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오시복(吳始復)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624C2DCBCF5B1637X0
자(字)중초(仲初)
호(號)휴곡(休谷)
생년1637(인조 15)
졸년?(미상)
시대조선중기
본관동복(同福)
활동분야문신 > 문신
오정규(吳挺奎)

[상세내용]

오시복(吳始復)
1637년(인조 15)∼미상.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동복(同福). 자는 중초(仲初), 호는 휴곡(休谷). 오정규(吳挺奎)의 아들이다.

1662년(현종 3)에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이어 수찬정언지평교리이조정랑사인 등을 거쳐 1675년(숙종 1) 승지이조참판개성유수를 역임하고, 강릉부사가 되었다가 부임 전에 허적(許積)에게 아첨하였다 하여 1680년 경신대출척 때 파직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이조참판에 이어 한성판윤호조판서가 되었다.

이때 그는 경비부족을 메우기 위해 각도, 각읍의 채은처(採銀處)를 호조에서 관장하여 수세하도록 하였고, 왜에 면포예급문제, 각 아문의 둔전경영문제를 해결하였다.

이듬해에는 이조판서 겸 수어사를, 이어 다시 호조판서가 되었으나 갑술옥사로 하옥, 유배되었으며, 1697년 풀려나와 우부빈객을 지냈다.

1701년 무고(巫蠱)의 옥사에 연루되어 대정현(大靜縣: 지금의 제주도)에 안치되었는데, 1712년 함평강진 등지로 이배되었다가 이듬해에 영해부(寧海府: 지금의 경상북도 영덕군)에 이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그는 특히 글씨에 능하였고, 뒤에 신원되었다.

[참고문헌]

顯宗實錄
顯宗改修實錄
肅宗實錄
國朝榜目
淸選考
燃藜室記述

[집필자]

김갑주(金甲周)
대표명오시복(吳始復)
시복(始復)
성명오시복(吳始復)
중초(仲初)
휴곡(休谷)

명 : "시복(始復)"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震乘總v12凶亂之謀無不陰主以至今日閔彦良之招而與黯輩和應同事之迹透露無餘絶島吳始復遠竄○吳始復則知義禁金昌集言始復於成服之前旣已探問服制又有有聞來報之言其爲情節極涉叵測彦良之言雖不可盡信而其曰交結宦者每以饍物鷹連給
震乘總v12一向嚴刑終至於死則恐有乖於明愼矣上曰減死遠配院啓請絶島圍置不允○睦沈檀睦林一林一參判沈檀參判則院啓與始復聚會依幕謀議疏事之說出於彦良之招陰秘情節不啻狼藉請極邊遠竄○吳道一判書則院吳道一啓陞位上疏西人中吳道
野乘v27處為批一邊人莫不雀躍而生心善類摧沮莫窺上卽允之羣㐫由是氣喪及咀呪事發 上特賜張氏死李東彥始發鳳徴島配始復拿訇之啓仍為合啓請南尹柳諸大臣罪論者以為東彥諸啓固可謂敢言之士而但如鴻毛順風萬萬不及季鴻之一啓云季鴻
大事編年v15差官行到寧海則田畓百結顯有隱漏之跡推問邑則監司子李沃作牌於監色使之不錄云而仍納牌子及其發覺之後沃抵書始復哀乞諱其言於厥父前縣監閔忠亮賈衿川田畓於閔汝錬厥後汝錬欲還推惹起訟端本文記方在刑曹而沃稱以自已賈得任
大事編年v15狀於敬差官威不敢悉擧災數以報必致民葬故願以此意通報於敬差官臣果書告始復以寧府給災之意然倘非平生故人之始復雖爲民公言豈煩札牘乎所謂牌子未能詳記而雖果有之不過使本府官吏知此通囑敬差官之意爲國恤民之事反爲罪累雖
大事編年v15不能其母一語及其被囚納供乃復改稱命天與養嫂妹家嗇於財利而未能承須其母李沃則又以命天性行不美聞於吳始復始復拱內極言浡三變其說又陳命天云云只此一款足爲命天自伸至冤之明驗且李浡拱中命天縊殺車龍云云取考刑曹文案車
大事編年v15理曲者加之考訊則彼當世之汲汲擬議於館職之長者又安其不更飽楚毒於桁楊之下哉臣之所以不令對卞者非有所厚於始復實爲沃浡地實念朝家所以待士夫不宜太薄至此也至於殷山事謂之傳播已久者蓋亦有由東龍雖騃甚然得業儒事甚兄東
大事編年v15意朝出圓局夕擬銀臺之望乎於是判義禁金錫胄疏略曰大臣論臣至謂不嚴無法臣不勝慨然駭歎李浡援吳始復爲言根而始復上章及置對各有明據非如沃悖之虛搆强捏只欲害人者此不待覿面鬪觜而後始快者也浡沃無稽之言旣欠酌證命天不孝
大事編年v15營中寧海守曹挺宇素與相知本府甚被災狀於敬差官威不敢悉擧災數以報必致民葬故願以此意通報於敬差官臣果書告始復以寧府給災之意然倘非平生故人之始復雖爲民公言豈煩札牘乎所謂牌子未能詳記而雖果有之不過使本府官吏知此通
大事編年v19疏待罪更不得窮問而宗道之子彦良承服正刑希載彦良等大臣以下就禁府鞫之吳始復使趙姓宦者探問張氏服制於內間始復不能諱配濟州沈檀睦林一則鳳徵陳疏時相與往復之故竝遠竄皆出於諸罪人之招故也上自業同獄後已爐凶徒之情狀及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