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도(李度)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C774B3C4FFFFB1686X0 |
자(字) | 탄지(坦之) |
생년 | 1686(숙종 12) |
졸년 | 1734(영조 10)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여주(驪州)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이동욱(李東郁) |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도(李度)
1686년(숙종 12)~1734년(영조 10). 조선 중기 문신. 자는 탄지(坦之)이다. 본관은 여주(驪州)이고, 출신지는 서울이다.
증조부는 이덕언(李德言)이고, 조부는 이훤(李烜)이며. 부친은 예조참판 이동욱(李東郁)이다. 이서(李庶)는 아우이다. 처부는 반남박씨 전라감사(全羅監事) 박태순(朴泰淳)이다.
1721년(경종 1) 신축 식년시(式年試) 생원‧진사에 합격하였다.
관직은 동몽교관(童蒙敎官)‧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부여현감(扶餘縣監)‧옥천군수(沃川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728년(영조 4) 3월에는 이인좌 난이 일어나자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어 난을 평정하는데 기여한 공으로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에 녹훈되기도 하였다.
장남은 통훈대부 순릉직장(順陵直長) 이수희(李壽羲), 차남은 통덕랑(通德郞) 이수헌(李壽軒), 3남은 통정대부 대사간(大司諫) 이수훈(李壽勛)이다.
묘는 수원에서 이천 양촌리로 1997년에 천장(遷葬)하였고, 배위와 합장(合葬)이다.
증조부는 이덕언(李德言)이고, 조부는 이훤(李烜)이며. 부친은 예조참판 이동욱(李東郁)이다. 이서(李庶)는 아우이다. 처부는 반남박씨 전라감사(全羅監事) 박태순(朴泰淳)이다.
1721년(경종 1) 신축 식년시(式年試) 생원‧진사에 합격하였다.
관직은 동몽교관(童蒙敎官)‧사옹원봉사(司饔院奉事)‧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돈녕부주부(敦寧府主簿)‧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부여현감(扶餘縣監)‧옥천군수(沃川郡守)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1728년(영조 4) 3월에는 이인좌 난이 일어나자 의금부도사에 제수되어 난을 평정하는데 기여한 공으로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에 녹훈되기도 하였다.
장남은 통훈대부 순릉직장(順陵直長) 이수희(李壽羲), 차남은 통덕랑(通德郞) 이수헌(李壽軒), 3남은 통정대부 대사간(大司諫) 이수훈(李壽勛)이다.
묘는 수원에서 이천 양촌리로 1997년에 천장(遷葬)하였고, 배위와 합장(合葬)이다.
[참고문헌]
[집필자]
이필용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