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간(鄭東榦)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15B3D9AC04B1755X0 |
자(字) | 경행(敬行) |
생년 | 1755(영조 31) |
졸년 | 1813(순조 13)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동래(東萊)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정만순(鄭晩淳) |

[관련정보]
[상세내용]
정동간(鄭東榦)
1755년(영조 31)~1813년(순조 13)(주1)
. 조선 후기 문신. 자는 경행(敬行)이다.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증조부는 정혁선(鄭赫先)이고, 조부는 정석백(鄭錫百)이다. 부친 가선대부(嘉善大夫)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정만순(鄭晩淳)과 모친 풍산홍씨 홍진보(洪鎭輔)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덕수이씨 이미(李瀰)이다.
1786년(정조 10) 식년시에서 진사에 합격하였고, 1792년(정조 16)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김이교(金履喬)‧이명연(李明淵)‧홍수만(洪秀晩)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1793년(정조 17) 구휼 정책의 시행여부를 감독할 암행어사(暗行御史)로 추천되었으며,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암행어사로 활동 중 제비로 뽑히지 않은 지역까지도 살핀 일이 규정에 어긋난다는 지적을 당하여 파직되었다. 1811년(순조 11)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임명되었다.
졸년 |
東萊鄭氏文翼公派大同譜 卷之四를 참고하여 졸년을 추가함. |
증조부는 정혁선(鄭赫先)이고, 조부는 정석백(鄭錫百)이다. 부친 가선대부(嘉善大夫) 사헌부대사헌(司憲府大司憲) 정만순(鄭晩淳)과 모친 풍산홍씨 홍진보(洪鎭輔)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덕수이씨 이미(李瀰)이다.
1786년(정조 10) 식년시에서 진사에 합격하였고, 1792년(정조 16) 식년시 문과에서 병과로 급제하였다. 이후 김이교(金履喬)‧이명연(李明淵)‧홍수만(洪秀晩) 등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선발되었다. 1793년(정조 17) 구휼 정책의 시행여부를 감독할 암행어사(暗行御史)로 추천되었으며, 서장관(書狀官)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암행어사로 활동 중 제비로 뽑히지 않은 지역까지도 살핀 일이 규정에 어긋난다는 지적을 당하여 파직되었다. 1811년(순조 11) 이조참의(吏曹參議)에 임명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榜目
純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純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