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득형(尹得衡)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724B4DDD615B1691X0 |
자(字) | 경임(景任) |
생년 | 1691(숙종 17) |
졸년 | 1729(영조 5)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해평(海平) |
활동분야 | 유생 |

부 | 윤영(尹泳) |

[관련정보]
[상세내용]
윤득형(尹得衡)
1691년(숙종 17)~1729년(영조 5). 조선 중기 유생. 자는 경임(景任)이다. 본관은 해평(海平)이다. 거주지는 한양(漢陽: 현 서울)이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윤영(尹泳)이다. 동생은 윤득문(尹得文)‧윤득훈(尹得勳)‧윤득로(尹得魯)‧윤득언(尹得彦)이다.
1715년(숙종 41) 식년시 생원에 장원으로 합격한 후, 같은 해 식년시에 진사 1등 2위로 합격하였다.
1721년(경종 1)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좌의정 이건명(李健命)‧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등의 청으로 연잉군(延礽君)이 왕세제가 되었는데, 왕세제가 정사를 대행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며 부호군(副濩軍) 심수현(沈壽賢) 등의 관료들과 성균관 유생들이 상소를 올릴 때 동참하였다. 1729년(영조 5) 1728년(영조 4) 신임사화로 득세하던 소론(少論)과 남인(南人)이 영조의 등극으로 세력에서 밀려난 뒤 이인좌(李麟佐)를 중심으로 정희량(鄭希亮) 등이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증손(曾孫) 밀풍군(密豊君) 이탄(李坦)을 추대하는 반란을 도모하였다. 이 난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 포도청(捕盜廳)에 갇힌 후 추국(推鞫)되었다. 끝까지 죄를 부인하다가 혹독한 형장(刑杖)을 이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였다.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윤영(尹泳)이다. 동생은 윤득문(尹得文)‧윤득훈(尹得勳)‧윤득로(尹得魯)‧윤득언(尹得彦)이다.
1715년(숙종 41) 식년시 생원에 장원으로 합격한 후, 같은 해 식년시에 진사 1등 2위로 합격하였다.
1721년(경종 1) 영의정 김창집(金昌集)‧좌의정 이건명(李健命)‧판중추부사 조태채(趙泰采) 등의 청으로 연잉군(延礽君)이 왕세제가 되었는데, 왕세제가 정사를 대행하는 것은 부당한 일이라며 부호군(副濩軍) 심수현(沈壽賢) 등의 관료들과 성균관 유생들이 상소를 올릴 때 동참하였다. 1729년(영조 5) 1728년(영조 4) 신임사화로 득세하던 소론(少論)과 남인(南人)이 영조의 등극으로 세력에서 밀려난 뒤 이인좌(李麟佐)를 중심으로 정희량(鄭希亮) 등이 소현세자(昭顯世子)의 증손(曾孫) 밀풍군(密豊君) 이탄(李坦)을 추대하는 반란을 도모하였다. 이 난에 가담한 사실이 드러나 포도청(捕盜廳)에 갇힌 후 추국(推鞫)되었다. 끝까지 죄를 부인하다가 혹독한 형장(刑杖)을 이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하였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景宗實錄
英祖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