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조(李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870FFFFB1666X0
자(字)자시(子始)
호(號)학산(鶴山)
생년1666(현종 7)
졸년1726(영조 2)
시대조선중기
본관전주(全州)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한익(李漢翊)
조부이훤(李藼)

[상세내용]

이조(李肇)
1666년(현종 7)∼1726년(영조 2).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시(子始), 호는 학산(鶴山). 이훤(李藼)의 손자이며, 이한익(李漢翊)의 아들이다.

1696년(숙종 22)에 정시문과에 을과로 급제, 검열전랑(銓郞)을 거쳐 호당(湖堂)에 뽑혀 들어갔고, 홍문관예문관대제학과 4도의 관찰사를 역임하였는데, 청렴결백하다는 소문이 높았다.

1721년(경종 1)에 왕세제를 대리청정하게 하자는 의론이 일어나자, 형조판서로서 정청(庭請)에 참여하여 대리청정의 교(敎)를 거두어줄 것을 주청하였다.

1725년(영조 1) 경상도 밀양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景宗修正實錄
國朝榜目
號譜

[집필자]

이원균(李源鈞)
대표명이조(李肇)
조(肇)
성명이조(李肇)
자시(子始)
학산(鶴山)

명 : "조(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公眼自在v6弛矣彼盤據銓地者不有成命肇與世最珙密生奸計始以一二人塞責擬望開政之際使珙隱伏不參詐以不相通議巧爲擊去之倥侗闒茸本不似人冒居首銓恣行凶臆再昨特推辭旨切峻而堇以數人備擬至於承宣之望則在京當擬之人無端拔去非
辛壬紀年提要v2以火熱升降爲敎臨御周年酬應萬機俯答疏章委曲周盡少無礙滯何至今始爲發作耶伏願前後備忘一竝還收尙游曰云云曰入診以無形顯之證爲敎酬應萬機一無礙無疾可知自有此事每加一層殿下只爲釋負諉於稍重之地而有若因循奉行者
辛壬紀年提要v3鞫問而正法乎泰耇曰檀之言是矣閹豎逆節彰著臣等請鞫猶似輕緩直加處斬宜矣配夏曰不可一刻留置卽爲處斬台佐演仁復等幷請亟允泰億曰臣與台佐入直闕中卽爲請對未承下敎仍達曙而今同入矣奄豎之罪快正王法檀曰宮闕事非外人
辛壬紀年提要v3儒曰殿下何顏入拜孝寧殿乎一鏡曰今日群下之請終無發落聖心所存不敢仰揣若復諄諄發詔洞然則群下抑菀庶可少解曰諸臣力請如此摘發正法下敎何如上似有發落之言泰耇曰云云上曰摘發正法可也泰耇曰小臣當與諸宮官慰安王世弟
辛壬紀年提要v3四更五點玉體未寧速賜處分鋧曰此事只兩端若曰凶節已著則或可正法若曰體例可遵則嚴刑得情錫恒曰刑鞫獄體當矣曰嚴刑取服乎上曰嚴刑取服可也錫恒曰有道亦當嚴刑矣上曰唯仁復曰姑罷乎仍爲乎錫恒曰待堂上備員開坐好矣上曰
辛壬紀年提要v3逆招事關宮闈惡逆尤著特加處分明正其罪鋧曰逆節旣著可以正法弼夢曰正刑之請誠失當兩司爭執揆以法例斷不如是曰此獄究竟不亦難乎敢與東宮角立漸至不道之境何可擅斷上久無發落錫恒曰末世淆薄自上明辨痛斥國人疑釋獄體亦
辛壬紀年提要v6退爲期夫允宜矣勿煩一鏡進曰云云錫恒三啓鋧曰云云一鏡再啓光佐曰云云錫恒四啓演曰云云勿煩錫恒五啓一鏡三啓曰云云錫恒六啓一鏡四啓配夏曰云云就明曰左承旨任舜元來詣使之入來上曰唯一鏡五啓曰殿下若於健命逆狀有所晦
大事編年v24鞫問而正法乎泰耉曰檀之言是矣奄豎逆節彰著臣等請鞫猶似輕緩直加處斬宜矣配夏曰不可一刻留置卽爲處斬台佐漢仁復等幷請亟允泰億曰臣與台佐入直闕中卽爲請對未承下敎仍達曙而今同入矣奄豎之罪夬正王法檀曰宮闕事非外人
大事編年v24泣眞儒曰殿下何顔入拜孝寧殿乎一鏡曰今日群下之請終無發落聖心所存不敢仰揣若復發詔洞然則群下抑鬱庶可少解曰諸臣力請如此摘發正法下敎何如上似有發落之言泰耉曰云云上曰摘發正法可也泰耉曰小臣當與諸宮官慰安王世弟
大事編年v24逆招事關宮闈惡逆尤著特加處分明正其罪鋧曰逆節旣著可以正法弼夢曰正刑之請誠失當兩司爭執揆以法例斷不如是曰此獄究竟不亦難乎敢與東宮角立漸至不道之境何可擅斷上久無發落錫恒曰末世淆薄自工明卞國人釋疑獄體亦正今
大事編年v24今已夜深玉體未寧速賜處分鋧曰此事只兩端若曰凶節已著則或可正法若曰體例可遵則嚴刑得情鍚恒曰刑鞫獄體當矣曰嚴刑取服乎上曰嚴刑取服可也鍚恒曰有道亦當嚴刑矣上曰唯仁復曰姑罷乎仍爲乎鍚恒曰待堂上備員開坐好矣上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