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주원(李周遠)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8FCC6D0B1714X0
자(字)긍보(亘甫)
호(號)면운재(眠雲齋)
생년1724(경종 4)
졸년1796(정조 20)
시대조선후기
본관재령(載寧)
활동분야학자 > 유생

[상세내용]

이주원(李周遠)
1724년(경종 4)∼1796년(정조 20). 조선 중기 유학자. 자는 긍보(亘甫)이고, 호는 면운재(眠雲齋)이다. 본관은 재령(載寧)이고, 출신지는 경상북도 영해(寧海: 현 영덕군(盈德郡))이다.

증조부는 갈암(葛庵) 이현일(李玄逸)이고, 조부는 이의(李檥)이며, 부친 이지추(李之{氵+寉})와 모친 권수원(權壽元)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 사이에서 4남으로 태어났다. 형으로는 이유원(李猷遠)과 이기원(李期遠)이 있다. 부인은 한양조씨(漢陽趙氏)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백형(伯兄) 이유원의 손아래서 자랐다.

자라서는 이인봉(李仁封)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성리학 방면에 조예가 깊었는데, 1754년(영조 30) 증광시 생원 3등 58위로 합격하였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수학과 후진 양성에 힘썼다. 1794년(정조 18) 수직(壽職)으로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에 올랐다.

선대의 글들을 엮는 작업에 전념하여, 증조의 저서인 『홍범연의(洪範衍義)』와 족형 이휘원(李輝遠)이 펴낸 『가훈증보(家訓增補)』를 정리하였다. 또 백가서(百家書)에서 좋은 글귀들을 뽑아 23권의 『익도편문(翼道編門)』을 펴내기도 하였다.

유고로 후손 이기영(李岐榮)‧이덕영(李德榮) 등이 편찬‧간행한 6권 3책의 『면운재문집(眠雲齋文集)』이 전하는데, 계곡(溪谷) 장유(張維)가 주자설(朱子說)에 이의를 제기하자 이에 대한 반대 입장을 정리하고, 조선 민족의 특수성 등을 역설한 내용 등이 실려 있다.

[참고문헌]


[집필자]

유치석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