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신범화(申範華)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2E0BC94D654B1647X0
자(字)윤명(允明)
생년1647(인조 25)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평산(平山)
활동분야예술‧체육 > 화가

[상세내용]

신범화(申範華)
1647년(인조 25)∼미상.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윤명(允明). 신의화(申儀華)의 동생이다.

1675년(숙종 1)에 진사가 되고, 군수를 지냈으며 평릉군(平陵君)에 봉해졌다. 인물을 잘 그렸다고 전해진다. 유작으로는 「송하수면도(松下睡眠圖)」가 포함된 화첩과 부채그림으로 「여협도(女俠圖)」(국립중앙박물관 소장)가 알려져 있다. 「송하수면도」는 소나무 아래 바위에 팔을 괴고 잠자고 있는 선비를 그렸는데, 전체적으로 조선시대 중기에 유행하였던 절파화풍(浙派畵風)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허리가 긴 인물의 모습이나 번거로운듯하면서도 능란하게 처리된 옷주름과 소나무의 모습 등은 절파화풍의 대가였던 김명국(金明國)의 특징과 유사한 요소들로서 주목된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吳世昌, 啓明俱樂部, 1928)
韓國浙派畵風의 硏究(安輝濬, 美術資料 20, 國立中央博物館, 1977)

[집필자]

안휘준(安輝濬)
대표명신범화(申範華)
범화(範華)
봉호평릉군(平陵君)
성명신범화(申範華)

명 : "범화(範華)"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鞠廳日記v5是白齊再昨上變之後元老言于矣身曰渠曾問申範華曰宗室中何人四柱好耶範華言柟之四柱爲好云元老求見其四柱則範華亦覓給云蓋範華及元老皆能推命故也此外更無可達之言同倘有無謀逆節次專亦知不得是白置相考施行敎事○同日罪
鞠廳日記v5堅之同倘豈有愛惜之理乎此天下必無之理是白齊再昨上變之後元老言于矣身曰渠曾問申範華曰宗室中何人四柱好耶範華言柟之四柱爲好云元老求見其四柱則範華亦覓給云蓋範華及元老皆能推命故也此外更無可達之言同倘有無謀逆節次
鞠廳日記v5相語之際必嘗言及此事一一直招更加鉤問以啓○鞫廳啓曰吳挺昌及申範華之名出於元老前後招辭中而挺昌稱道許堅範華推筭柟命而已其兇謀則無預知之語今姑不爲請拿之意敢啓
鞠廳日記v5乙數而申範華亦解星曜數是白如乎矣身曾往範華家則諸人八字積成卷軸而柟之四柱亦在其中矣身問之則曰此命何如範華曰此命格局平順乃是好命云云矣身取來其四柱以太乙數推見而旣問許堅不道之言故凶終與否欲爲推見則別無凶終之
鞠廳日記v5亦知不得是白乎旀許堅拿來後渠若有同倘則堅必吐實若有與矣身識面及往來者是如爲白去等請被誣罔之律是白齊中範華推命一款段矣身曾學太乙數而申範華亦解星曜數是白如乎矣身曾往範華家則諸人八字積成卷軸而柟之四柱亦在其中
鞠廳日記v5之後元老言于矣身曰渠曾問申範華曰宗室中何人四柱好耶範華言柟之四柱爲好云元老求見其四柱則範華亦覓給云蓋範華及元老皆能推命故也此外更無可達之言同倘有無謀逆節次專亦知不得是白置相考施行敎事○同日罪人鄭元老更推白
大事編年v15時鞫庭元老又告申範華實與堅同心謀逆錫胄席藁闕外上疏卞範華之冤大意以爲範華之與知謀逆皆由渠之指使於是範華白脫初錄勳時範夏入於別單中至是錫胄上箚請以別單中申範華
大事編年v15時鞫庭元老又告申範華實與堅同心謀逆錫胄席藁闕外上疏卞範華之冤大意以爲範華之與知謀逆皆由渠之指使於是範華白脫初錄勳時範夏入於別單中至是錫胄上箚請以別單中申範華金益勳李師命追錄勳上許之仍命追勘左議政閔鼎重右
大事編年v15時鞫庭元老又告申範華實與堅同心謀逆錫胄席藁闕外上疏卞範華之冤大意以爲範華之與知謀逆皆由渠之指使於是範華白脫初錄勳時範夏入於別單中至是錫胄上箚請以別單中申範華金益勳李師命追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