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조익명(趙翼命)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870C775BA85B1677X0
자(字)사필(士弼)
생년1677(숙종 3)
졸년1744(영조 20)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양(豊壤)
활동분야문신 > 문신
조기수(趙祺壽)

[상세내용]

조익명(趙翼命)
1677년(숙종 3)∼1744년(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사필(士弼). 직장(直長) 조기수(趙祺壽)의 아들이다.

1705년(숙종 31) 진사가 되고, 그해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였다.

1709년 정언을 거쳐 지평이 되어 왜구의 침입에 대비, 해안방어를 강화하기 위하여 연변수령(沿邊守令)은 무신으로 할 것과 변장(邊將)들에게 늠료(廩料: 官費로 쓸 財貨)를 넉넉하게 지급하여 방군수포(放軍收布: 身布를 받고 軍役을 면제하여 줌.)의 폐를 막도록 상소하였다.

1711년 문학, 1714년 정언, 이듬해 사서를 거쳐 1716년 다시 지평이 되었다.

이때 『가례원류(家禮源流)』의 서문에 윤증(尹拯)을 비난한 권상하(權尙夏)를 통렬하게 비판하였다.

1720년 경종 즉위 후에는 잠시 이조좌랑에 재직한 것을 제외하고 4년 동안 지평정언수찬부교리헌납 등 주로 삼사의 언관(言官)을 역임하고 1724년(경종 4)에는 사간에 올랐다.

이해 영조가 즉위하자 노론 4대신의 옥사(獄事)때 삼사의 언관직에 있으면서 이를 제지하지 못한 책임을 지고 대사간 유명응(兪明凝), 정언 유엄(柳儼), 부제학 박필몽(朴弼夢), 응교 조최수(趙最壽), 부수찬 신치운(申致雲), 교리 윤용(尹容) 등과 함께 파직당하였다.

1727년(영조 3) 좌의정 홍치중(洪致中)의 변호로 복직되어 보덕(輔德)이 되었으며, 1729년 윤순(尹淳)권일형(權一衡)과 같이 동지사(冬至使)청나라에 다녀와 대사간이 되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英祖實錄
備邊司謄錄
國朝榜目

[집필자]

문수홍(文守弘)
대표명조익명(趙翼命)
익명(翼命)
성명조익명(趙翼命)

명 : "익명(翼命)"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辛壬紀年提要v6曰進修堂入侍臣陳李健命不可容貸之狀夬下莅斬之命健命罪目視兩凶不無多少分數之別尙許莅斬兩凶斬屍其可不從翼命始煒明誼幷云云上良久無發落一鏡曰更望亟允勿煩一鏡曰何至此不從乎臣誠惶恐更請允從勿煩承旨朴熙晉啓私親追
閔文忠公奏議v1洪瑞鳳此擬而瑞鳳之勳庸茂著爲國藎臣已在於其舅柳夢寅被誅之前則其與翼命之事太不襯着矣或以爲逆柟伏法之時翼命年幼必不與知凶謀至有陳達筵席者云噫使翼命年長而與知凶謀則自有王法何論淸塗之通塞耶若以年幼而自同平人則
閔文忠公奏議v1近事言之許積死於緣坐比柟堅有間而其甥申厚載猶坐此久廢累年之後復通承宣之望此豈非今日之所當監者耶今之右翼命者輒以故相臣洪瑞鳳此擬而瑞鳳之勳庸茂著爲國藎臣已在於其舅柳夢寅被誅之前則其與翼命之事太不襯着矣或以爲
閔文忠公奏議v1日之所當監者耶今之右翼命者輒以故相臣洪瑞鳳此擬而瑞鳳之勳庸茂著爲國藎臣已在於其舅柳夢寅被誅之前則其與翼命之事太不襯着矣或以爲逆柟伏法之時翼命年幼必不與知凶謀至有陳達筵席者云噫使翼命年長而與知凶謀則自有王法
閔文忠公奏議v1其舅柳夢寅被誅之前則其與翼命之事太不襯着矣或以爲逆柟伏法之時翼命年幼必不與知凶謀至有陳達筵席者云噫使翼命年長而與知凶謀則自有王法何論淸塗之通塞耶若以年幼而自同平人則緣坐被謫之律又何以竝及耄悼耶此等說話不成
閔文忠公奏議v1據實引咎之言反爲欺誣天聽之歸使臣平日言行若能見孚於人則此言奚爲而至哉臣之反躬慙悼矢心自廢者此也而今因翼命之疏又承未安之敎尤何敢一刻晏然於職次乎臣性本巽懦前後被人詆斥未嘗呶呶爭辨而此事關係至重誠不忍黨逆族而
閔文忠公奏議v1怨詈隗協之意今翼命之疏世路睢盱入朝見嫉等語顯欲歸之於黨議其氣象何其與王導迥然不侔也臣於當初回薦時不知翼命之有此累而誤許之及見臺疏不敢仍爲文過遂非之計實不料據實引咎之言反爲欺誣天聽之歸使臣平日言行若能見孚於
閔文忠公奏議v1林累者實古今不易之定規其間或有大義滅親如石碏王導者則時君世主察其忠悃任用如故此則千百年曠有之事也今使翼命立朝多年忠勤彰聞則當此人才眇然之日雖淸班顯仕亦可許之乃於出身之初非有見焉而遽擬於參下極選豈不有乖於春
閔文忠公奏議v1此危道也臣常服膺玆訓而隹其不能早口爲逆甥以至喑無一言則由臣昏謬之致人詄之來實無以自解於是正言具萬理右翼命上疏以爲稱以名閥而初旣許之及觀命疏出而必欲擠之樂附黨伐之議雖自謂昏謬人孰信之上答以所論得宜公遂悶蹙不
閔文忠公奏議v1族詣臺待罪帝召見之導稽首曰逆臣賊子何代無之不意今者近出臣族其辭氣之間謹愼遜順如此未嘗有怨詈隗協之意今翼命之疏世路睢盱入朝見嫉等語顯欲歸之於黨議其氣象何其與王導迥然不侔也臣於當初回薦時不知翼命之有此累而誤許
閔文忠公奏議v1當此人才眇然之日雖淸班顯仕亦可許之乃於出身之初非有見焉而遽擬於參下極選豈不有乖於春秋嚴討逆之義哉設令翼命眞王導也而日後逆族登科者輒援此爲例卽擬極選無少拘礙致令逆賊至親昵侍吾君作一應行之常典則臣未知此果安道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