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만적(郭萬績)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ACFDB9CCC801B1653X0 |
자(字) | 중희(仲熙) |
호(號) | 춘수당(春睡堂) |
생년 | 1653(효종 4) |
졸년 | 1720(숙종 46)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청주(淸州) |
활동분야 | 문신 > 문신 |


[관련정보]
[상세내용]
곽만적(郭萬績)
1653년(효종 4)∼1720년(숙종 46).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중희(仲熙)이고, 호는 춘수당(春睡堂)이다. 본관은 청주(淸州)이고, 거주지는 한양(漢陽)이다.
증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곽희태(郭希泰)이고, 조부는 집의(執義) 곽지흠(郭之欽)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곽창징(郭昌徵)과 모친 도정(都正) 이초로(李楚老)의 딸 증정부인(贈貞夫人) 함평이씨(咸平李氏)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곽세적(郭世績)과 동생 곽필적(郭弼績)이 있다. 부인은 공조정랑(工曹正郞) 우창하(禹昌夏)의 딸 단양우씨(丹陽禹氏)이다.
1684년(숙종 10) 식년시 생원 2등 7위로 합격하였으며, 1699년(숙종 25) 증광시 갑과 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성공감봉사(繕工監奉事)‧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양성현감(陽城縣監)‧호조정랑(戶曹正郞)‧서흥현감(瑞興縣監)‧전적(典籍)‧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연안부사(延安府使)‧사헌부헌납(司憲府献納)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 43) 노론의 영수이자 좌의정이었던 이이명(李頤命)과 숙종이 독대를 하고난 후, 병약한 세자의 뒤를 연잉군(延礽君: 영조) 금(昑)으로 이을 것을 정하고 연잉군으로 하여금 세자 대리청정을 명하자 불가함을 수차례 간언하였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주장하는 인사들의 저지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가 당호를 ‘춘수당’이라 이름하고 글을 지으며 여생을 보냈다.
슬하에 3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곽진한(郭鎭漢)‧곽진기(郭鎭基)‧곽진정(郭鎭鼎)이다.
묘는 충청남도 공주(公州)에 있다.
증조부는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곽희태(郭希泰)이고, 조부는 집의(執義) 곽지흠(郭之欽)이다. 부친 통훈대부(通訓大夫)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곽창징(郭昌徵)과 모친 도정(都正) 이초로(李楚老)의 딸 증정부인(贈貞夫人) 함평이씨(咸平李氏) 사이에서 3남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 곽세적(郭世績)과 동생 곽필적(郭弼績)이 있다. 부인은 공조정랑(工曹正郞) 우창하(禹昌夏)의 딸 단양우씨(丹陽禹氏)이다.
1684년(숙종 10) 식년시 생원 2등 7위로 합격하였으며, 1699년(숙종 25) 증광시 갑과 3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제용감직장(濟用監直長)‧성공감봉사(繕工監奉事)‧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양성현감(陽城縣監)‧호조정랑(戶曹正郞)‧서흥현감(瑞興縣監)‧전적(典籍)‧사간원정언(司諫院正言)‧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시강원사서(侍講院司書)‧연안부사(延安府使)‧사헌부헌납(司憲府献納) 등을 역임하였다.
1717년(숙종 43) 노론의 영수이자 좌의정이었던 이이명(李頤命)과 숙종이 독대를 하고난 후, 병약한 세자의 뒤를 연잉군(延礽君: 영조) 금(昑)으로 이을 것을 정하고 연잉군으로 하여금 세자 대리청정을 명하자 불가함을 수차례 간언하였다. 그러나 대리청정을 주장하는 인사들의 저지로 관직에서 물러난 후 고향으로 돌아가 당호를 ‘춘수당’이라 이름하고 글을 지으며 여생을 보냈다.
슬하에 3남 4녀를 두었는데, 아들은 곽진한(郭鎭漢)‧곽진기(郭鎭基)‧곽진정(郭鎭鼎)이다.
묘는 충청남도 공주(公州)에 있다.
[참고문헌]
國朝文科榜目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西堂私載
CD-ROM 司馬榜目(韓國精神文化硏究院)
西堂私載
[집필자]
이원배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0-10-23 | 2010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