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조(正祖)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15C870FFFFB1752X0
이명(異名)이성(李祘)
이명(異名)선황제(宣皇帝)
자(字)형운(亨運)
호(號)홍재(弘齋)
시호(諡號)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
생년1752(영조 28)
졸년1800(정조 24)
시대조선후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왕실 > 왕
효장세자(孝章世子)
생부장헌세자(莊獻世子)
생부장조(莊祖)
생모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효의왕후(孝懿王后)
처부김시묵(金時黙)
외조부홍봉한(洪鳳漢)
묘소건릉(健陵)
저서『홍재전서(弘齋全書)』

[상세내용]

정조(正祖)
1752년(영조 28)∼1800년(정조 24). 조선 제 22대왕. 재위 1777년∼1800년.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이성(李祘). 자는 형운(亨運), 호는 홍재(弘齋).
1. 가계와 친정체제 구축
영조의 둘째아들인 장헌세자(莊獻世子, 일명 思悼世子)혜경궁 홍씨(惠慶宮洪氏) 사이에서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청원부원군(淸原府院君) 김시묵(金時黙)의 딸 효의왕후(孝懿王后)를 비(妃)로 맞았다.

1759년(영조 35) 세손에 책봉되고 1762년 장헌세자가 비극의 죽음을 당하자 조세(早世)한 영조의 맏아들 효장세자(孝章世子: 뒤에 眞宗이 됨.)의 후사(後嗣)가 되어 왕통을 이었다.

1775년에 대리청정을 하다가 다음해 영조가 죽자 25세로 왕위에 올랐는데, 생부인 장헌세자가 당쟁에 희생되었듯이, 정조 또한 세손으로 갖은 위험 속에서 홍국영(洪國榮) 등의 도움을 받아 어려움을 이겨냈다. 그리고 ‘개유와(皆有窩)’라는 도서실을 마련하여 청나라의 건륭문화(乾隆文化)에 마음을 기울이며 학문의 연마에 힘썼다.

그리하여 즉위하자 곧 규장각(奎章閣)을 설치하여 문화정치를 표방하는 한편, 그의 즉위를 방해하였던 정후겸(鄭厚謙)홍인한(洪麟漢)홍상간(洪相簡)윤양로(尹養老) 등을 제거하고 나아가 그의 총애를 빙자하여 세도정치를 자행하던 홍국영마저 축출함으로써 친정체제를 구축하는 데 주력하였다.
2. 문화정치의 추진
정조는 퇴색해버린 홍문관을 대신하여 규장각을 문형(文衡)의 상징적 존재로 삼고, 홍문관승정원춘추관종부시 등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부여하면서 정권의 핵심적 기구로 키워나갔다. ‘우문지치(右文之治)’와 ‘작성지화(作成之化)’를 규장각의 2대명분으로 내세우고 본격적인 문화정치를 추진하고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 것이다.

‘작성지화’의 명분 아래 기성의 인재를 모아들일 뿐만 아니라, 참상(參上)‧참외(參外)의 연소한 문신들을 선택, 교육하여 국가의 동량으로 키우고, 나아가 자신의 친위세력으로 확보하고자 하였으며, ‘우문지치’의 명분 아래 세손 때부터 추진한 『사고전서(四庫全書)』의 수입에 노력하는 동시에 서적의 간행에도 힘을 기울여 새로운 활자를 개발하기도 하였다.

임진자(壬辰字)‧정유자(丁酉字)‧한구자(韓構字)‧생생자(生生字)‧정리자(整理字)‧춘추관자(春秋館字) 등을 새로 만들어 많은 서적을 편찬하였으니, 사서‧삼경 등의 당판서적(唐版書籍)을 수입하지 못하게까지 조처한 것도 이와같은 자기문화의 축적이 있었던 데서 가능한 것이었다.

그는 또한 왕조 초기에 제정, 정비된 문물제도의 보완‧정리를 위하여 영조 때부터 시작된 정비작업을 계승, 완결하였다. 『속오례의(續五禮儀)』『증보동국문헌비고(增補東國文獻備考)』『국조보감(國朝寶鑑)』『대전통편(大典通編)』『문원보불(文苑黼黻)』『동문휘고(同文彙考)』『규장전운(奎章全韻)』『오륜행실(五倫行實)』 등은 그 결과였는데, 이와 함께 그는 자신의 저작물도 정리하여 뒷날 『홍재전서(弘齋全書)』(184권 100책)로 정리, 간행되도록 하였다(1814).
3. 탕평책의 계승
그는 아버지의 죽음으로 인하여 당쟁에 대하여 극도의 혐오감을 가지고 있었을 뿐 아니라, 왕권을 강화하고 체제를 재정비하기 위하여 영조 이래의 기본정책인 탕평책을 계승하였다.

그러나 강고하게 그 세력을 구축하고 있었던 노론이 끝까지 당론을 고수하여 벽파(僻派)로 남고, 정조의 정치노선에 찬성하던 남인과 소론 및 일부 노론이 시파(時派)를 형성하여, 당쟁은 종래의 사색당파에서 시파와 벽파의 갈등이라는 새로운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었다.

그가 1794년에 들고 나온 ‘문체반정(文體反正)’이라는 문풍(文風)의 개혁론은 이러한 정치적 상황과도 관련되는 것이었다. 그는 즉위초부터 문풍이 세도(世道)를 반영한다는 전제 아래 문풍쇄신을 통한 세도의 광정(匡正)을 추구하기도 하였지만, 이를 본격적으로 내걸게 된 것은 정치적 난제를 해결하기 위한 고도의 정치술수였으며, 탕평책의 구체적인 장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4. 중인문화의 장려와 문예부흥
그는 학문적으로도 육경(六經) 중심의 남인학파와 친밀하였을 뿐 아니라 예론(禮論)에 있어서도 ‘왕자례부동사서(王者禮不同士庶)’를 주장하여 왕권우위의 보수적 사고를 지니고 있는 남인학파 내지 남인정파와 밀착될 소지를 다분히 안고 있었다.

그러나 ‘천하동례(天下同禮)’를 주창하면서 신권(臣權)을 주장하였던 노론 중에서도 진보주의적인 젊은 자제들은 북학사상(北學思想)을 형성시키고 있었으므로 그의 학자적 소양은 이에도 관심을 기울이게 하였다.

그리하여 규장각검서관(檢書官) 제도를 신설하고 북학파의 종장(宗匠)인 박지원(朴趾源)의 제자들, 즉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을 등용함으로써 그 사상의 수용을 기도하였다.

그런데 이 검서관들은 신분이 서얼로서 영조 때부터 탕평책의 이념에 편승하여 ‘서얼통청운동(庶孽通淸運動)’이라는 신분상승운동을 펴고 있었으므로 이들의 임용은 서얼통청이라는 사회적 요청에 부응하는 조처이기도 하였다.

정조는 이와같이 남인에 뿌리를 둔 실학파와 노론에 기반을 둔 북학파 등 제학파의 장점을 수용하고 그 학풍을 특색있게 장려하여 문운(文運)을 진작시켜나가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문화의 저변확산을 꾀하여 중인(中人)이하 계층의 위항문학(委巷文學)도 적극 지원하였다.

여기서 인왕산을 중심으로 경아전(京衙典)이 주축이 된 중인 이하 계층의 위항인(委巷人)들이 귀족문학으로 성립되어온 한문학의 시단에 대거 참여하여 ‘옥계시사(玉溪詩社)’라는 그들 독자의 시사를 결성하고, 그들만의 공동시집인 『풍요속선(風謠續選)』을 발간하는 등 성관(盛觀)을 이루게 되어 중인문화의 원동력이 되고 뒷날 ‘필운대풍월(弼雲臺風月)’의 효시를 보게도 되었다.

때문에 이 시기를 조선시대의 문예부흥기로 파악하기도 하는데, 그 문예부흥이 가능하였던 배경은 병자호란 이후 17세기 후반의 화이론(華夷論)에 입각한 소중화의식(小中華意識)이 고취되고, 이에 따른 북벌론(北伐論)의 대의명분 아래 안으로는 조선성리학의 이념인 예치(禮治)의 실현이라는 당면과제를 국민상하가 일치단결하여 수행해나가는 과정에서 이룩한 정신적 자긍심과 조선문화의 독자적 발전에 있었다고 하겠다.

이러한 국수주의적(國粹主義的) 경향은 18세기 전반에 있어 문화의 제반분야에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니, 이를테면 그림에서 진경산수(眞景山水)라는 ‘국화풍(國畵風)’, 글씨에서 동국진체(東國眞體)라는 ‘국서풍(國書風)’이 그러한 것이다.

이는 조선성리학의 고유화에 따른 조선문화의 독자성의 발로이며, 바로 이러한 축적 위에 정조의 학자적 소양에서 기인하는 문화정책의 추진과 선진문화인 건륭문화의 수입이 자극이 되어, 이른바 조선 후기의 도미적성관(掉尾的盛觀)으로 파악되는 황금시대를 가능하게 한 것이었다.
5. 문화사업
정조의 업적은 규장각을 통한 문화사업이 대종을 이루지만, 이밖에도 『일성록(日省錄)』의 편수,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의 편찬, 장용영(壯勇營)의 설치, 형정(刑政)의 개혁, 궁차징세법(宮差徵稅法)의 폐지, 『자휼전칙(字恤典則)』의 반포, 『서류소통절목(庶類疏通節目)』의 공포, 노비추쇄법(奴婢推刷法)의 폐지, 천세력(千歲曆)의 제정 및 보급, 통공정책(通共政策)의 실시 등을 손꼽을 수 있다.

그리고 당시 정치문제로 되고 있던 서학(西學)에 대하여 정학(正學)의 진흥만이 서학의 만연을 막는 길이라는 원칙 아래 유연하게 대처한 점도 높이 평가할 것이었다.
6. 장헌세자에 대한 예우
한편, 그는 비명에 죽은 아버지에 대한 복수와 예우문제에도 고심하였다. 외조부 홍봉한(洪鳳漢)이 노론 세도가로서 아버지의 죽음과 관련되었지만, 홀로 된 어머니를 생각하여 사면하여야 하는 갈등을 겪었고, 또 아버지를 장헌세자로 추존하였다가 뒤에 다시 장조(莊祖)로 추존하는 노력을 치렀다.

그러면서 양주 배봉산(拜峰山) 아래에 있던 묘를 수원 화산(花山)아래로 이장하여 현륭원(顯隆園)이라 하였다가 다시 융릉(隆陵)으로 올렸고, 그 인근의 용주사(龍珠寺)를 개수, 확장하여 원찰(願刹)로 삼기도 하였다.

1800년 6월에 49세의 나이로 죽자 그의 유언대로 융릉 동쪽 언덕에 묻혔다가 그의 비 효의왕후가 죽으면서(1821) 융릉 서쪽 언덕에 합장되어 오늘날의 건릉(健陵)이 되었다.

시호는 문성무열성인장효왕(文成武烈聖仁莊孝王)이다. 대한제국이 성립되자 1900년에 황제로 추존되어 선황제(宣皇帝)가 되었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日省錄
內閣日曆
漢京識略
弘齋全書
弘齋王의 文體反正(高橋亨, 靑丘學叢 7, 1932)
韓國의 人間像 1(新丘文化社, 1965)
正祖의 文藝復興政策(鄭亨愚, 東方學志 11, 1970)
正祖의 學藝思想(鄭玉子, 韓國學報 11, 1978)
弘齋王의 文學思想(李家源, 東方學志 20, 1978)
正祖의 抄啓文臣敎育과 文體政策(鄭玉子, 奎章閣 6, 1982)

[집필자]

정옥자(鄭玉子)

묘호 : "정조(正祖)"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1二第五十八英祖配享相臣文衡将臣湖堂第五十九英祖列傳一第六十英祖列傳二莊祖配享第六十一正祖紀事第六十二正祖配享相臣文衡将臣閣臣列傳一第六十三正祖列傳二第六十四純祖紀事第六十五純祖配享相臣文衡将臣閣臣列傳文祖
紀年便攷v1十九英祖列傳一第六十英祖列傳二莊祖配享第六十一正祖紀事第六十二正祖配享相臣文衡将臣閣臣列傳一第六十三正祖列傳二第六十四純祖紀事第六十五純祖配享相臣文衡将臣閣臣列傳文祖配享相臣第六十六憲宗紀事配享相臣文衡将
紀年便攷v1第五十七英祖紀事二第五十八英祖配享相臣文衡将臣湖堂第五十九英祖列傳一第六十英祖列傳二莊祖配享第六十一正祖紀事第六十二正祖配享相臣文衡将臣閣臣列傳一第六十三正祖列傳二第六十四純祖紀事第六十五純祖配享相臣文衡
紀年便攷v3文孝章大王諱緈字聖敬肅宗四十五年己亥二月十五日誕降甲辰封敬義君乙巳封五世子戊申十一月十六日昇遐春秋十正祖卽位因 遺教追尊為王 永陵坡州順陵左岡乙坐追崇後進号永陵妃徽貞賢淑孝純王后趙氏籍豊壤左議政豊陵府院君
紀年便攷v3政豊陵府院君贈領議政文忠公文命女 肅宗四十一年乙未十二月十四日誕降丁未冊封世子嬪辛未十一月十四日昇遐正祖旣追尊 真宗仍追尊為王后 永陵同原嗣正祖宣皇帝
紀年便攷v3寬號毅齋英祖十一年乙卯正月二十一日誕降丙辰冊封王世子癸亥代理壬午閠五月二十一日昇遐春秋二十八賜謚思悼正祖卽位上謚莊獻宫號景慕光武三年己亥追尊為王同年追尊為懿皇帝有五男三女 隆陵水原舊沼後花山癸坐壬午初葬楊
紀年便攷v3懿皇后洪氏籍豊山領議政贈永豊府院君翼靖公鳯漢女英祖十一年乙卯六月十八日誕降甲子冊封世子嬪壬午賜號惠嬪正祖卽位進宫號惠慶乙亥十二月十五日昇遐春秋八十一光武三年己亥追尊為王后同年追尊為懿皇后誕二男二女 隆陵同
紀年便攷v3正祖敬天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
紀年便攷v5子爲武王陳洪範而並稱於三仁何甞以囚奴之生不及刳心之死乎䂓陽從之行至楊州逸于松山善琴每撫㺯以寫懷謚靖節正祖朝享松山趙狷影堂與狷及元宣爲高麗三遺臣五世孫大年見下○後孫主應見下○符孫甲孫昌孫見下○符弟節玄孫球見
紀年便攷v5置馬鞭門側約曰有欲赴舉者執鞭以出不敢齒 士君子諸生皆曰敬聞約遂無一人赴舉者名之曰杜門洞英祖朝㫌其洞 正祖朝立祠祀曺林孟三人賜額曰表節八世孫臣俊見下
紀年便攷v7婿號醉琴軒似無翁婿同號之理世祖受禪後或乙亥或丁丑未詳與母及兄同被禍肅宗朝伸雪配食莊陵忠臣上壇賜謚貞烈正祖朝判付本洞設壇
紀年便攷v7趙順生仁沃孫知敦寧謚節孝賚子李貴齡外孫號坡西官止吏議與安平大君交遊端宗甲戌賜死于固城謫所正祖朝享三相祠公州蓼塘辛亥追錄死事諸臣設壇於莊陵而并享純祖辛卯贈吏參弘提子銘字警之號仁村世宗朝年十六登文
紀年便攷v7及六臣事發仁文托疾愈堅携小奚托浴溫泉經月而返家人默揣其徃寧越而仁文言不及是端宗夢入臼痛哭不復問戶外事正祖朝贈吏判謚忠莊五世孫義剛見下七世孫重振字叔起自號竹林䖏士光海時廢舉 仁祖丁丑下城後入居杜門洞
紀年便攷v7歲奴石釗童暗負逃入金剛山白雲菴削髮為僧乞飯分食有蓮峯老僧者心知而愛教之終至成立以繼金氏之祀英祖朝復官正祖朝贈左賛成謚忠毅
紀年便攷v7魯山及節臣于招免阁世祖欲召之韓確曰此是怨國之徒名之何益上曰吾愛其孝而然也躬自漁樵不勝忠憤而卒年四十一正祖朝贈正卿㫌閭以忠臣孝子特下勅旨五世孫天卿字國佐号茂東中司馬宣祖壬辰計偻有㓛官止郡守贈吏參
紀年便攷v12柳沃中宗乙亥以務安倅與金凈朴祥聯上復温陵之疏其時會於古寺掛三印於臺畔正祖賜祭文有曰三印其臺萬古不磷純祖朝贈吏參哲宗己未加贈吏判賜謚
紀年便攷v13會直向柳灌家與李若海郭玽同㘴談話仍被鞫犯顏争論下獄有求仁得仁又何怨尢之供配鳯山纔出彰義門而卒年五十一正祖朝贈吏判謚貞節三兄弟文科兄光佐判事光弼牧使長子受精於易次子冝官止楊州牧使皆金謹㳟門人
紀年便攷v13事言之齒酸今之君子又踵袞貞所為乎竟被滛刑竄。安東移三水丙午賜死小官賜死自古所無云年三十四宣祖朝贈吏判正祖朝贈謚忠愍系子重慶兄參奉子䕃典設别提謝思即棄終身不赴科宦子嶷子嶷字汝望號南谷事成渾李珥之門倡多士辨師
紀年便攷v15晦不喜人知學本經傳啓沃君德 上甞稱之曰講官第一光海壬子以都憲力求外出為松留獨免禍乙卯卒年六十七贈賛成正祖朝加贈領相謚文敬又命不祧有七子四女四子文科三子䕃仕三婿文科一婿䕃仕子霶雴霙見下
紀年便攷v17守汗脫衣笠進曰可變着而走之詩曰何可苟免逃生乃掩擊殺賊甚多賊四圍鏖戰之詩力盡與弟之禮同殉年四十九贈兵參正祖朝加贈兵判哲宗朝賜謚景毅弟之禮見下子宗一登武科官止會寧府使 仁祖丙子殉節贈參判
紀年便攷v17聞兄軍在龍仁一晝夜馳詣陣中之詩曰何棄主將而来其速還也之禮曰弟何可捨兄也惟當同死生而已遂力戰而殉贈兵參正祖朝加贈兵判哲宗朝賜謚莊愍
紀年便攷v17不肯曰吾初出仕路豈敢托跡權門媒進耶在軍七年未嘗近女色贈右相加贈左相追錄宣武元㓛贈德豊府院君領相謚忠武正祖朝命立尙忠㫌武碑從子莞見下長子薈字茂伯著勳於露梁之戰蔭仕歴任實治稱清簡官止僉正錄原從㓛贈左承旨曾孫弘
紀年便攷v17如儒士嘗有詩曰鉉歌不是英䧺事釰舜要須玉帳遊他日洗兵歸去後江湖漁釣更何求其志可見顯宗朝雪寃屢贈官文兵判正祖朝又贈左賛成謚忠壯名其居曰忠孝里妻李氏丁酉避兵于潭陽罵賊不屈而死兄德弘從高敬命戰死於錦山贈持平弟德普
紀年便攷v17力曉兵家砬敗汝岉於馬上書啓揮毫颯颯無一字錯博學惇行能文辭善騎射倜儻好義氣喜施與重然諾贈領相順昌府院君正祖朝賜謚莊毅㫌閭子瑬見下從子靈號梧崖官止翊賛 仁祖丁卯斥和倡義赴難道聞講和䟽陳大義
紀年便攷v17上副正壬辰從其叔沫倡義克賊沫殉國後䖏李舜臣幕下丁酉赴晉陽單身衝突殺傷■當竟中丸而沒年四十追錄宣武從初正祖朝贈兵系特書曰贈兵曺判書忠壯公諸沫宣武㓛臣贈兵曺參判諸弘祿叔侄雙忠之址命詞是紀實鐫雙碑竪星州賓舘之前
紀年便攷v18城唐項浦上嘉之進階嘉善丁酉至閑山洋終日鏖戰而死之年三十七與李舜臣終始共濟追錄宣武功二等封完興君贈兵判正祖朝賜謚毅愍忠孝兩旌與舜臣共院享庶子輪蔭仕都事不就以父骨未葬為至痛屡遷不起特補濟判纔叙而殁贈右尹特命孝
紀年便攷v18金益福扶安人登文科宣祖壬辰之亂以靈光郡守傳檄列邑屡戰立功階止通政正祖朝贈吏參季子沇孫之純之重之白見下長子瀏亦死於軍仲子澕官參奉仁祖丙子之亂倡義勤王聞講和北望痛哭而歸杜門
紀年便攷v19或一戰馬則免之使返李素冨資装甚饒即納如数知傑請貸其餘李不肯出智傑笑曰吾固不惜死公則惜銀耶遂死焉年十八正祖朝贈戶佐設一門於其父墓下旌之特命立后
紀年便攷v19金佐龍昌原人字雲卿登武科屡歴邉将光海戊午與張繼先金堯卿李高秀等同為千捴死於深河正祖朝贈兵議堯卿高秀不可考佐龍子孫居黄州
紀年便攷v19家人曰此行必不返可以此葬之初屬右營為千捴臨戰見李一元逃走以餘卒赴左營力戰兄弟俱死家人招魂鴨綠江上以葬正祖朝贈兵議継賢贈工佐子孫居瑞興
紀年便攷v21與僕與尙宮登南門樓自燒殺母及妻曹氏俱殉孝宗嘗告仁祖曰祥原守死節臣所目見旌表之典不可闕也英祖朝贈君旌閭正祖朝贈諡忠烈
紀年便攷v21都外村聞變入城中丁丑就空廠中以袴緊自縊賊又從後射之年八十二立朝五十年淸白一節終始不玷贈左相諡忠肅旌閭正祖朝命不祧三兄弟文科兄尙哲評事弟尙伋見下
紀年便攷v22己卯卒六十九官至大司諫卒後以扈駕賞進嘉善剛毅有大節自少力學篤行常懷經世志數上書論事不見用贈領相諡文正正祖朝命不祧三兄弟文科兄燧府使弟烇見下子文擧宣擧見下■兄燧字明叔號雪峯宣祖庚寅生員拜參奉辛丑登文科官止通
紀年便攷v22而虛其一命僕人我死殯於斯乃以弦自決卽丁丑正月也年六十六官止弼善賊火其殯戊寅旌閭贈都承旨加贈吏判諡忠穆正祖朝命不祧
紀年便攷v22士死獨不能殺賊乎又閉目就寐葂又泣曰容讎一陣痛哭而去舜臣大驚問之適有所捕賊問作賊首末乃殺葂者卽命剉斫之正祖朝贈吏議以童子贈爵不啻若汪踦之勿殤
紀年便攷v22死相與泣曰公死於國吾輩不當死於公耶抱屍而殯守墓三年而去龍人憐希建立碑紀其事刱祠以享之官止水使贈左贊成正祖朝賜諡壯烈
紀年便攷v22祭天一云惑於妓麒麟時醉眠其家猝聞賊報麟挽起卽上府鳴鼓聚軍而賊已突入中箭而死贈兵判肅宗朝旌閭英祖朝院享正祖朝賜諡剛愍
紀年便攷v22子白金仁祖癸亥敎曰金應河捐生殉義獨扶三百年綱常雖古昔忠義之士何加焉其賜應河妻子白金三百兩英祖朝命不祧正祖朝旌閭曾孫重器見下
紀年便攷v22瑞出東門外五里許殺之乃仁朝甲子四月也奴同伊涕泣具衣服欲收屍虜不許未幾奴亦被殺因子得振訟冤乃伸雪贈右相正祖朝贈諡襄毅
紀年便攷v22仁祖甲子除禁都不就戊辰拜直長丙子以連山縣監勤王至廣州猝遇賊手擊殺數千人劍折中矢死年五十六贈左承旨旌閭正祖朝加贈吏判諡忠愍弟弘郁見下
紀年便攷v23家事以所帶印綬小吏歸獻本司仍自經於屋下卽丁丑正月也時稷與烇歛瘞於屋內時年五十贈左承旨加贈右參賛諡忠顯正祖朝命不祧
紀年便攷v23葬之肅宗朝贈戶參英祖讀孝一傳教曰節義何減三學士乎名其書曰樹烈千秋傳令戶曹寫二本一本藏大內一本藏之史庫正祖朝加贈兵判諡忠壯
紀年便攷v23李薰葂庶弟登武科仁祖甲子適變力戰於鞍峴死之年三十三正祖朝特贈兵議子孫居寶城
紀年便攷v23弟藎登武科仁祖丁卯胡亂隨從兄莞力戰同死於義州年三十四正祖朝特贈兵議無后
紀年便攷v23惜曰予無殺汝意徑先隕命可惜可惜史官將此往諭其屍俾知予意肅宗丁丑因其孫重蕃上疏訟冤復官賜祭贈左贊諡忠愍正祖朝命不祧改旌其閭曰有明總兵朝鮮國贈崇政大夫議政府左贊成諡忠愍公林慶業贈貞敬夫人全州李氏忠烈雙成之閭
紀年便攷v23午魁武科深河之役不應姜弘立募召仁祖甲子討平適亂策振武功二等封晉陽君官止黃兵丁卯卒年三十四推恩贈左贊成正祖朝贈諡莊毅子赫然見下
紀年便攷v23薦除繕工監役歷主簿出監木川石城以治軍旅缮戎器爲先務官止平市署令顯宗丙午卒年七十四英祖朝贈吏參加贈吏判正祖朝贈諡景憲
紀年便攷v23馬罵不絶口面中二矢虜亂加捶射卽投摩尼山絶壑年三十九兩弟來求屍見虜鏃沒膚者五齒挑而拔之贈執義加贈左承旨正祖朝加贈吏判諡忠翼
紀年便攷v24同志謀擧兵勤王事未集丁丑賊猝至棨罵賊不屈亂刃交下身無完肌而卒年三十五氣節非特遇難立僅而已贈吏判諡忠簡正祖朝命不祧兄弟文科第集,柔,見下六世孫行恁見下
紀年便攷v24顏家傳忠孝文章著聞於當世若其甲申擬檄擬露布等文於中州大爲宋時烈所稱賞期以十襲珍藏誇示中朝將相贈都承旨正祖朝加贈吏判諡孝定就其里表之曰贈司憲府執義洪頤中贈吏曹判書洪錫箕父子忠孝之閭
紀年便攷v24下順長曰相公獨爲盛事乎已而火發幷自焚時丁丑正月也年三十一贈持平肅宗朝加贈吏判又左贊成諡忠烈英祖朝旌閭正祖朝命不祧待是經見下
紀年便攷v24質虜中講院官陪從而孝元以院吏隨行己卯與弼善鄭雷卿謀殺鄭命壽事發同事者皆謀免孝元獨死之年三十七贈判決事正祖朝加贈左尹旌閭
紀年便攷v24上舉恤典顯宗朝錄其子善爲萬戶又因趙持謙言訪問子孫給食物復其戶世世勿隷軍籍李玄逸白上宜加褒贈子孫亦收用正祖朝敎曰我朝名將指先屈於忠武而以軍伍名聞天下者亦惟李士龍是已早編戎籍及應賊募赴錦州與天將祖天壽對津礟之
紀年便攷v24星州礟手李士龍特贈星州牧使使地方官旌其閭仍令其後孫調用安邦俊爲牧使時剏院於遺墟置臧獲田土呉道一撰碑文正祖朝賜院額曰忠節親撰祭文遣道臣致祭
紀年便攷v24以圖後效宗老曰一步不可離況走耶因植立死奴億夫亦從死宗老子燧奔求父屍屍積色變不可辦遂以遺衣葬之贈訓鍊正正祖朝旌閭億夫亦附之旌
紀年便攷v24塞仍附李義培至雙嶺遇虜搏擊殺傷甚多而虜箭帽集遂墮馬死尙龍覓屍藁瘞及返葬改斂面如生瑀三赴國難而卒以身殉正祖朝贈戶議
紀年便攷v24西邊憂擧爲碧潼郡守丁卯亂守義州及虜淊城榮元巷戰殺傷甚衆方控弦滿引而指墮自知力不支拔佩刀自刎贈兵判旌閭正祖朝賜諡襄壯
紀年便攷v24其官誥書淸年號故也皇朝遺民林寅觀之押送燕中也之重之白聯章言其不可讀其疏者莫不慷慨流涕之白祭用崇禎年號正祖朝益福及諸子孫幷贈職時敎旨書崇禎年號子之純字眞卿中進士丁丑後隱居不出
紀年便攷v25鬐時所述也語類小分謫臣濟時所編也問義通考謫濟州時所成也心經釋疑則以李滉講錄承命添删者也又有文集百餘卷正祖題之曰宋子大全受先王世道之托以明理正人心闢異端衛正學爲己任嘗曰使此道由我而明雖滅死萬萬無恨也肅宗庚寅
紀年便攷v29山水間愛清平雪嶽之勝結廬其上自穪居士經學亦臻高明而自得靜中之效為多景宗壬寅卒年七十英祖癸酉贈吏判賛善正祖朝賜謚文康玄孫達淳見下邁㴟見下
紀年便攷v29六臣塜在露梁故也文章甚高其䟽可讀詣闕獻䟽即命追崇端宗位號官止晉州牧使英祖朝又有言者追復溫陵後特贈承㫖正祖朝錄用後孫族姪益愰武郡守命休子官止諮議
紀年便攷v30以討凶逆辨聖誣為已任極陳䥴積及尹宣舉父子奸邪禍國之狀羣凶屠戮忠良之罪䟽入不報英祖乙卯卒年六十二贈吏議正祖朝加贈吏參兼祭酒
紀年便攷v30紀事起乙巳英祖大王元年凡七十六年盡庚申正祖宣皇帝二十四年乙巳英祖大王元年雍正三年命被謫人令金吾䟽决收用教曰朋黨之弊未有甚於近日朝著何時乎正公議
韓史綮v1宗太宗世宗文宗端宗世祖睿宗成宗燕山主中宗第二卷仁宗明宗宣祖第三卷光海主仁祖孝宗顯宗第四卷肅宗景宗英祖正祖第五卷純祖憲宗哲宗太上皇第六卷太上皇遜帝
國朝人物志v1仁祖朝一三編仁祖朝二孝宗朝顯宗朝肅宗朝景宗朝英祖朝正祖朝純祖朝憲宗朝哲宗朝
國朝人物志v2壬辰率僧軍倡義于淸州與重峯趙憲相與猗角錦山之戰憲兵敗死靈圭亦力戰死之正祖甲寅建祠關西之妙香山嶺南之晉州以祀休靜惟政賜額于西曰酬忠南曰表忠名將傳
國朝人物志v3休子甲午進士增廣文科壯元後以冒罰赴殿試與李匡輔拔去追付乙未式科官至參判壬寅冤死正祖甲辰宣諭在廷諸臣曰今年今日卽我先大王御極之回甲也中元之霜露方濡履端之日月重回俛仰疇昔感慕者
(新編) 尺牘大方v1諱緈字聖敬己亥二月十五日誕降初封敬義君戊申十一月十六日昇遐春秋一十正祖丙申追尊○永陵坡州六十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