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엄(康儼)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AC15C5C4FFFFB1545X0 |
자(字) | 사언(思彦) |
호(號) | 근암(謹庵) |
생년 | 1766(영조 42) |
졸년 | 1833(순조 33)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신천(信川) |
활동분야 | 학자 > 성리학자 |


[상세내용]
강엄(康儼)
1766년(영조 42)∼1833년(순조 33). 조선 후기 성리학자. 자는 사언(思彦)이고, 호는 근암(謹庵)이다. 본관은 신천(信川)이고, 거주지는 경상북도 상주(尙州)이며, 본적은 경상북도 선산군(善山郡)이다.
강인석(康仁碩)의 후손으로, 부친은 강윤조(康胤祖)이고, 동생은 강검(康儉)이다.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문하에서 수학하며,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적 및 경전(經典)을 두루 익혔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생원 3등 24위로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학문을 숭상하여, 퇴도시(退陶詩) 100수를 정선(精選)하고, 『언행록(言行錄)』의 중요 구절들을 필사하여, 매일 암송하고 숙지하였다.
저서로 『관서수록(觀書隨錄)』‧『언자실기(顔子實記)』‧『이기집설(理氣集說)』 외에 4권 2책의 『근암문집(謹庵文集)』 등이 있다.
강인석(康仁碩)의 후손으로, 부친은 강윤조(康胤祖)이고, 동생은 강검(康儉)이다.
손재(損齋) 남한조(南漢朝)‧입재(立齋) 정종로(鄭宗魯) 문하에서 수학하며, 제자백가(諸子百家)의 서적 및 경전(經典)을 두루 익혔다.
1807년(순조 7) 식년시 생원 3등 24위로 합격하였으나,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학문에만 전념하였다.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학문을 숭상하여, 퇴도시(退陶詩) 100수를 정선(精選)하고, 『언행록(言行錄)』의 중요 구절들을 필사하여, 매일 암송하고 숙지하였다.
저서로 『관서수록(觀書隨錄)』‧『언자실기(顔子實記)』‧『이기집설(理氣集說)』 외에 4권 2책의 『근암문집(謹庵文集)』 등이 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