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억(洪檍)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D64DC5B5FFFFB1722X0
자(字)유직(幼直)
시호(諡號)정간(貞簡)
생년1722(경종 2)
졸년1809(순조 9)
시대조선후기
본관남양(南陽[土])
활동분야문신 > 문신
홍용조(洪龍祚)
조부홍숙(洪璛)

[상세내용]

홍억(洪檍)
1722년(경종 2)∼1809년(순조 9).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남양(南陽[土]). 자는 유직(幼直). 호조참판 홍숙(洪璛)의 손자이며, 충청도관찰사 홍용조(洪龍祚)의 아들이다.

1753년(영조 29) 알성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평이 되었으며, 이듬해 전적정언이조좌랑을 거쳐 교리가 되었으나, 왕세자(莊獻世子)에게 극간한 것이 문제가 되어 흥해에 유배되었다.

그뒤 풀려나 1765년 부수찬에 기용되었으며, 이어 병조번고어사(兵曹反庫御史)가 되어 훈련도감의 재고부상목(在庫腐傷木)을 군사들에게 상품으로 지급할 것을 건의하였다.

또, 그해에 동지사서장관이 되어 정사 순의군(順義君) 항(恒), 부사 김선행(金善行)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이듬해 부응교가 되었으며, 강원도암행어사로 다녀와 탐비(貪鄙)한 회양부사 김광국(金光國)의 파직을 건의하였다.

1768년 보덕집의를 거쳐 응교가 되었으며, 이때 응제에 수석하여 대녹피(大鹿皮) 한장을 하사받았다.

이듬해 의주부윤이 되어 사상(私商)가운데 범법자를 잡아 참형에 처하였고, 1771년 강계부사를 거쳐 이듬해 대사간에 이어 형조참의를 역임하였다.

1776년(정조 즉위) 대간으로부터 강계부사 재직시의 탐학을 이유로 탄핵을 받고 충군(充軍)되었다가 1787년 다시 대사간에 기용되었으며, 1789년 경상도관찰사가 되었으나 영‧호남 사이의 교통을 사사로이 차단하여 면포(綿布)값을 앙등시킨 죄로 파직당하였다.

이듬해 대사헌이 된 뒤 내의원제조(內醫院提調)한성부판윤, 예조형조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1793년 판의금부사에 이어 지경연사를 겸하였고, 1798년에는 광주부유수(廣州府留守)가 되었으며 1804년(순조 4) 지의금부사가 된 뒤 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시호는 정간(貞簡)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純祖實錄
國朝榜目
楓皐集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홍억(洪檍)
억(檍)
성명홍억(洪檍)

명 : "억(檍)"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事變日記v40人處可也上曰刑房都事誰也檍對曰嚴思勉朴宗明矣上曰禁府擧行全不成樣十都事一竝相換同義禁下去申飭擧行可也曰罪人杖訊盤問之際必多凶言矣上曰大臣各出意見發問目詳査捧口招可也罪人九宗供曰矣身今日得到此地可謂得生
事變日記v40矣身以凶肚逆腸之故爲此言矣矣身萬剮猶輕之罪矣身悉陳無餘無辭遲晩矣上曰刑房都事誰也問郞誰也擧行誠駭然也曰嚴思勉金熙朝也檍奏曰罪人旣已承款似有徑斃之慮矣上曰罪人如氣塞則姑爲下之使救療官看審後更上捧招可也上
事變日記v40爲此言矣矣身萬剮猶輕之罪矣身悉陳無餘無辭遲晩矣上曰刑房都事誰也問郞誰也擧行誠駭然也檍曰嚴思勉金熙朝也奏曰罪人旣已承款似有徑斃之慮矣上曰罪人如氣塞則姑爲下之使救療官看審後更上捧招可也上曰訊杖爲幾度乎心泰
事變日記v40承款似有徑斃之慮矣上曰罪人如氣塞則姑爲下之使救療官看審後更上捧招可也上曰訊杖爲幾度乎心泰奏曰合六度矣奏曰罪人家文書搜來矣上曰大臣親自搜見可矣也上曰禁堂出去申飭救療更上罪人以正結案可也心泰進伏上命罪人救
事變日記v40遲晩納招顯重書訖上曰問郞李尙度進前讀此傳敎可也尙度進前讀訖上曰以音釋讀聽於罪人處可也上曰刑房都事誰也對曰嚴思勉朴宗明矣上曰禁府擧行全不成樣十都事一竝相換同義禁下去申飭擧行可也檍曰罪人杖訊盤問之際必多凶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