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범갑(金范甲)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E40BC94AC11B1690X0 |
자(字) | 중만(仲萬) |
생년 | 1690(숙종 16) |
졸년 | 1755(영조 31)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안동(安東[舊]) |
활동분야 | 문신 |

부 | 김하영(金夏英) |

[관련정보]
[상세내용]
김범갑(金范甲)
1690년(숙종 16)∼1755년(영조 31).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중만(仲萬)이다. 본관은 안동(安東[舊])이다.
김영(金瑛)의 후손이며, 증조부는 김중일(金重鎰)이고, 조부는 김명석(金命碩)이다. 부친 통덕랑(通德郞) 주부(主簿) 김하영(金夏英)과 모친 이정악(李挺岳)의 딸 사이에서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김성갑(金聖甲)‧김상갑(金相甲)이고, 동생은 김우갑(金禹甲)이다. 부인은 두 명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정무(鄭堥)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홍우구(洪禹龜)의 딸이다.
1717년(숙종 43) 식년시에서 진사에 합격하였다. 이후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1723년(경종 3) 성균관 학생으로 재학 중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를 모신 도봉서원(道峰書院)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하지 못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35년(영조 11) 증광시 을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좌랑(司諫院佐郞)‧사헌부좌랑(司憲府佐郞)을 거쳐 맹산현감(孟山縣監)에 올랐다.
김영(金瑛)의 후손이며, 증조부는 김중일(金重鎰)이고, 조부는 김명석(金命碩)이다. 부친 통덕랑(通德郞) 주부(主簿) 김하영(金夏英)과 모친 이정악(李挺岳)의 딸 사이에서 4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은 김성갑(金聖甲)‧김상갑(金相甲)이고, 동생은 김우갑(金禹甲)이다. 부인은 두 명을 두었는데, 첫째 부인은 정무(鄭堥)의 딸이고, 둘째 부인은 홍우구(洪禹龜)의 딸이다.
1717년(숙종 43) 식년시에서 진사에 합격하였다. 이후 성균관(成均館)에 입학하여 수학하였다.
1723년(경종 3) 성균관 학생으로 재학 중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를 모신 도봉서원(道峰書院)에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을 배향하지 못하도록 상소를 올리기도 하였다.
1735년(영조 11) 증광시 을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사간원좌랑(司諫院佐郞)‧사헌부좌랑(司憲府佐郞)을 거쳐 맹산현감(孟山縣監)에 올랐다.
[참고문헌]
CD-ROM 사마방목(司馬榜目)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조선왕조실록(경종, 영조)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조선왕조실록(경종, 영조)
[집필자]
정병섭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