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순조(純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21CC870FFFFB1790X0
성명이강(李玜)
자(字)공보(公寶)
호(號)순재(純齋)
생년1790(정조 14)
졸년1834(순조 34)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유빈박씨(綏嬪朴氏)
처부김조순(金祖淳)
외조부박준원(朴準源)
묘소경기도 광주

[상세내용]

순조(純祖)
1790년(정조 14)∼1834년(순조 34). 조선 제23대왕. 재위 1801년∼1834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강(李玜). 자는 공보(公寶), 호는 순재(純齋).

1790년 6월 18일 창경궁(昌慶宮) 집복헌(集福軒)에서 정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모친은 박준원(朴準源)의 딸 유빈박씨(綏嬪朴氏)이다.

1800년(정조 24) 정월 왕세자에 책봉되고, 이해 6월 정조가 승하하자, 7월에 11세의 어린 나이로 창덕궁 인정문(仁政門)에서 즉위하니, 대왕대비 정순왕후(貞純王后: 英祖繼妃 慶州金氏)가 수렴청정하게 되었다.

1802년(순조 2) 10월 영안부원군(永安府院君) 김조순(金祖淳)의 딸을 왕비(王妃: 純元王后)로 맞았다.

1801년 대왕대비는 궁방(宮房)과 관아(官衙)에 예속되어 있던 공노비(公奴婢)를 혁파하고 서얼유통(庶孼流通)을 시행하는 한편, 정조 때부터 집권해오던 시파(時派)에게 보복하기 위해서 사교금압(邪敎禁壓)이라는 명분으로 200여명의 천주교신자들을 학살할 때 시파를 모두 숙청하였다(辛酉迫害).

한편, 왕의 친정 뒤에도 천주교에 대한 탄압은 계속되어 1815년에는 경상충청강원도의 천주교 신자들을 잡아 죽이고(乙亥迫害), 1827년에도 충청전라도의 교인들을 검거해 혹독한 탄압을 가하였다.

1804년 12월 대왕대비가 물러남으로써 친정을 시작하였으나, 정조의 유탁(遺託)을 받고 정치에 관여하게 된 국구(國舅) 김조순 일문에 의한 안동김씨(安東金氏)의 세도정권이 확립되어, 김이익(金履翼)김이도(金履度)김달순(金達淳)김희순(金羲淳)김명순(金明淳) 등이 조정의 요직을 모두 차지하여 전횡(專橫)과 뇌물을 받는 행위를 일삼으니, 인사제도의 기본인 과거제도가 문란해지는 등 정치기강이 무너져 민생은 도탄에 빠지고, 각종 비기(秘記)와 참설(讖說)이 유행하는 등 사회혼란이 일어났다.

이를 틈타서 1811년 평안도 용강(龍岡)사람인 홍경래(洪景來)와 그 무리가 반란을 일으켜 평안도일대를 점령한 뒤 관군과 대결하였으나, 이듬해 4월 정주성(定州城)이 함락됨으로써 난은 평정되었다.

그러나 이해에 한성에 도적과 거지떼가 들끓었고, 1813년 제주도의 토호 양제해(梁濟海)와 1815년 용인이응길(李應吉)이 민란을 일으켰다.

1817년에는 유칠재(柳七在)홍찬모(洪燦謨) 등의 흉서사건(凶書事件), 1819년에는 액예(掖隷)와 원예(院隷)의 작당 모반운동(謀叛運動), 1826년에는 청주에서 괘서사건(掛書事件)이 일어났으며, 1821년에는 서부지방에 전염병이 크게 번져 10만여명이 목숨을 잃었고, 재위 34년 중 19년에 걸쳐 수재(水災)가 일어나는 등 크고 작은 천재지변이 잇달아 발생하였다.

한편 왕은 『양현전심록(兩賢傳心錄)』『사부수권(四部手圈)』『대학유의(大學類義)』『정조어정홍재전서(正祖御定弘齋全書)』『서운관지(書雲觀志)』『동문휘고(同文彙考)』 등을 간행하게 하고, 일본에 통신사를 보내는 등의 치적이 있었다.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 조만영(趙萬永)의 딸을 세자빈으로 맞아서 풍양조씨(豊壤趙氏)일문을 중용하고, 1827년 세자(世子: 翼宗)에게 대리청정(代理聽政)하게 함으로써 안동김씨의 세도를 견제하고자 하였으나, 1830년 세자가 일찍 죽음으로써 실패하였다.

1834년(순조 34) 11월 45세로 죽으니 수용(睟容) 4본이 있어 경모궁(景慕宮) 망묘루(望廟樓)‧경우궁(景祐宮) 성일헌(誠一軒)‧선원전(璿源殿)영희전(永禧殿)에 각각 봉안하였으며, 경기도 광주에 장사지내고 인릉(仁陵)이라 이름지었다.

[참고문헌]

純祖實錄
璿源系譜
備邊司勝錄

[집필자]

김진봉(金鎭鳳)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