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홍수주(洪受疇)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D64DC218C8FCB1642X0
자(字)구언(九言)
호(號)호곡(壺谷)
생년1642(인조 20)
졸년1704(숙종 30)
시대조선중기
본관남양(南陽[唐])
활동분야예술‧체육 > 화가
홍처윤(洪處尹)

[상세내용]

홍수주(洪受疇)
1642년(인조 20)∼1704년(숙종 30).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관찰사 홍처윤(洪處尹)의 아들이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 등을 거쳐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1695년 동지사행(冬至使行)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매화‧대나무‧포도를 잘 그렸는데, 특히 포도가 뛰어났으며 글씨는 전서(篆書)를 잘 썼다. 그의 포도그림은 대개 나뭇가지가 위에서 아래로 둥그스름하게 휘어져내린 도수식 구도(倒垂式構圖)로 농담묵(濃淡墨)을 써 잎과 열매를 그리는 화법으로 그렸는데 입체감과 변화감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도(墨梅圖)」(1704)와 「묵포도도(墨葡萄圖)」, 간송미술관 소장의 「포도도」 등이 전한다. 그 중 「묵매도」는 횡관식(橫貫式)과 S자식 구도를 혼용하면서 다절노간(多節老幹)과 인준한지(鱗皴寒枝)를 비백법(飛白法)으로 힘차게 묘사하고 있으며, 「묵포도도」는 도수식 구도에 포도알과 잎을 농담묵으로 무성하고 번잡하게 그렸다. 이러한 「묵포도도」의 전통은 조선 후기 최석환(崔奭煥) 등에게로 계승되었다.

문집으로 『호은집』을 남겼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28)

[집필자]

허영환(許英桓)
대표명홍수주(洪受疇)
수주(受疇)
성명홍수주(洪受疇)
구언(九言)
호곡(壺谷)

성명 : "홍수주(洪受疇)"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8洪受疇
紀年便攷v28洪受疇䖏尹子受瀗従弟字九言號壺谷顕宗己酉進士肅宗壬戌登增廣歷三司知申畿伯官止吏参乙丑以掌令䟽救尹拯䏻詩甞到
俟百錄v4啓曰前掌令洪受疇本以負累之人敢生媒榮之計乃者投呈一疏而拈出故相臣張維謾錄中語游辭抑揚恣意牽合乃敢誣及於文成公李珥至引
俟百錄v4不徵則不但邪說者無所顧忌其爲世道之變爲如何哉殿下旣已洞燭其情狀而尙無懲惡之典人心拂菀公議愈激請前掌令洪受疇削黜
俟百錄v4答曰洪受疇誣辱先賢之罪實關世道之大變則身居言議之地者意有執法之論姑此遲待而人心陷溺義理晦塞無一人慷慨論事者心常
俟百錄v4傳曰昨日臺枇批中洪受疇旣曰極邊遠竄則該府何敢以十日程康津縣定爲配所乎殊甚可駭禁府堂上郞廳幷從重推考當日內押送配所以慶興付標
俟百錄v4伏以云云日者洪受疇之竄逐誠出於惡浮薄喜事之習而不專由於尊賢衛道之意也然而受疇之言憑藉前人而未必出於誣辱之心矣極邊之律無
俟百錄v4批旨不許領相金壽恒又爲陳達始命移配洪受疇於道內稍近邑
國朝捷錄v01通經傳善屬文善山水蒲萄槩玄孫父進士命和趙之耘縣令梅窓善翎毛梅涑子曺世傑浿洲善山水卞良善虎鄭敬欽善人物洪受疇善蒲萄洪得龜子德縣令倉谷善山水命憂孫申翊聖外孫金鎭圭善山水人物金昌業善山水尹斗緖孝彦進士恭齋各體又善
錦營公案兼巡察使 洪受疇 通政丙子三月二十七日政以左副承旨除授五月初六日到
郯述v01正使禮判李世白副戶曹參議洪受疇書狀持平崔啓翁
郯述v01正使禮曹判書李世白副使戶參議洪受疇書狀持崔啓翁
文獻攷略v15○承旨洪受疇工葡萄兼工梅少女借人紅錦裳誤翻漿致汚憂悶罔措受疇曰勿憂也取作畫本以濃墨灑成一叢葡萄付象譯賣諸燕市果獲
冊禮都監都廳儀軌v1預差前府使洪受疇
冊禮都監都廳儀軌v1前府使洪受疇
冊禮都監都廳儀軌v1冊禮都監篆文書寫官以洪受疇
冊禮都監都廳儀軌v1敎命篆文行副護軍洪受疇旣已書寫草本封入以備
冊禮都監都廳儀軌v1敎命篆文今五月初三日行副護軍洪受疇書寫草本封入以備
冊禮都監都廳儀軌v1命下故更令洪受疇改寫一本封入之意敢
冊禮都監都廳儀軌v1上曰洪受疇下考蕩滌可也
張禧嬪喪葬謄錄n1-1책 辛巳十二月初二日 禧嬪父神主區處 一本曹參議洪受疇上疏伏以云云今此張氏所葬之山使之 極擇無論驛村人家
張禧嬪喪葬謄錄n1-1책曹稟 處焉事據曹啓目粘連啓卞是白有亦觀此禮曹參 議洪受疇上疏下款則張氏之父己巳以前作故已久則似 不當以其子
大事編年v17者無所顧忌其爲世道之變爲如何哉殿下旣以洞燭其情狀而尙無懲惡之典人心拂菀公議愈激請前掌令洪受疇削職答曰洪受疇誣辱先賢之罪實關世道之大變則身居言議之地者意謂有執法姑此遲待而人心陷溺義理晦塞無一人慷慨論事者心常痛
大事編年v17十月執義李宏掌令兪命一啓曰前掌令洪受疇本以負累之人敢生媒榮之計乃者投呈一疏而拈出故相臣張維謾錄中語游辭抑揚恣意牽合乃敢誣及於文成公李珥至引
大事編年v17不懲則非但邪說者無所顧忌其爲世道之變爲如何哉殿下旣以洞燭其情狀而尙無懲惡之典人心拂菀公議愈激請前掌令洪受疇削職答曰洪受疇誣辱先賢之罪實關世道之大變則身居言議之地者意謂有執法姑此遲待而人心陷溺義理晦塞無一人慷
大事編年v17則今此受疇疏中落髮等語實是一邊人之所未嘗發者乎此而若不嚴治將無以息邪說而正是非削出之罰未免罪重律輕也洪受疇極邊遠竄
大事編年v17父子亦相親如此所達實非出於偏係矣上曰予知卿款款之忠豈以爲偏係耶韓聖輔等對擧上疏故語有未妥處矣尙眞又曰洪受疇只引張維謾筆而反被誣賢之罪引用者被罪則記錄者當復如何渠以平生尊慕李珥之人豈有誣辱之心乎此亦甚冤矣上曰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