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재중(宋載中)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1A1C7ACC911B1719X0 |
자(字) | 중여(仲輿) |
생년 | 1719(숙종 45)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여산(礪山)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송위(宋煒) |

[관련정보]
[상세내용]
송재중(宋載中)
1719년(숙종 45)~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중여(仲輿)이다. 본관은 여산(礪山)이다.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郞) 송화(宋璍)이고, 조부는 송세진(宋世晉)이며, 부친은 상주진관병마절제도위(尙州鎭管兵馬節制都尉)를 지낸 송위(宋煒)이다. 형은 송집중(宋集中)이고, 동생은 송영중(宋榮中)‧송택중(宋擇中)이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에서 진사 2등 4위로 합격하였고, 1760년(영조 36) 과거에서 수석을 차지하였으나 『시전(詩傳)』을 잘 외우지 못하여 직부회시(直赴會試)되었다. 1775년(영조 51) 57세의 나이로 정시에서 을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예모관(禮貌官)에 임명되었으나, 1775년(영조 51) 왕세손이 청정(聽政) 조참(朝參)을 할 때 제대로 예를 차리지 못했다고 승지(承旨) 서호수(徐浩修)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같은 해에 문학(文學)에 재직하면서 서연에서 주대(奏對)한 것이 매우 무엄하였다는 이유로 사판(仕版)에서 삭제되었다. 1775년(영조 51)에 문과 정시가 열렸을 때, 그를 포함한 정극환(鄭克煥)‧송익언(宋翼彦)‧이진상(李鎭常)‧조덕윤(趙德潤) 등 20인이 과거에서 부정을 저질렀다는 사실이 2년 뒤인 1777년(정조 1)에 발각되었다. 이들은 부친이 시험을 주관하게 되자 다른 사람의 자료를 받거나, 거짓으로 속여서 합격하였다는 죄목으로 합격자명단에서 삭제되었고, 국청(鞫聽)에서 조사를 받았다.
증조부는 통덕랑(通德郞) 송화(宋璍)이고, 조부는 송세진(宋世晉)이며, 부친은 상주진관병마절제도위(尙州鎭管兵馬節制都尉)를 지낸 송위(宋煒)이다. 형은 송집중(宋集中)이고, 동생은 송영중(宋榮中)‧송택중(宋擇中)이다.
1750년(영조 26) 식년시에서 진사 2등 4위로 합격하였고, 1760년(영조 36) 과거에서 수석을 차지하였으나 『시전(詩傳)』을 잘 외우지 못하여 직부회시(直赴會試)되었다. 1775년(영조 51) 57세의 나이로 정시에서 을과 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예모관(禮貌官)에 임명되었으나, 1775년(영조 51) 왕세손이 청정(聽政) 조참(朝參)을 할 때 제대로 예를 차리지 못했다고 승지(承旨) 서호수(徐浩修)로부터 비난을 받았다. 같은 해에 문학(文學)에 재직하면서 서연에서 주대(奏對)한 것이 매우 무엄하였다는 이유로 사판(仕版)에서 삭제되었다. 1775년(영조 51)에 문과 정시가 열렸을 때, 그를 포함한 정극환(鄭克煥)‧송익언(宋翼彦)‧이진상(李鎭常)‧조덕윤(趙德潤) 등 20인이 과거에서 부정을 저질렀다는 사실이 2년 뒤인 1777년(정조 1)에 발각되었다. 이들은 부친이 시험을 주관하게 되자 다른 사람의 자료를 받거나, 거짓으로 속여서 합격하였다는 죄목으로 합격자명단에서 삭제되었고, 국청(鞫聽)에서 조사를 받았다.
[참고문헌]
[집필자]
손용석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