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수주(洪受疇)
[요약정보]
UCI | G002+AKS-KHF_13D64DC218C8FCB1642X0 |
자(字) | 구언(九言) |
호(號) | 호곡(壺谷) |
생년 | 1642(인조 20) |
졸년 | 1704(숙종 30) |
시대 | 조선중기 |
본관 | 남양(南陽[唐]) |
활동분야 | 예술‧체육 > 화가 |

부 | 홍처윤(洪處尹) |

[관련정보]
[상세내용]
홍수주(洪受疇)
1642년(인조 20)∼1704년(숙종 30). 조선 중기의 선비화가. 본관은 남양(南陽[唐]). 자는 구언(九言), 호는 호은(壺隱)‧호곡(壺谷). 관찰사 홍처윤(洪處尹)의 아들이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 등을 거쳐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1695년 동지사행(冬至使行)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매화‧대나무‧포도를 잘 그렸는데, 특히 포도가 뛰어났으며 글씨는 전서(篆書)를 잘 썼다. 그의 포도그림은 대개 나뭇가지가 위에서 아래로 둥그스름하게 휘어져내린 도수식 구도(倒垂式構圖)로 농담묵(濃淡墨)을 써 잎과 열매를 그리는 화법으로 그렸는데 입체감과 변화감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도(墨梅圖)」(1704)와 「묵포도도(墨葡萄圖)」, 간송미술관 소장의 「포도도」 등이 전한다. 그 중 「묵매도」는 횡관식(橫貫式)과 S자식 구도를 혼용하면서 다절노간(多節老幹)과 인준한지(鱗皴寒枝)를 비백법(飛白法)으로 힘차게 묘사하고 있으며, 「묵포도도」는 도수식 구도에 포도알과 잎을 농담묵으로 무성하고 번잡하게 그렸다. 이러한 「묵포도도」의 전통은 조선 후기 최석환(崔奭煥) 등에게로 계승되었다.
문집으로 『호은집』을 남겼다.
1682년(숙종 8) 문과에 급제하였고, 벼슬은 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간 등을 거쳐 예조참의에 이르렀다.
1695년 동지사행(冬至使行)의 부사로 중국에 다녀왔다.
매화‧대나무‧포도를 잘 그렸는데, 특히 포도가 뛰어났으며 글씨는 전서(篆書)를 잘 썼다. 그의 포도그림은 대개 나뭇가지가 위에서 아래로 둥그스름하게 휘어져내린 도수식 구도(倒垂式構圖)로 농담묵(濃淡墨)을 써 잎과 열매를 그리는 화법으로 그렸는데 입체감과 변화감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다.
유작으로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묵매도(墨梅圖)」(1704)와 「묵포도도(墨葡萄圖)」, 간송미술관 소장의 「포도도」 등이 전한다. 그 중 「묵매도」는 횡관식(橫貫式)과 S자식 구도를 혼용하면서 다절노간(多節老幹)과 인준한지(鱗皴寒枝)를 비백법(飛白法)으로 힘차게 묘사하고 있으며, 「묵포도도」는 도수식 구도에 포도알과 잎을 농담묵으로 무성하고 번잡하게 그렸다. 이러한 「묵포도도」의 전통은 조선 후기 최석환(崔奭煥) 등에게로 계승되었다.
문집으로 『호은집』을 남겼다.
[참고문헌]
槿域書畵徵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28)
韓國繪畵大觀(劉復烈, 文敎院, 1928)
[집필자]
허영환(許英桓)
명 : "수주(受疇)"에 대한 용례
수정일 | 수정내역 |
---|---|
2005-11-30 | 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