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김이소(金履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AE40C774C18CB1735X0
자(字)백안(伯安)
호(號)용암(庸庵)
시호(諡號)익헌(翼憲)
생년1735(영조 11)
졸년1798(정조 22)
시대조선후기
본관안동(安東[新])
활동분야문신 > 문신
김탄행(金坦行)
증조부김창집(金昌集)

[상세내용]

김이소(金履素)
1735년(영조 11)∼1798년(정조 2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新]). 자는 백안(伯安), 호는 용암(庸庵).

부친은 부사 김탄행(金坦行)이며,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의 증손이다.

1764년(영조 40) 병자호란 때의 충신 후손들만을 위하여 시행된 충량정시문과(忠良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70년부터 홍문관교리헌납 등을 지내고, 1776년에 대사간강원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때 북쪽에 흉년이 들어 영남의 곡식을 수송하게 되었는데, 조운(漕運) 감독을 잘못하여 파면되었다.

1778년(정조 2)부터 승지도승지홍문관부제학대사성을 역임하였다.

1780년에는 대사헌이 되어 홍국영(洪國榮)의 관작삭탈을 주청하였고, 1781년에는 『영조실록』 편찬청 교수당상(校讐堂上)을 지냈다.

이듬해 이조참판동지경연사비변사도제조한성부판윤을 거쳐, 1783년 예조판서로 있을 때 채제공(蔡濟恭)을 탄핵하다가 잠시 파면되었다. 이해에 책봉부사(冊封副使)청나라에 다녀와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대향(大享)준비를 소홀히 하여 다시 파면되었다.

1784년부터 세자좌부빈객형조판서병조판서선혜청도제조평안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788년 호조판서를 지냈고, 1791년에는 동지사(冬至使)청나라에 다녀와서 우의정에 올랐다.

1793년 사옹원도제조를 거쳐 좌의정에 승진하였고, 진하사(進賀使)의 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다. 그 이듬해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1796년 사역원도제조를 역임하고 동지 겸 사은사(冬至兼謝恩使)의 정사로 청나라에 다녀왔고, 이듬해 다시 동지사로 다녀왔다. 지조가 있어 옳은 일은 끝까지 추진하여 정조의 신임이 두터웠다.

외교에 뛰어나 청나라에 다섯 번이나 다녀왔고, 문학과 재주가 비상하였으나 잘 드러내지 않았다. 시호는 익헌(翼憲)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집필자]

김용조(金容祚)
대표명김이소(金履素)
이소(履素)
성명김이소(金履素)
시호익헌(翼獻)
용암(庸庵), 용암(庸菴)

명 : "이소(履素)"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6紙張皇囫圇說去者實未知語意之何所指的而大抵星漢之疏是何等凶言悖說則見之者必當膽掉聞之者亦當心寒而噫彼履素之暗地馳書要與酬酢者抑何心腸且況渠疏中以爲星漢所答之書遣辭之抑勒用意之狡猾百倍於疏中句語云爾則卽地抹
國朝捷錄v01履素弟號裕園
禁衛營要覽v1蔭官本府判官文蔭間當有定式故仰達矣上曰本府不但曾有判官小心而久任專意吏治者莫如蔭宰以五品判官定式可也履素 曰本府旣爲留守則畿伯當爲兩都例例兼留守故仰達矣上曰依爲之履素 曰壯勇營都提擧亦如經理廳之三公例兼而
禁衛營要覽v1任專意吏治者莫如蔭宰以五品判官定式可也履素 曰本府旣爲留守則畿伯當爲兩都例例兼留守故仰達矣上曰依爲之履素 曰壯勇營都提擧亦如經理廳之三公例兼而扈衛大將合廳而屬之事命下矣都提擧依惠廳例三公皆例兼乎抑爲軍門都
禁衛營要覽v1於本府比兩都尤爲自別大臣武將特授外文宰差擬限以正二品以上定式似合事宜矣上曰正卿以上定式今番則當特除矣履素 曰本府亞官旣因下敎以判官定制矣松都則經歷用文臣沁都則經歷用蔭官本府判官文蔭間當有定式故仰達矣上曰本
禁衛營要覽v1事命下矣都提擧依惠廳例三公皆例兼乎抑爲軍門都提擧例備望受點乎上曰此是例兼以扈衛大將所帶之大臣單付可也履素 曰本府旣承留守時府使宜有區處之道故敢此仰達矣上曰先令該曹今日政付軍職可也行吏曹判書鄭昌順 所啓壯勇
國朝人物志v3字士猗安東人左相履素侄官至吏曹判書諡孝文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