下字專沒審愼撞觸忌諱
爛錄v1初四日時任大臣聯箚而答曰卿等之懇崔益鉉疏辭中多有語逼者故有所竄配矣老成之地豈可如是卿等其諒之玉堂聯箚答曰崔益鉉疏辭有所語逼者故旣以竄配矣
爛錄v1初六日禁都李元儀崔益鉉具格拿來事抱川地出去副護軍洪萬燮疏略曰夫何近日以來崔益鉉之疏一出而朝象垂亂士氣摧沮古人所謂朝參本自
爛錄v1幸近日每奉朝紙則帝舜樂取善之德大禹拜昌言之化合爲我殿下聰明睿智慈仁神武之天縱聖姿也是以自聞承旨臣崔益鉉疏上之日卿宰侍從之奏箚生進儒臣之抱章莫不以彝倫斁喪爲不法之言而恭惟我殿下包容廣大之德以益明彝倫益開言
爛錄v1初九日玉堂聯箚答曰知道至再至三終不頒布豈有如許道理卽速頒布傳曰今見崔益鉉供招以其鄕曲沒覺而然矣別無更問之端且伏承慈敎若曰此時異於他時特施惟輕之典事屢屢如是則敢不奉承而卿等亦
爛錄v1皆着紋繡家舍亦據峻雕等夷混矣名分乖矣以今計之此爲痛禁之先務惟聖明察之近伏問聞去月二十八日進講入侍時崔益鉉安驥泳事屢度下詢而講官奏對之際檢校典翰權鼎鎬挺身出班發口肆悖間以閭里雜說反覆抑掦情狀莫掩君父之前事
爛錄v1之間一罪人而止耳茲不得不冒死仰瀆惟殿下憐之悶之而垂察焉臣見奇觀鉉殫臣疏辭則以爲臣始以斁倫等說發明崔益鉉又以爲後主聯箚及搆崔益鉉又曰曾守康津縣待官俸不發喪前後遣辭與院吏金在喜同一心腸語無倫脊極其慘毒人之
爛錄v1右議政朴疏批云云日前前席之對雖在倉黃之際而予則但以致卿爲喜中心充然曷有其極所辭閣銜許副矣答兩司聯箚崔益鉉事已有處分則今又更煩是何道理朴遇賢之罪惡莫掩所□依施答獻納洪時衡疏批曰爾其勿辭察職朴遇賢事已有處分
爛錄v1李炳珪等疏批曰廟院事今不可遽議至於毀壇葬埋事自有入聞之道矣爾等退修學業兩司合啓請濟州牧圍籬安置罪人崔益鉉黑山島罪人朴遇賢亟令王府更爲設鞫云云執義張皓根掌令金基龍獻納洪時衡等以避嫌陳箚曰臣等言議風采本不合
爛報抄錄v1曰崔益鉉忠讜正直可以登庸皇上傳手札召來氏不來拜贊政降敦諭八月力疾上來留於西江上疏至于六次皇上詔曰贊政崔益鉉入侍是日入對獻袖箚六條服制改正官民和合等事極爲剴切上幷不納言語每對人輒言曰人之處世以孝於親忠於君爲平
爛報抄錄v1崔益鉉氏가奸細輩指斥되야治安에妨害함이有홈으로鄕里로退去케야抱川鄕第第二子所居 로保護下送얏더니更聞
爛報抄錄v1安撫上疏辭免戊戌上疏言時事十二條不納甲辰六次辭職疏皇上再降敦諭遣祕書丞傳諭特恩隆摯先是大官某氏上奏曰崔益鉉忠讜正直可以登庸皇上傳手札召來氏不來拜贊政降敦諭八月力疾上來留於西江上疏至于六次皇上詔曰贊政崔益鉉入
密陽朴氏五忠實紀行之可書者諸公之敍述已盡無 容贅一辭云癸未仲夏月城崔益鉉謹記五忠事實記大凡人之爲道忠孝而已忠臣盡節孝子觀志
文蔭陞資錄v1行護軍崔益鉉甲午七月初三日工判除授
文蔭陞資錄v1同副承旨崔益鉉文癸酉十月二十五日戶參除授
外案 朴象祐 戊午六都拜 仙 趙雲涉 庚申六拜 德川 崔益鉉 壬戌六都拜 降下 成載琦 癸亥七都拜 甲臈殿最壐
高宗太皇帝行狀v1大王大妃殿十月罷都城門稅又罷願納及結歛皆宮役時所剏申命追奪昏朝罪人孝純己巳罪人來善玄逸官爵因戶曹參判崔益鉉疏請也益鉉疏辭戅甚群下請罪之竟優容奬擢人益服▣翕受之量焉十二月慈▣[帝(첨지페이지)]▣失火移御于昌
高宗太皇帝行狀v1景陵四月命增設學校養成需時之材八月申命嚴禁雜稅九月太子妃閔氏薨諡曰純明十一月塟裕康園十二月贊政崔益鉉承召上來陳嘉謨嘉猷乙巳十一月日本新條約成相臣趙秉世宰臣閔泳煥祭酒宋秉璿死之丙午十二月冊海豐府院君尹澤
宣傳官廳日記均受點○朴正秉昌德昌慶兩宮摘奸後承傳以無頉入稟○以崔益鉉上疏事賓廳啓辭○朴正秉奉標信仍留光化東挾出入賓啓大
龍城誌n1-7책贈吏曹參判李潤神道碑銘參判崔益鉉
龍城誌n1-7책同中樞金承朴墓表判書崔益鉉
龍城誌n1-7책贈承旨金佑一墓表參判崔益鉉撰 金君斗浩桂秀踏趼數百里踵門諗於不佞曰吾祖 寓南
龍城誌n1-7책司憲府持平柳廷植墓碣銘參判崔益鉉撰 不佞早年隨經生居成坸館西齋與柳公廷植善公 精句
龍城誌n1-7책脫悟記勉菴崔益鉉記 人不有可悔於前又焉有晚悔於後蓋人有是身則 有是
韓史綮v3不亦宜乎若大院君所行城門之稅固一時救急之術非以爲經常久遠者則其視中國之稅捐特不過如九牛之拔一毛而乃崔益鉉言之甚切猶若亡國之憂及於眉睫者蓋吾旣惜大院君之不學無術不能培壅商業且不能援中國之稅制以曉民而復歎夫益
韓史綮v3源爲右議政啓源南黨人也○秋始抽開城水蔘稅于蔘戶以補江華武衛營之用水蔘者蔘新採出土者之名也○冬十月掌令崔益鉉上疏論宮役城門稅之弊正言權從祿阿大院君意構言益鉉疏中有瓊宮語是以君上比桀紂也請施竄流之典敎只鐫其職
韓史綮v3紀稍長思欲親總萬幾時時不從大院君之所施措因與閔后兄參判升鎬趙大妃姪參判寧夏等謀所以令大院君退休者以爲崔益鉉能敢言冬十月從其前言罷城門稅隨除同副承旨召之益鉉至上疏論萬東廟等數條王褒陞戶曹參判於是益鉉乃復申論前
韓史綮v3論曰大院君之於太皇雖曰私親而太皇非大院君不生則父子之倫何嘗盡亡哉乃崔益鉉之論大院君其言陰賊暗啮與論他一介之臣同而無別夫益鉉旣非生於空桑者則何其頓忘父子之倫至於此哉大院君之所
韓史綮v3各國以爲援裕元上其書王后見之言於王曰各國交通時運也朝鮮安能獨違王頗然之於是朝野喧藉以爲洋人朝暮至矣○崔益鉉持斧伏闕上疏言朝廷之和日本卽和西洋之漸也宜斥日本以淸其源竄之黑山島初李恒老常言淸人夷狄而西洋禽戰也身
韓史綮v3月李淳翼卒淳翼歷位淸要至于輔國而爲人慳鄙家産雖雄富於一時然手自秤薪米以炊豆肉至生蛆而不以與人○前贊政崔益鉉與泰仁郡守林炳瓉同謀起義號召門徒及他儒生得七十人欲進據全州以爲根本然後入京見伊藤博文責其脅約行至淳昌
韓史綮v3島拘之餘皆笞而釋之○秋七月伊藤博文使人守闕門斷巫瞽之途且令大小官無統監標不得入於是姜錫鎬恐禍及逃去○崔益鉉旣至對馬島有訛言島官將督斷髮益鉉誓死却食者三日旣而知其訛而復食然却食之際氣已凘敗冬十二月卒年七十四日
東國續修文獻錄v1煥文若桂庭驪興人文輔國贈議政忠正公旌趙秉世見相臣旌洪萬植伯憲南陽人文參判贈參政忠貞公旌宋秉璿見儒林旌崔益鉉見儒林李象哲全州人贈內協李康年全州人擧義被殺李儁人各國談辦場伏劍而死金鳳學平壤砲卒贈祕書丞旌許蔿季衡
詩館記事n1책崔益鉉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