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응협(李應協)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74C751D611B1709X0 |
자(字) | 인경(寅卿) |
생년 | 1709(숙종 35) |
졸년 | 1772(영조 48)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성주(星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응협(李應協)
1709년(숙종 35)∼1772년(영조 48).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인경(寅卿)이고,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증조부는 참판 이준구(李俊耉)이고, 조부는 이관주(李觀周)이다. 부친 이덕명(李德明)과 모친 박세채(朴世采)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신영(申昹)이다.
관직의 행보마다 성질이 거칠고 미쳤다는 비난을 자주 들었다. 벼슬은 1739년(영조 15) 지평‧정언을 역임하고 헌납‧부교리를 지냈다. 1749년(영조 25) 사간‧교리‧겸문학(兼文學)‧승지를 거쳐, 1750년(영조 26) 대사간(大司諫), 1753년(영조 29) 회양부사(淮陽府使) 등을 역임한 후, 1767년(영조 43)에는 예조참판‧병조참판에 이르렀다.
증조부는 참판 이준구(李俊耉)이고, 조부는 이관주(李觀周)이다. 부친 이덕명(李德明)과 모친 박세채(朴世采)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신영(申昹)이다.
관직의 행보마다 성질이 거칠고 미쳤다는 비난을 자주 들었다. 벼슬은 1739년(영조 15) 지평‧정언을 역임하고 헌납‧부교리를 지냈다. 1749년(영조 25) 사간‧교리‧겸문학(兼文學)‧승지를 거쳐, 1750년(영조 26) 대사간(大司諫), 1753년(영조 29) 회양부사(淮陽府使) 등을 역임한 후, 1767년(영조 43)에는 예조참판‧병조참판에 이르렀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김성욱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