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여(李畬){2}

[요약정보]

UCIG002+AKS-KHF_12C774C5ECFFFFB1645X0
자(字)자삼(子三)
자(字)치보(治甫)
호(號)포음(浦陰)
호(號)수곡(睡谷)
시호(諡號)문경(文敬)
생년1645(인조 23)
졸년1718(숙종 44)
시대조선중기
본관덕수(德水)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신하(李紳夏)
조부이식(李植)
외조부신후완(辛後完)

[상세내용]

이여(李畬)
1645년(인조 23)∼1718년(숙종 44).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자삼(子三) 또는 치보(治甫), 호는 포음(浦陰) 또는 수곡(睡谷).

이조판서 이식(李植)의 손자로, 시정(寺正) 이신하(李紳夏)의 아들이며, 모친은 신후완(辛後完)의 딸이다.

1662년(현종 3)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680년(숙종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로 급제하여 검열이 되었고, 다음해에 홍문록(弘文錄)에 등재되고 정자가 되었다. 이어서 독서당(讀書堂)에 들어갔고, 박사수찬을 거쳐 1683년 암행어사강원도에 파견되었다.

이후 헌납이조좌랑이조정랑부응교집의사간 등을 역임하고, 1685년 승지에 발탁되었다. 이어 부제학대사성이조참의대사간 등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다.

1694년 중궁복위 및 갑술환국에 적극 참여하여 형조참판에 발탁되었고, 다음해 도승지를 거쳐 이조참판이 되었는데, 이때 재해로 인한 농촌피폐에 대한 수습책을 상소하였다.

이어서 공조참판한성판윤대사헌좌참찬대제학예조판서이조판서판의금부사 등을 거쳐 1702년 좌의정이 되었고, 곧 영의정에 승배(陞拜)되었다.

도성수축 및 과거제문란 등을 둘러싸고 최석문(崔錫文)과 대립하다가 패배하여 1707년 판중추부사에 임명되자 여주에 은거하였다. 왕이 사관(史官)‧승지 등을 계속 보내어 불렀으나 끝까지 응하지 않고 죽었다.

약관(弱冠)부터 문명이 높았다고 하며, 재직중에는 농정(農政)‧재해(災害)‧진민(賑民) 등에 대한 소를 자주 올렸다.

또, 평소 당론(黨論)의 화를 걱정하였고, 과격하지 않았으며, 재상의 지위에 올랐으나 몸가짐을 조심하여 거처가 누추하였다고 한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榜目
燃藜室記述
淸選考

[이미지]

[집필자]

주웅영(朱雄英)

명 : "여(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公眼自在v1達有若不究其虛實情僞惟以專事忽擾偶然不察欲置而不論是於臣尤不勝痛心竦骨○領議政崔錫鼎箚略曰得見判府事書啓擧臣榻前陳達之事不勝痛心竦骨云云謀害四字問事二人之招皆以爲未聞且有不好底事等語則其時事狀之虛實據
公眼自在v1栻箚陳斯文是非仍斥權尙夏請罷職上皆從之副校理洪啓迪疏救之上斥之判府事李畬左議政金昌集等迭陳救疏上不從等皆出城待罪大司諫李世最司諫李廷濟正言金始爀持平洪禹行等合辭請罷李畬等職上允之館學生李著定等疏論擬書
三官記v1金鎭圭上疏言國典女子淫行外不許離異今若輕許必有後弊上更令該曹稟處卒不得離異當是議以爲決不可不離者李相外如權遂庵鄭丈巖澔金農巖昌協也以爲不可輕許國典所無之事者金公鎭圭閔公鎭厚也泰英招辭全歸咎於正基前妻之
野乘v19難則今此處分終未知如何也李敏英曰四年之間不能為就服之道而今日徑先酌處非但事軆苟艱其為後獘有不可勝言矣曰臣待罪金吾經年未决有此酌處之教臣罪至此尤重以獄軆言之就服後㝎律方為得當矣尹弘离曰罪囚情狀萬死無惜而
野乘v19比他罪囚雖云略有輕重而此固五十步百步之間矣小臣以先為勘断之意仰達者若先處道徴則其餘他囚自有可處之道矣曰道徴雖諱其同情旣以換封自服則與他罪人似當為一律矣上曰法文無顯著當律矣左相曰常時科塲所犯律至充軍而此
野乘v19十八日大臣備局堂上引見時左相李世白所啓判義禁李畬以科獄酌處更問于两大臣而来使之先為陳達何如上曰依為之曰臣謹奉日昨下教酌處可否徃問于两大臣則領議政徐文重以為科獄罪犯旣無律文取服後生殺惟在自上裁處而至於未
野乘v19収殺之道不可苟且了當姑待取服後處断方合獄軆矣上曰大臣之言亦有意見予之夲意亦如此而今之事勢不可不酌處矣曰徒配乃是平例罪律也科塲用奸例皆充軍矣左相曰今此罪人不可以充軍之律偱例處之矣上曰然則永作其地之民可矣
野乘v20是非大㝎如此之人不可謂之先正凡我子孫監執勿撓惟此大處分固由於畬之一事而一邉之人終不敢斥論於畬之身上者之平日持論平淡不至慘刻故也
野乘v20以爲士夫親切間力所及處則相濟相救不是事極其平讞使之白脫矣及至丙申肅庙於懷尼事以為父師輕重顕有抑楊之意於上䟽中齎呈辛酉擬書擬書中多有譏誣之語肅庙伊時下批不提尼山事未㡬下教曰今觀擬書是非大㝎如此之人不可謂
野乘v20肅庙伊時下批不提尼山事未㡬下教曰今觀擬書是非大㝎如此之人不可謂之先正凡我子孫監執勿撓惟此大處分固由於之一事而一邉之人終不敢斥論於畬之身上者畬之平日持論平淡不至慘刻故也
大事編年v22絶之後擬書之藁終身不出口不道其人之長短則其處義者至矣以此謂之背師是可忍也反覆窮思未見其毫髮可疑則未知之意指何事爲不能明白以何言爲惡言相加乎其箚又曰豈有一字文前後之間其人賢否判作天淵之理乎若曰拯之所見本
大事編年v22人賢否判作天淵之理乎若曰拯之所見本自如此則旣往之父事者何心又欲必得一言之重以爲其親不朽之圖者何意不特言如此搆毀之徒每曰四十年從遊曾無一言違拂墓文前後其人賢否何據頓變云誠極可笑厥後時烈雖在荐棘中目下言行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