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임수간(任守幹)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84C218AC04B1665X0
자(字)용여(用汝)
호(號)둔와(遯窩)
생년1665(현종 6)
졸년1722(경종 2)
시대조선중기
본관풍천(豊川)
활동분야문신 > 문신
임상원(任相元)
저서『둔와유집』

[상세내용]

임수간(任守幹)
1665년(현종 6)∼1721년(경종 1).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용여(用汝), 호는 둔와(遯窩).

우참찬 임상원(任相元)의 아들이다.

1690년(숙종 16) 생원시에 합격하였고, 1694년 알성문과에 병과로 급제, 곧 설서가 되었고, 정언을 거쳐 1699년 이만성(李晩成) 등 8인과 함께 홍문록(弘文錄)에 올랐다.

그뒤 수찬교리정언부수찬 등을 번갈아 역임하다가 1703년 당쟁의 폐단과 시정(時政)의 득실을 논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자 일시 향리에 은거하였다. 곧 재기용되어 지평이 되었고, 1707년 사직으로 문신중시(文臣重試)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그뒤 이조좌랑 겸 문학‧교리수찬 등을 역임하다가 1709년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하였다. 다음해에 통신부사가 되어 일본에 파견되었으나 대마도주의 간계에 속아 투옥, 파직되었다.

1720년에 재기용되어 승지에 올랐다.

그는 경사(經史)에 밝았으며 음률(音律)‧상수(象數)‧병법(兵法)‧지리 등에도 해박하였다고 한다.

저서로 『둔와유집』이 있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景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典故大方

[집필자]

이문기(李文基)

명 : "수간(守幹)"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斷爛v2罷職不敍事新啓臣朝者詣臺卽請承旨史官將欲傳啓則同副承旨任守幹稱以引嫌陳疏不爲來接累次往復終不回聽若使守幹與諸承旨同罪則初不當隨牌入直旣已應命在直則不可不出來接臺而今乃晏然承牌入來偃然在院不動此何道理此何擧
斷爛v2心所在與重遇無異者明若觀火而今守幹獨以爲指意自別不可退却顯有主張扶植之意人心之陷溺一至於此尙何言哉且守幹始旣爲凶疏左袒力主捧入則於其捧入之日雖不仕進此宜與仕進承旨同其罪特臣未知其情不及竝論耳在守幹之道惟當
斷爛v2臺閣力戰公議者尤可見其縱恣無忌之甚也此輩之經營排布出沒和應乘我大喪思眩聖聰改頭換面分隊角戰其計已完矣守幹之心卽行進潝之心也行進潝之心卽重遇之心也守幹何不自爲而惟以主張捧入爲自巧色耶其亦可哀也已雖然臣初不知
斷爛v2乞遞臣職仍治帶職下鄕之罪事入啓○掌令任泂啓曰臣昨以同副承旨任守幹偃然在直不爲接待之罪論其請推矣卽伏見守幹疏本則以儒疏捧入相議停當首實引嫌而乃敢曰此與重遇指意自別不可無端退却末又別出一節曰憲臣之啓何其不斟量
斷爛v2何言哉且守幹始旣爲凶疏左袒力主捧入則於其捧入之日雖不仕進此宜與仕進承旨同其罪特臣未知其情不及竝論耳在守幹之道惟當縮伏俟罪之不暇何敢揚揚入闕陳疏自列乎自卞猶不敢況敢反噬言者於臺啓方張之日乎其所謂太無忌憚者正
斷爛v2者指誰而發也身旣同入於臺彈而反噬論己之臺諫者非御下而何不待臺啓之末梢而先欲熒惑而沮遏者非蔽上而何此正守幹罪目而今乃反加臣身其輕視臺閣力戰公議者尤可見其縱恣無忌之甚也此輩之經營排布出沒和應乘我大喪思眩聖聰改
斷爛v2駭痛惋之至夫兩凶疏措語臣未得見無由詳知而見其大槪可知其凶黨嘗試之計耳其心所在與重遇無異者明若觀火而今守幹獨以爲指意自別不可退却顯有主張扶植之意人心之陷溺一至於此尙何言哉且守幹始旣爲凶疏左袒力主捧入則於其捧
斷爛v2直廬終不出接致令臺官自書入啓事之可駭莫此爲甚而且疏中御下蔽上等語極其巧憯顯有和應邪論眩惑天聽之計苟使守幹少有一分畏法之心其何敢蔑公議輕臺閣至此之極乎其縱恣無嚴之習決不可不徵請任守幹罷職不敍引嫌而退當初論劾
斷爛v2以喉院之不有成命連捧凶疏請罷伊日仕進承旨而同副承旨任守幹嘗以酬酢停當於捧入之議則雖不仕進而其罪等耳在守幹之道惟當首實俟勘之不暇而乃敢晏然承牌肆然投疏反詈臺閣無少忌憚及夫傳啓之際偃臥直廬終不出接致令臺官自書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