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중회(趙重晦)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C911D68CB1711X0
자(字)익장(益章)
시호(諡號)충헌(忠憲)
생년1711(숙종 37)
졸년1782(정조 6)
시대조선후기
본관함안(咸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영복(趙榮福)

[상세내용]

조중회(趙重晦)
1711년(숙종 37)∼1782년(정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함안(咸安). 자는 익장(益章). 생육신의 한 사람인 증참판 조여(趙旅)의 10대손이며, 대사간 조영복(趙榮福)의 아들이다. 이재(李縡)의 문인이다.

1736년(영조 12)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739년 설서가 되고, 예문관검열을 거쳐 1743년 정언이 되었다.

이때 왕의 사묘(私廟)의 참례(參禮)와 사행(使行)의 폐를 통렬히 논박하다가 관직을 삭탈당하였다.

1748년 대신들이 경연석상에서 상주(上奏)하여 부수찬에 다시 기용되었으며, 교리수찬을 거쳐 이듬해 헌납겸사서문학 등을 역임하였다.

1750년 탕평책을 반대하는 윤급(尹汲)을 변호하다 파직당하였으나 곧 기용되어 이듬해 겸필선이 되고, 이어서 사은 겸 동지사(謝恩兼冬至使)서장관(書狀官)으로 정사 낙창군(洛昌君) 당(樘), 부사 신사건(申思建)과 함께 청나라에 다녀왔다.

1752년 필선이 되고, 이듬해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라 승지를 역임한 뒤 1757년 대사간이 되었다.

1759년 대사성이 되었으며, 그뒤 승지병조참의영변부사양주목사 등을 거쳐 다시 승지가 되었다.

이때 장헌세자(莊獻世子)가 뒤주에 갇혀 아사하게 되자, 이의 부당함을 극간하다가 무장(茂長)으로 유배되었다.

1770년 개성유수, 이듬해 우윤도승지를 역임하였다.

그뒤 1772년 이조참판, 이듬해 대사헌예조판서 등을 거쳐 다시 대사헌이 되었다.

1775년 이조판서에 이어 다시 예조판서가 되었는데, 이듬해 영조가 죽자 빈전도감(殯殿都監)도제조를 겸하였다. 정조의 즉위와 함께 함경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때 함경도 지방에 혹심한 흉년이 들자 기근의 참상을 알리고 진휼책(賑恤策)의 시급함을 건의하였다.

1779년(정조 3) 공조판서가 되었으며, 이듬해 치사(致仕)하여 기로소(耆老所)에 들었다.

1781년 세도가 홍국영(洪國榮)이 죽자 이조판서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正祖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梅山集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조중회(趙重晦)
중회(重晦)
성명조중회(趙重晦)
시호충헌(忠憲)
익장(益章)

명 : "중회(重晦)"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待闡錄v3藥云幾年之病未用一貼藥豈非恨耶又對臣鄰語之曰思悼代理十四年卿等曾行三月之服耶遂特除趙重晦承旨曰當日惟重晦有代理之語也云又親製文祭孝章廟思悼廟而其文隱不行故其辭莫有知者又上指李世演卽彝章之侄也流涕謂世孫曰此
辛壬紀年提要v13二十四年戊辰四月十四日三司大憲徐命正言任師範校理趙重晦韓光會連啓光億事上嚴敎命九光會特遞師範罷職重晦削職承旨金漢喆請還收叩頭流血上從之
玄駒說v1方數罪時及就囚時終不明下廢爲庶人之敎但下敎曰爾死可乎予死可乎旣囚後始令承旨趙重晦 讀傳敎重晦 不奉命玉堂尹得孟 乃宣讀云
玄駒說v1累年有疾而未用一貼藥豈非恨耶又對臣隣語之曰思悼 代理十四年卿等曾行三月之服耶遂特除趙重晦承旨曰壬午惟重晦 有代理之語也云又上親製文祭孝章廟及思悼廟而其文隱不行故其辭莫得有知者盖懼者諱之云
國朝人物志v1之是以鄕人惟知其孝友其蘊于中者無得以稱焉自卜藏於鼎巖江上距伯夷山若干里正廟辛丑十世孫重晦疏陳本末加贈吏曹判書諡靖節莊陵志咸安郡西山書院祀趙旅元昊金時習李孟專
國朝人物志v3極其誠敬爲開城留守上章極論時政得失忤旨削黜退居忠州村舍戊申榮福奔問拜漢城右尹男重晦文科大司憲
國朝人物志v3漁溪旅之後父榮福參辛丑建儲爲凶黨所竄逐官至開城留守娶參奉延日鄭纘憲女生重晦幼厚重有德器學於陶庵李縡年二十六文科爲說書上疏論元良導迪之方癸亥爲正言抗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