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재민(趙載敏)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870C7ACBBFCB1706X0 |
자(字) | 언신(言愼) |
생년 | 1706(숙종 32)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후기 |
본관 | 풍양(豊壤)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조재민(趙載敏)
1706년(숙종 32)∼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언신(言愼)이다. 본관은 풍양(豊壤)이다.
증조부는 조상변(趙相抃)이고, 조부는 조유수(趙裕壽)이다. 부친 조적명(趙迪命)과 모친 송징오(宋徵五)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신형(申瀅)이다.
1737년(영조 1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삼사의 요직을 두루 거친 뒤 대사간(大司諫)에 올랐다. 1755년(영조 31) 김일경(金一鏡)의 잔당인 심정연(沈鼎衍)과 함께 반란을 모의한 신치운(申致雲)의 무고로 거제도에 정배되었다가 1763년(영조 39)이 되어서야 풀려났다. 그러나 더 이상 서용되지 않았다.
증조부는 조상변(趙相抃)이고, 조부는 조유수(趙裕壽)이다. 부친 조적명(趙迪命)과 모친 송징오(宋徵五)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처부는 신형(申瀅)이다.
1737년(영조 13)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후 삼사의 요직을 두루 거친 뒤 대사간(大司諫)에 올랐다. 1755년(영조 31) 김일경(金一鏡)의 잔당인 심정연(沈鼎衍)과 함께 반란을 모의한 신치운(申致雲)의 무고로 거제도에 정배되었다가 1763년(영조 39)이 되어서야 풀려났다. 그러나 더 이상 서용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英祖實錄
國朝榜目
國朝榜目
[집필자]
김성욱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