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륙(朴稑)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2BC15B959FFFFU9999X0 |
자(字) | 성지(成之) |
생년 | ?(미상) |
졸년 | ?(미상)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고령(高靈) |
활동분야 | 문신 |

부 | 박문간(朴文幹) |

[관련정보]
[상세내용]
박륙(朴稑)
생졸년 미상. 조선 중기 문신. 자는 성지(成之)이다. 본관은 고령(高靈)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증조부는 박진언(朴眞言)이고, 조부는 현감(縣監) 박인효(朴仁孝)이며, 부친은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박문간(朴文幹)이다. 외조부는 박린(朴璘)이고, 처부는 윤상로(尹商老)이다. 형으로 현감(縣監) 박진(朴稹)이 있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에서 진사 3등 26위로 합격하였고, 1511년(중종 6) 별시에서 3등 1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병조정랑(兵曹正郞)‧지평(持平)‧장령(掌令)‧충주목사(忠州牧使)‧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호조참의(戶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
1516년(중종 11)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모범을 보이기 위해 임금이 직접 경작하는 동적전(東籍田)의 경작을 백성들에게 억지로 떠맡겨서 농사짓게 하는 일은 옳지 않다는 말을 아뢰었다. 1522년(중종 17) 장령에 제수되었을 때 사헌부(司憲府)로부터 경망스러운 인품으로 인해 대간(臺諫)이 되기에 부족하다는 평을 받아 장령에서 체직되었다. 1524년(중종 19) 안동부사(安東府使)로 제수되었을 때 대간(臺諫)으로부터 아랫사람을 진압할 자질이 못 된다며 탄핵을 받았으나 파직되지 않았다. 1529년(중종 24) 충주목사 시절 공정하지 못한 재판을 하는 일이 많다 하여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파직되지 않았다. 같은 해에 계속된 대간의 요청으로 결국 파직되었다. 1536년(중종 31) 광주목사 시절 공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아랫사람들한테 맡겨서 아전들로 하여금 간악한 짓을 하게 만들고 관청의 창고에 있는 재물을 탕진하여 백성들의 원망을 들었던 일로 파직되었다.
증조부는 박진언(朴眞言)이고, 조부는 현감(縣監) 박인효(朴仁孝)이며, 부친은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박문간(朴文幹)이다. 외조부는 박린(朴璘)이고, 처부는 윤상로(尹商老)이다. 형으로 현감(縣監) 박진(朴稹)이 있다.
1504년(연산군 10) 식년시에서 진사 3등 26위로 합격하였고, 1511년(중종 6) 별시에서 3등 12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관직은 병조정랑(兵曹正郞)‧지평(持平)‧장령(掌令)‧충주목사(忠州牧使)‧장례원판결사(掌隷院判決事)‧호조참의(戶曹參議) 등을 역임하였다.
1516년(중종 11)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모범을 보이기 위해 임금이 직접 경작하는 동적전(東籍田)의 경작을 백성들에게 억지로 떠맡겨서 농사짓게 하는 일은 옳지 않다는 말을 아뢰었다. 1522년(중종 17) 장령에 제수되었을 때 사헌부(司憲府)로부터 경망스러운 인품으로 인해 대간(臺諫)이 되기에 부족하다는 평을 받아 장령에서 체직되었다. 1524년(중종 19) 안동부사(安東府使)로 제수되었을 때 대간(臺諫)으로부터 아랫사람을 진압할 자질이 못 된다며 탄핵을 받았으나 파직되지 않았다. 1529년(중종 24) 충주목사 시절 공정하지 못한 재판을 하는 일이 많다 하여 사헌부로부터 탄핵을 받았으나 파직되지 않았다. 같은 해에 계속된 대간의 요청으로 결국 파직되었다. 1536년(중종 31) 광주목사 시절 공무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아랫사람들한테 맡겨서 아전들로 하여금 간악한 짓을 하게 만들고 관청의 창고에 있는 재물을 탕진하여 백성들의 원망을 들었던 일로 파직되었다.
[참고문헌]
CD-ROM 司馬榜目
國朝文科榜目
中宗實錄
國朝文科榜目
中宗實錄
[집필자]
이은영
수정일 | 수정내역 |
---|---|
2011-10-31 | 2011년도 국가DB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