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정희규(鄭熙揆)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15D76CADDCB1688X0
자(字)숙첨(叔瞻)
호(號)농곡(農谷)
생년1688(숙종 14)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초계(草溪)
활동분야문신
정한주(鄭漢柱)
생부정이주(鄭履柱)

[상세내용]

정희규(鄭熙揆)
1688년(숙종 14)~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숙첨(叔瞻)이고, 호는 농곡(農谷)이다.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거주지는 한양이다.

증조부는 정륜(鄭錀)이고, 조부는 정수현(鄭洙賢)이며, 부친은 중훈대부(中訓大夫) 지제교(知製敎) 정한주(鄭漢柱)이다. 생부는 정이주(鄭履柱)이고, 처부는 홍중우(洪重禹)이다. 형은 정희조(鄭熙祚)‧정희보(鄭熙普)이고, 동생은 정희서(鄭熙敍)이다.

1714년(숙종 40) 증광시 진사 3등 55위로 합격하였으며, 1721년(경종 1) 증광시 문과에 5위로 급제하였다. 관직은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사헌부장령(司憲府掌令)‧사간원헌납(司諫院獻納)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 통덕랑(通德郞)에 이르렀다.

1728년(영조 4)에 이인좌(李麟佐)를 중심으로 정희량(鄭希亮) 등이 반란을 일으켰다가 처형된 무오사화(戊午士禍) 관련 역적 중의 한 명인 신천영(申天永)의 종제(從弟) 신왈증(申曰曾)이 나라를 원망하는 원국시(怨國詩)를 지어 권두령(權斗齡)에게 전해준 일이 있었다. 이 일로 1745년(영조 21) 임금이 친히 국문(鞠問)을 하였는데, 정희규(鄭熙揆)와 권두령의 모친은 서로 이성사촌(異姓四寸) 사이였기에 정희규의 누이동생을 같은 고을에 사는 선비에게 시집보낼 때 정희규가 사모(紗帽)와 장막을 빌려주었다는 이유로 추삭(追削)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文科榜目
英祖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수정내역
2011-10-31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