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서명응(徐命膺)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11CBA85C751B1716X0
자(字)군수(君受)
호(號)보만재(保晩齋)
시호(諡號)문정(文靖)
생년1716(숙종 42)
졸년1787(정조 11)
시대조선후기
본관대구(大丘)
활동분야문신 > 문신
서종옥(徐宗玉)
5대조서성(徐渻)
저서『보만재집』
저서『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
저서『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상세내용]

서명응(徐命膺)
1716년(숙종 42)∼1787년(정조 11).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군수(君受). 보만재(保晩齋)라는 호를 정조로부터 내려 받았다. 판서 서성(徐渻)의 5세손이고, 이조판서 서종옥(徐宗玉)의 아들이며, 영의정 서명선(徐命善)의 형이다.

1754년(영조 3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이조판서를 거친 뒤, 청나라 연경(燕京)에 사행하여 다녀왔다.

그뒤 대제학을 거쳐 상신(相臣)에 오르고 봉조하(奉朝賀)에 이르렀다. 그는 박학강기(博學强記)로 이름났으며 역학(易學)에 조예가 깊었다. 정조가 동궁에 있을 때 빈객(賓客)으로 초치되어 학문수련에 큰 도움을 주었다. 정조 즉위 직후 규장각이 세워졌을 때 제학(提學)에 첫번째로 임명되었으며, 그가 죽을 때까지 규장각 운영에는 절대적인 찬획(贊劃)을 끼쳤다.

그는 흔히 북학파(北學派)의 비조(鼻祖)로 일컬어지며, 이용후생(利用厚生)을 추구하는 그의 학문정신은 아들 서호수(徐浩修), 손자 서유구(徐有榘)에로 이어져 가학(家學)의 전통이 세워지기도 하였다.

그는 『역학계몽집전(易學啓蒙集箋)』『황극일원도(皇極一元圖)』.『계몽도설(啓蒙圖說)』 등의 역서류, 『열성지장통기(列聖誌狀通記)』『기사경회력(耆社慶會曆)』『기자외기(箕子外紀)』『대구서씨세보(大丘徐氏世譜)』.『양한사명(兩漢詞命)』 등의 사서류, 『고사신서(攷事新書)』의 유서(類書) 등을 편찬하는 데 주도적 역할을 하고, 저술로는 『보만재집』『보만재총서(保晩齋叢書)』『보만재잉간(保晩齋剩簡)』 등을 남겼다.

이 저술들은 사후에 서호수서유구 등에 의해 정리된 것인데, 보만재총서는 정조로부터 “우리 동쪽에서 400년간에 이런 거편(鉅篇)이 없었다.”는 평을 받았으며, 『보만재잉간』은 총서를 편집하고 남은 것을 따로 모은 것이다. 『보만재총서』는 일종의 유서로서 『고사신서』와 함께 그의 농업을 중심으로 한 이용후생의 학문정신을 대표적으로 반영하고 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참고문헌]

正祖實錄
國朝榜目

[집필자]

이태진(李泰鎭)
대표명서명응(徐命膺)
명응(命膺)
성명서명응(徐命膺)
군수(君受)

성명 : "서명응(徐命膺)"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歷代總要v04在楊州健元陵右岡行狀徐命膺撰誌文金陽澤撰又有表○正宗甲辰定世室
待闡錄v1辛巳五月初六日大司成徐命膺上書曰國家將興箴規之言日聞於上國家將亡忠讜之論日消於下故古之人有面斥其君於桀紂者其興也勃然有面諛其
待闡錄v1徐命膺由守令新登第爲正言上書言事首言新進不可論人是非仍言講學納諫等事遂及祀典科法武學五六條盛言在南邑時興學
待闡錄v2世子之卒徐命膺之夫人趙氏爲之食素云先時世子西行時命膺上書多逼語人以其有動搖意知舊皆絶之亦有退婚者趙氏乃聞知其事言曰
待闡錄v4李聖模定配擧行徐命膺商量處之
待闡錄v4於他人故人莫敢言云云日前儒臣沈煥之所懷論列李聖模趨附能賊至情受能賊指揮詮官之罪乃非別人卽命膺也云云請徐命膺先施流放之典李聖模依儒臣所請煥之請屛裔批略世變雖無窮斯人之有是遭罹乎李普行避略雖其特念其弟之樹立欲貸
待闡錄v4大憲李普行疏云云徐命膺之於賊能其附麗親昵情同骨肉而至使其子結爲師弟隨其鼻臭承奉唯諾乃擧世之所共知而方賊能竄配之日其子爲之治
待闡錄v6謙則迭投凶書必履則敢請布告或有同惡而幸免者亦有致討而見漏者天網太恢輿情愈憤而若其塗人耳目衆所痛疾者至徐命膺而極矣使魯禧行其胸臆者卽命膺也使顯重露其手脚者亦命膺也其爲泮長也挺身應募抱衾入泮三日留宿嘯聚諸生中嗜
待闡錄v6通奧援或名以直諫而實則訐揚臣等前疏已爲歷陳而如蜮之狀容有所未知漏網之類安保其必無第塗人耳目輿情愈憤者徐命膺是已其爲泮長時先募安衡等粧□館疏公肆凶口渠又繼之以明倫堂三字是何等語也李頤祥之親奉馬鐙願爲執鞭吁亦痛
事變日記v33二十一日平安監司徐命膺伴送使李徽之狀啓也勅行黃州牧止宿之由昨已馳啓爲白有在果當日卯時量黃州牧離發午時量中和府中火而驛人馬交
小華龜鑑v19漢紀子禮判李天輔見上相臣錄李鼎輔字士受號三洲金陽澤見上相臣錄三世典文鄭宲字公華號■■鄭翬良見上相臣錄徐命膺字君受黃景源字大卿李徽之今■上相臣李福源今■上相臣
政堂故事v3全羅監司趙雲逵勿待命尹悥二次尹光纉更招後仍配巨濟荐棘李世和三次傳曰加刑本府爲之親鞫姑罷大諫兪彦民執義徐命膺所懷光纉供辭中三式年仍書僞勳皆出於其族人替書不自照檢云云者全不成說請訊問得實上曰聖述則推諉其父此則不
政堂故事v4文秀自乙亥被拿後杜門不出慙恚病死上悶之加贈議政令不待狀加諡於是玉堂議諡徐命膺洪榟李仁源議以肅敏及命膺至奉賞更議時改以忠憲因簡問洪榟榟辭以方在外不折止之物議怪之以爲梓初議肅敏固美
政堂故事v5直無所不及東宮謝以求對而密言之爲可感也初志修將上章極言草已定爲其叔命彬所力挽而止云後數日初六日大司成徐命膺上書曰伏以國家將興規箴之言日聞於上國家將亡忠讜之言日消於下故古之人有面斥其君爲桀紂而其興之勃然有面諛
政堂故事v8金爲執義疏論徐命膺爲大學冒彈行公不識廉恥宜譴削初臺臣趙昌逵論徐安希文衡百計鄙鑚得參其圈宜改正至是拜大學不引嫌於辭疏人或
政堂故事v8之緩頰於和中而不聽故當復供辭引此故有此處分而戶郞則關李有世嫌不相見貶坐各不赴而趙乃上考是後兩郞皆坐罷徐命膺對疏則以爲趙乃渠在銓時長銓尹汲不相訍而通淸渠嘗疏塞之不可以臺諫待之故其言亦不爲嫌云
國朝捷錄v01三洲吏判左尹兩臣子益輔兄天輔四寸淸湖孫建源父丨丨以不文削科後復鄭實字公華判府蔣庵孫號念齋舜河子正宗朝徐命膺字君受號淡翁判府判書宗玉子奉朝賀相命善兄黃景源字大卿號江漢判府虎村十四代孫升源六寸父璣獨石爀七代孫台
景孝殿郎廳先生案 判書 徐命膺
郯述v01正使海運君槤副吏判黃景源書兼執義徐命膺
郯述v01正使禮判徐命膺副吏參洪梓書持平洪樂信
郯述v02徐命膺
郯述v04判洪啓禧吏參趙明履鄭翬良吏議徐志修○癸酉畐副學金相福應敎韓光會本館錄李世泰未參李最中趙榮順洪良漢洪梓徐命膺李儁徽宋瑩中沈鑧尹得養金時默李仁源洪準海洪景海鄭存謙南泰蓍李錫祥鄭尙淳李世澤洪獜漢二十人加入
武陞資錄朴宗德 文判書 洪國榮 摠 徐命善洪樂性 文領相 徐命膺 文判書 金鍾秀 文領相 鄭民始 摠 鄭尙淳 文判
上諡都監儀軌n1-2책壬辰八月十九日)上 諡都監別單 竹冊文製述官行司直徐命膺預差知中樞府事黃景源竹冊文書寫官行司直鄭厚謙預差錦
上諡都監儀軌n1-2책壬辰九月十五日)上 諡都監別單 竹冊文製述官行司直徐命膺書寫官行司直鄭厚謙銀印篆文書寫官忠淸監司尹東晳 同
上諡都監儀軌n1-2책瑤圖靑社留光翊鴻基於盤石諱稽首再拜上冊製述官行司直徐命膺 書寫官行司直鄭厚謙 捧竹冊官河南君垙安昌君燝擧舉
重訂南漢志v1諭南漢守禦使徐命膺曰所重乎山城者夫豈但爲陰雨之備而已駕到日取見邑志貿貿疎略不堪憑信殊是欠事況南北漢均是保障北城則有志又
靑邱風雲v1□趙觀彬□甫號悔軒南有容德哉致仕耆社辛丑司馬永睿文淸公號昏溯鄭翬良尹鳳朝金陽澤李鼎輔鄭實黃景源徐命膺李福源이페이지는빈페이지입니다
東國續修文獻錄v1正宗朝黃景源大卿江漢長水人吏判徐命膺君受澹翁達城人吏判李福源見相李徽之見相洪樂純見相金鍾秀見相吳載純文景醇庵瑗子吏判洪良浩漢卿耳溪豐山人
東國續修文獻錄v1相洪國榮德老敦寧樂春子豐山人參判蔡濟恭伯規樊菴同樞膺一子平康人領相文肅李福源綏之吏判喆輔子延安人左相徐命膺君受澹翁吏判宗玉子大邱人二相文衡文靖金鍾秀定夫夢梧洗馬致萬子淸風人左相文忠兪彥鎬士京右尹直基子杞溪人
東國續修文獻錄v1相七十一韓光會文叔淸州人七十八吏判沈爾復來仲靑松人八十九知樞趙暾光瑞豐壤人七十五吏判金致仁見相七十五徐命膺君受達城人七十二輔國嚴璹孺文寧越人七十二禮判尹光紹穉繩坡平人七十九知敦姜杭而直晉州人八十六知事趙時敏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1-01-03문과방목과 大丘徐氏世譜(2003년 간행)를 참고하여 본관을 달성(達城)에서 대구(大丘)로 수정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