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엄(趙曮)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870C5C4FFFFB1719X0
자(字)명서(明瑞)
호(號)영호(永湖)
시호(諡號)문익(文翼)
생년1719(숙종 45)
졸년1777(정조 1)
시대조선후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상경(趙商絅)
저서『해사일기』

[상세내용]

조엄(趙曮)
1719년(숙종 45)∼1777년(정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명서(明瑞), 호는 영호(永湖). 이조판서 조상경(趙商絅)의 아들이다.

1738년(영조 14) 생원시에 합격, 음보로 내시교관(內侍敎官)세자익위사시직(世子翊衛司侍直)을 지내고, 1752년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이어 지평수찬교리 등을 역임하고 동래부사충청도암행어사를 거쳐, 1758년에 이례적인 승진으로 경상도관찰사에 임명되매, 도내(道內) 시노비(寺奴婢) 1만여명의 노비공(奴婢貢)을 견감(蠲减)시켜 그 불만을 가라앉히고 한전(旱田)에 대한 감세(減稅) 비율을 적용, 전세부담을 줄이는 한편, 조창(漕倉)을 설치하는 치적을 쌓고, 중앙으로 벼슬이 옮겨 대사헌부제학승지이조참의 등을 지냈다.

1763년 통신정사(通信正使)로서 일본에 다녀온 뒤 대사간한성부우윤, 예조공조참판공조판서를 차례로 역임하였다.

1770년 이조판서로 있을 때 영의정 김치인(金致仁)의 천거로 특별히 평안도관찰사로 파견되어 감영의 오래된 공채(公債) 30여만냥을 일시에 징수하는 등 적폐(積弊)를 해소하는 수완을 보였으나, 토호세력들의 반발로 인하여 탐학하였다는 모함을 받아 곤경에 처하기도 하였다.

이후 다시 이조판서로 서용되었지만 1776년 정조가 즉위하자 벽파(僻派)인 홍인한(洪麟漢)정후겸(鄭厚謙) 등과 결탁하였다는 홍국영(洪國榮)의 무고를 받아 파직되면서 이어 일단 벗겨졌던 평안도관찰사 재임시의 부정혐의가 새삼 문제가 되어 탐재학민(貪財虐民)한 부패관리(贓吏)의 대표적 인물로 지목되어 평안도 위원으로 유배되었다가, 아들 조진관(趙鎭寬)의 호소에 의하여 죽음을 면하고 김해로 귀양이 옮겨졌으나 실의와 불만 끝에 이듬해 병사하였다.

문장에 능하고 경사(經史)에 밝았을 뿐만 아니라 경륜(經綸)도 뛰어나고 민생문제에 많은 관심을 가져서 남긴 업적이 적지 않은데, 특히 경상도관찰사로 재임시 창원의 마산창(馬山倉), 밀양의 삼랑창(三浪倉) 등 조창을 설치하여 전라도에까지만 미치던 조운을 경상도 연해지역에까지 통하게 함으로써 세곡납부에 따른 종래의 민폐를 크게 줄이고 동시에 국고수입을 증가하게 하였던 점과, 통신사로 일본에 갔을 때 대마도에서 고구마의 종자를 가져오고 그 보장법(保藏法)과 재배법을 아울러 보급함으로써 구황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게 하였던 점〔제주도에서는 고구마를 조저(趙藷)라고 부르며, 고구마라는 말 자체가 그가 지은 『해사일기(海槎日記)』에서 일본인이 이를 ‘고귀위마(古貴爲麻)’라고 부른다고 기록한 데서 유래되었다 한다〕은 후세에 공덕으로 크게 기려지고 있다.

1794년(정조 18) 좌의정 김이소(金履素)평안도안핵어사(平安道按覈御史) 이상황(李相璜)의 노력으로 신원되고, 1814년(순조 14)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저서로 통신사로서 일본을 내왕하며 견문한 바를 적은 『해사일기』가 전하고 있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純祖實錄
海槎日記
雲石遺鎬
甘藷傳播考(孫晉泰, 震檀學報 13, 1941)

[집필자]

정만조(鄭萬祚)
대표명조엄(趙曮)
엄(曮)
성명조엄(趙曮)
시호문익(文翼)

성명 : "조엄(趙曮)"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柔兆涒灘(丙申)v2萬兩則又得於本査之外此則竝付法部代決末徵債査事今已收殺而十一萬石取剩條姑未行査於本道者亦爲詳査以聞去趙曮 在營之時不過五六年之間則其時監色必皆生存其年市直亦皆記得各別嚴問從實査覈論理區別狀聞而務從明白俾無
柔兆涒灘(丙申)v2律回示本道以謝南民宜矣臣無任云云○傳曰當初關西査啓之命只以二十四萬徵債而不及十一萬石發賣者朝家非不知趙曮 之所轉幻取剩不在於二十四萬兩之徵債而專在於一十萬石之發賣者也十一萬石發賣取剩事則權烋 啓於平問之時
政堂故事v8一不賑濟四十萬兩營貸督徵於民而耗穀斥賣之際以其價之難捧不許於小民盡給富商哀彼赤子如在水火前年平安監司趙曮宜嚴法重繩以謝西人命引見聚行聚行言西土有人相食之變遂命曮削職令緘問其事而遣御史李命彬査覈趙緘答以在營
政堂故事v9十六之人卄二日吏判李潭除弘學與領相金相福等行堂錄拔李東馨李惠祚入李勉修任希雨初命行館錄弘學趙明鼎改授趙曮亦不進曮貶京坼水使以不卽出謝拿八充軍趙明鼎配喬桐數十餘日幷赦之七月十三日掌令安鼎大啓駮李昌漢無文鄙陋
政堂故事v10前書啓不但奉使無狀其孤負聖意莫此爲甚可謂罪上添罪不可尋常處之前平安道暗行御使李命彬拿待公除後處分傳曰趙曮押去時道路付食嚴禁倍道自前只有倍道之名而無其實當直都事嚴飭二十七日傳諭書令宣傳官持傳于關西伯貪吏趙曮
政堂故事v10昨冬聽政後上在東宮對宮僚出一櫃其中有□畫寶筆滿櫃令曰此趙曮爲西伯時因洪相家納于余云云其□又對諸臣云趙曮有三罪渠以兵判告于上曰臣乃明燭達朝云渠於平常無事時每安得
政堂故事v10嗟爾西土之民咸聽多告嗚呼大行大王五紀臨御恤民云云噫彼趙曮負九重委毗之恩民憂溢目正當魯野之無靑公物肥己殆甚薛稷之封墨年前憲長之疏備論推剝之罪今日納言之箚盛陳贓
政堂故事v10趙曮押去時道路付食嚴禁倍道自前只有倍道之名而無其實當直都事嚴飭二十七日傳諭書令宣傳官持傳于關西伯貪吏趙曮到平壤日觀察使布政門外大會民人宣布諭書亦爲眞諺翻謄䁱諭各邑鎭堡使西土之愚夫愚婦知有朝家懲貪之政二十八
政堂故事v10昨冬聽政後上在東宮對宮僚出一櫃其中有□畫寶筆滿櫃令曰此趙曮爲西伯時因洪相家納于余云云其□又對諸臣云趙曮有三罪渠以兵判告于上曰臣乃明燭達朝云渠於平常無事時每安得如此乎渠又以提學當科時爲其子見科連四科違召渠
政堂故事v10矣父於關西被三件罪案卽賑政之不設也發賣之故剩也徵債之虛錄也蓋賑政則其時監司具允鈺狀啓以前監司趙曮所區劃五千石分排十六邑得免捐瘠云於此可驗賑飢之設也發賣事元穀十一萬石亦有各邑報狀營門文書若査覈則包米
政堂故事v10是時鎭寬在獄忽聞人浪說言權烋方處斬趙曮拿來鎭寬遂自刎而得不死曮事自上更令西伯査啓
政堂故事v10趙曮軍官權烋下獄査問曮事納供發明引趙鎭禎命嚴刑究問同日曮子鎭寬擊鼓上言更請査實判府云烋之所供以三十萬兩吐
郯述v04趙 曮
郯述v04領相申晩左相洪鳳漢右相尹東度主文李鼎輔左參贊尹汲右參贊金致仁朴相德吏議趙曮○畐副學鄭存謙應敎鄭晩淳本館錄李星慶姜潤任城金普淳尹一復五人未參姜必履任希敎沈勖之尹蓍東朴取源李普圭
通文館志n1-2책部結案云云○關白源家重退休其子源家 治新立請賀使遣趙曮李仁培金相翊通信 仍將發送緣由具咨順付咨官○遣順悌
王妃嘉禮謄錄, 巳卯(1750)n1-1책臣朴師訥箋一通寶城郡守臣林世載箋一通慶尙道觀察使臣趙曮箋一通左道兵馬節度使臣李漢膺箋一通右道兵馬節度使臣
王妃嘉禮謄錄, 巳卯(1750)n1-1책木箋五通全羅道觀察使臣■麟漢等箋七通慶尙道觀察使臣趙曮木箋十六通江原道觀察使時沈鏽等箋四通黃海道觀察使臣
和吉翁主嘉禮謄錄府關內參判洪樂性子壽榮於淸衍郡主爲八寸親是遣參判 趙曮子鎭宜爲五寸親府使任薖子耆戌爲七寸親 貞陵令金範行
和吉翁主嘉禮謄錄金聖迪子參奉 金汝默子竝許婚以示予意司直洪樂性子判趙曮子通德郞許濬 子五衛將兪彦徽子僉正魚錫定子直長韓尙
和吉翁主嘉禮謄錄爲許婚亦示予除文具省弊之意 一 傳曰今日許婚傳敎中趙曮子下尹東暹子權浩性子分付禮曹一 体爲之 甲申十二
和吉翁主嘉禮謄錄楔原溪君㯙吏曹判書朴相 德驪平君㷞花城君槹刑曹參判趙曮以上在外 今十月十四日以承傳色口傳 下敎曰今番嘉禮
禁衛營謄錄n1-121책貽弊江上之事此亦一體嚴禁爲宜敢達上曰依爲之吏曹參議趙曮曰臣頃在江上恃聞 有此事故以禁斷之意通于備局而大抵
國朝人物志v3復回回進十官至察訪大中學易于遲齋金焌英祖癸酉生員丙子文科以書記官隨通信使趙曮入日本至大坂訓導崔天宗爲馬島倭所殺賊不得或請還到釜山以書契往復大中曰大坂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