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유득공(柳得恭)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20B4DDACF5B1748X0
자(字)혜풍(惠風)
호(號)영재(泠齋)
호(號)영암(泠庵)
호(號)고운당(古芸堂)
생년1749(영조 25)
졸년?(미상)
시대조선후기
본관문화(文化)
활동분야학자 > 실학자
유관(柳璭)
저서『경도잡지(京都雜志)』
저서『영재집(泠齋集)』
저서『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
저서『앙엽기(盎葉記)』
저서『사군지(四郡志)』
저서『발해고(渤海考)』
저서『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상세내용]

유득공(柳得恭)
1749년(영조 25)∼미상.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혜보(惠甫)혜풍(惠風), 호는 영재(泠齋)영암(泠庵)고운당(古芸堂).

진사 유관(柳璭)의 아들이다. 영조 때 진사시에 합격하고, 시문에 뛰어난 재질이 인정되어 1779년(정조 3) 규장각검서(奎章閣檢書)로 들어가 활약이 컸으며, 그뒤 제천포천양근 등의 군수를 거쳐 말년에는 풍천부사를 지냈다.

저서로는 『경도잡지(京都雜志)』『영재집(泠齋集)』『고운당필기(古芸堂筆記)』『앙엽기(盎葉記)』『사군지(四郡志)』『발해고(渤海考)』『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 등이 있다.

특히 『경도잡지』조선시대 시민생활과 풍속을 연구하는 데 귀중한 서적이며, 『발해고』는 그의 학문의 깊이와 사상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저서이다.

규장각검서로 있었기 때문에 궁중에 비장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일본의 사료까지도 읽을 기회를 많이 가졌으며, 그러한 바탕 위에서 나온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내용은 오늘날의 학문수준으로 보아 높이 평가할 수는 없으나, 서문에서 “고려시대의 역사가들이 통일신라를 남조로, 발해북조로 하는 국사체계를 세우지 않았던 것이 영원히 옛땅을 되찾는 명분을 잃게 되었다. “고 주장하여 민족주체의식의 일면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에서 벗어나 민족주체의식의 확립에 노력한 모습은 『이십일도회고시』에서도 잘 나타나고 있다. 단군조선에서 고려에 이르기까지 4,000년에 걸쳐 우리 민족이 세운 나라의 21개 도읍지의 전도(奠都) 및 번영을 읊은 43편의 회고시에는 거듭되는 역사의 수레바퀴 속에서 민족의 주체의식을 되새겨보려는 역사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

또한 시는 청나라이조원(李調元)반정균(潘庭均)으로부터 재기종횡(才氣縱橫), 재정부유(才情富有)하다는 평가를 받았을 정도였다.

[참고문헌]

渤海考
韓國史의 再發見(千寬宇, 一潮閣, 1974)
古鮮冊譜(前間恭作, 東洋文庫, 1946)
泠齋柳得恭(李龍範, 李乙浩博士停年紀念實學論叢, 全南大學校湖南文化硏究所, 1975)

[집필자]

이용범(李龍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