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한규(李漢珪)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D55CADDCB1662X0
자(字)내숙(來叔)
생년1662(현종 3)
졸년1729(영조 5)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무신 > 무신

[관련정보]

[상세내용]

이한규(李漢珪)
1662년(현종 3)∼1729년(영조 5) 8월 8일. 조선 중기 무신. 자는 내숙(來叔)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출신지는 서울이다.

증조부는 이정급(李正級)이고, 부친 이상지(李尙志)와 모친 김정각(金廷覺)의 딸 언양김씨(彦陽金氏)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권황(權諻)의 딸 안동권씨(安東權氏)이다.

홍기(洪𧡺)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76년(숙종 2) 무과에 응시하여 선전관(宣傳官)에 임용된 것을 시작으로, 1729년(영조 5)에 이르기까지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경상좌도수군절도사(慶尙左道水軍節度使)‧보성군수(寶城郡守)‧정평부사(定平府使)‧군품시첨정(軍器寺僉正)‧경상우도병마절도사(慶尙右道兵馬節度使)‧중군(中軍) 겸 도총부부총관(兼都摠府副摠管)‧정헌(正憲) 등 여러 직책을 두루 역임하였다.

무장(武將)인데도 항상 손에서 책을 놓지 않았고, ‘장수가 되는 도(道)는 명을 받는 날에 그 집안을 잊어야 하고, 진영을 방비하기로 약속함에 임하여서는 그 어버이를 잊어야 하며, 북채를 두드리면 자기 자신을 잊어야 한다.’며 군관들을 격려하고 경계시켰다.

좌찬성(左贊成) 행지중추부사(行知中樞府事)에 추증되었다.

슬하에 9남 2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이여적(李汝迪)‧이여회(李汝晦)‧이여익(李汝益)‧이여충(李汝忠)‧이여명(李汝明)‧이여흠(李汝欽)‧이여량(李汝亮)‧이여신(李汝信)‧이여관(李汝寬)이다.

묘는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다.

[참고문헌]

西堂私載

[집필자]

김경희
수정일수정내역
2010-10-23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