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성교(趙性敎)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C131AD50B1818X0
자(字)성유(聖惟)
시호(諡號)문헌(文憲)
생년1818(순조 18)
졸년1876(고종 13)
시대조선후기
본관한양(漢陽)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형만(趙亨晩)
생부조형관(趙亨觀)

[상세내용]

조성교(趙性敎)
1818년(순조 18)∼1876년(고종 13).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성유(聖惟). 조형관(趙亨觀)의 아들로 조형만(趙亨晩)에게 입양되었다.

1859년(철종 10) 증광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1866년(고종 3) 성균관대사성이조참의 등을 역임하였고 이듬해 동지부사로서 청나라에 다녀왔다.

1870년 예문관제학홍문관제학한성부판윤 등을 거쳐 이듬해 예조판서에 올랐다. 이해 동지사의 정사로 재차 청나라에 다녀왔으며, 의정부좌참찬대제학을 지내고 1873년 다시 예조판서로 임명되었다.

이때 경무대(景武臺)에서 실시된 정시문과의 독권관(讀券官)이 되어 고종에게서 시관으로 공평무사하라는 명을 받들었다.

또한 예조판서 재직중 최익현(崔益鉉)대원군 탄핵상소가 있자, 호조판서 김세균(金世均) 등과 연소(聯疏)하였다. 최익현의 상소 중 국왕에게 개혁을 건의하는 논의가 없다고 한 것은 자신들의 죄였으므로, 처벌을 바란다고 하여 월봉3등지전(越俸三等之典)에 처하여졌다.

이듬해 전라도관찰사로 임명되어 당시 극심한 수재로 전주 등 각읍의 민호(民戶)가 피해가 많으므로, 각종 세납물의 상납 기일을 늦추어달라는 장계를 올렸다.

전라도에 면포가 부족하므로 병조의 각 군문(軍門)과 각 아문의 번포(番布)를 돈으로 대납할 수 있도록 하여달라는 장계를 올리는 등 선정을 위하여 힘썼다.

1876년 사헌부 대사헌이 되었다.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참고문헌]

哲宗實錄
高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집필자]

하원호(河元鎬)
대표명조성교(趙性敎)
성교(性敎)
성명조성교(趙性敎), 조성교(趙性教)

명 : "성교(性敎)"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爛抄v4遣大臣攝行進講入侍講官趙性敎参賛吳德泳檢討權膺善假注記事上同云云上曰太子敎之如此而允終以實對果善矣哉性敎曰誠然矣事君無隱臣分之正而况高允臨死不易辭為尤難魏主之除罪以旌未嘗不善崔浩之史事被收誠爲無當盖史事書
爛抄v5顔子於聖人地位具體而微曾子篤學而能傳道統皆非子路可及也上曰縕袍不恥惟恭儉質朴然後事若不儉朴何能如是耶性敎曰然矣賢者志於學而道德仁義充乎內外物不足以爲累故不恥惡衣惡食不務儉而自底於儉朴彼衆人不能立志於學惟以
爛抄v5至今有名於大國可謂名聞天下也性敎曰然矣中國有識之士莫不知之而稱善也上曰以是之故諸賢後裔俱不入中國云耶性敎曰其後孫視以讐地果不入中國至於迎飭公故亦以嫌不叅者是也上曰匹夫之志雖天威之嚴不可奪耶性敎曰然矣士之立
爛抄v5可以奪匹夫之志宜若可奪而所守在己故志不可奪此是聖人敎人立法之堅確也上曰不奪志如桀紂時龍逢比干之類是耶性敎曰誠然矣忠臣志在爲國不以死生易其志是謂殺身以成仁非爲求生而害仁其志可得而奪乎上曰如我國三學士淸陰諸臣
爛抄v5善哉此是孔子引詩之言以美子路實爲後學之所法也上曰子路有勇者也以終身誦之觀之其溫恭篤實之學不及顔曾遠矣性敎曰然矣子路勇於力行可謂賢矣但氣質粗疎自喜其能不復求進於道故夫子言此以警之顔子於聖人地位具體而微曾子篤
爛抄v5移其志適於義則視死如歸雖以天感之嚴有不可奪志者此也上曰衣弊縕袍與衣狐貉不恥者有非凡人所可勉强而能者也性敎曰孟子曰飽乎仁義不顧人之膏粱之味今聞廣譽施於身不願人之久繡古之學者內省不疾不務外等子路能不以貧富動其
爛抄v5諸臣以次退出進講入侍講官趙性敎參贊具春喜侍讀李赫準史官閔云云上曰三軍可奪帥也匹夫不可奪志眞是善形容也性敎曰誠然矣三軍之帥宜若不可奪而其勇在人故帥可以奪匹夫之志宜若可奪而所守在己故志不可奪此是聖人敎人立法之
爛抄v5不疾不務外等子路能不以貧富動其心可以進於道故夫子嘉其立志而稱之也上曰不忮不求之旨尤切於後學成就之工也性敎曰忮者見人之有而妬心萌求者恥己之無而貪心生無此二病則何往而不善哉此是孔子引詩之言以美子路實爲後學之所
爛抄v5燕行時中國朝士語及東國崇賢德尙忠節欽服不已者未必非諸賢之力也上曰諸賢忠節至今有名於大國可謂名聞天下也性敎曰然矣中國有識之士莫不知之而稱善也上曰以是之故諸賢後裔俱不入中國云耶性敎曰其後孫視以讐地果不入中國至
爛抄v5不入中國云耶性敎曰其後孫視以讐地果不入中國至於迎飭公故亦以嫌不叅者是也上曰匹夫之志雖天威之嚴不可奪耶性敎曰然矣士之立志惟義而已天子不能屈賁育莫能奪富貴貧賤不能移其志適於義則視死如歸雖以天感之嚴有不可奪志者
爛抄v5叅事軆攸在誠甚未安違牌諸臺並施罷職之典何如上曰依爲之出擧敎上曰大臣就座性敎曰諸宰奏事炳冀等曰無所奏矣性敎曰玉堂所懷奏之顯裕進前奏曰勉聖學士云云大僚之爲聖學諫勉諄複懇摯臣無容更贅而顧今正衙重建法駕移御承祖宗
爛抄v5後一初盛會也臺閼之臣遂無一人進叅事軆攸在誠甚未安違牌諸臺並施罷職之典何如上曰依爲之出擧敎上曰大臣就座性敎曰諸宰奏事炳冀等曰無所奏矣性敎曰玉堂所懷奏之顯裕進前奏曰勉聖學士云云大僚之爲聖學諫勉諄複懇摯臣無容更
爛抄v5之本原競趨名利之末流此乃有識者所慨歎倘殿下勤於是學日就光明之域則中外曠昤自然觀感興起有爲風行而草偃矣性敎曰興學校爲王政之本而近來士習果不能專心學問有識者之所憂歎久矣聖問到及於斯苟一念典學自聖躬爲先凡於政令
爛抄v5豈可不學而能之乎淳穆曰幼而學之願其壯而行之雖位至卿相必持守士子本業然後上可以夾輔王室下可以保有一身也性敎曰事君之道盡在方冊士子之幼學壯行將以事君也不學無以通古今達事理而他日進身其何以需用至於居官者謨守儒家
爛抄v5以此爲或朝廷諸臣亦各自勉勵可也淳穆曰上行下敬捷於影響殿下若以是躬行慥慥則爲臣子者疇敢不祗若聖念所在乎性敎曰上以是飭勵而下有對揚之實下以是陳勉而上有虛受之量則君臣同休允爲宗社無疆之福此在殿下躬率以先耳上曰近
韓史綮v3己巳六年淸穆宗同治八年王幸太學錄孔子後裔○以南黨人趙性敎爲大提學性敎光祖之後也○長城人奇正鎭者遵之傍裔也自憲宗時以經儒被徵不出于時超擢工曹參判竟不出正鎭務實守靜不以標榜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