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유익(愼惟益)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C2E0C720C775B1671X0 |
자(字) | 여수(汝受) |
생년 | 1671(현종 12)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거창(居昌) |
활동분야 | 문신 |

부 | 신이명(愼爾明) |

[관련정보]
[상세내용]
신유익(愼惟益)
1671년(현종 12)~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여수(汝受)이다.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거주지는 충청남도 니산(尼山)이다.
증조부는 신호겸(愼好謙)이고, 조부는 신탁(愼逴)이며, 부친은 신이명(愼爾明)이다. 외조부는 전석연(田錫衍)이고, 처부는 이후응(李後膺)이다. 형으로 신유정(愼惟精)‧신유창(愼惟昌)이 있다.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93년(숙종 19) 식년시 진사 3등에 42위로 합격하였으며, 1694년(숙종 20) 별시 병과에 10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지기은 병조좌랑(兵曹佐郞)‧장령(掌令)‧제주목사(濟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렀다.
1700년(숙종 26) 최석정(崔錫鼎)이 『대전속록(大典續錄)』과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찬수할 때 낭청(郎廳)으로 함께 참여하였다. 1723년(경종 3)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청나라에 사신을 다녀왔다. 1725년(영조 1) 제주목사 재임 시절 과거인 1722년(경종 2)에 사직단(社稷壇)에서 임금이 친히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어가(御駕) 앞에서 역모 죄인 이이명(李頤命)과 김창집(金昌集)에게 내린 사형을 감하라 명(命)을 거두어달라며 청대(請對)를 했던 일로 삭탈관작(삭탈官爵)되고 문외출송(門外黜送) 되었다가 유배되었다.
증조부는 신호겸(愼好謙)이고, 조부는 신탁(愼逴)이며, 부친은 신이명(愼爾明)이다. 외조부는 전석연(田錫衍)이고, 처부는 이후응(李後膺)이다. 형으로 신유정(愼惟精)‧신유창(愼惟昌)이 있다.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93년(숙종 19) 식년시 진사 3등에 42위로 합격하였으며, 1694년(숙종 20) 별시 병과에 10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지기은 병조좌랑(兵曹佐郞)‧장령(掌令)‧제주목사(濟州牧使) 등을 역임하였으며, 품계는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이르렀다.
1700년(숙종 26) 최석정(崔錫鼎)이 『대전속록(大典續錄)』과 『여지승람(輿地勝覽)』을 찬수할 때 낭청(郎廳)으로 함께 참여하였다. 1723년(경종 3)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청나라에 사신을 다녀왔다. 1725년(영조 1) 제주목사 재임 시절 과거인 1722년(경종 2)에 사직단(社稷壇)에서 임금이 친히 기우제(祈雨祭)를 지낼 때 어가(御駕) 앞에서 역모 죄인 이이명(李頤命)과 김창집(金昌集)에게 내린 사형을 감하라 명(命)을 거두어달라며 청대(請對)를 했던 일로 삭탈관작(삭탈官爵)되고 문외출송(門外黜送) 되었다가 유배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文科榜目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國朝文科榜目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