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구만(南九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AD6CB9CCB1629X0
자(字)운로(雲路)
호(號)미재(美齋)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629(인조 7)
졸년1711(숙종 37)
시대조선중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일성(南一星)
저서『약천집』
저서『주역참동계주(周易參同契註)』

[상세내용]

남구만(南九萬)
1629년(인조 7)∼1711년(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또는 미재(美齋).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부친은 현령 남일성(南一星)이다. 송준길(宋浚吉)의 문하에서 수학,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바로 교리에 임명되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 이어 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662년에는 영남에 어사로 나가 진휼사업을 벌였다.

1674년 함경도관찰사로서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경 수비를 튼튼히 하였다. 숙종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좌윤이 되었으며, 같은해 윤휴(尹鑴)허견(許堅) 등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부제학대사간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과 1683년 두 차례 대제학에 올랐다. 병조판서가 되어 폐한 사군(四郡)을 다시 설치할 것을 주장하여 무창(茂昌)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軍政)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하였다.

1684년에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 1687년 영의정에 올랐다. 이즈음 송시열(宋時烈)의 훈척비호를 공격하는 소장파를 주도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영의정에 기용되고, 169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에 대하여 중형을 주장하는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숙종희빈 장씨의 사사를 결정하자 사직, 낙향하였다.

그뒤 부처(付處)‧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서용되었으나, 1707년 관직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당시 정치운영의 중심인물로서 정치‧경제‧형정‧군정‧인재등용‧의례(儀禮) 등 국정전반에 걸쳐 경륜을 폈을 뿐만 아니라 문장에 뛰어나 책문(冊文)‧반교문(頒敎文)‧묘지명 등을 많이 썼다.

또한, 국내외 기행문과 우리 역사에 대한 고증도 남기고 있다. 서화에도 뛰어났으며,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숙종 묘정(廟庭)에 배향, 강릉신석서원(申石書院), 종성(鐘城)종산서원(鐘山書院), 무산(茂山)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약천집』『주역참동계주(周易參同契註)』가 전한다. 글씨로는 좌상남지비(左相南智碑), 찬성장현광비(贊成張顯光碑), 개심사(開心寺)양화루(兩花樓)영송루(迎送樓)의 액자를 남겼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槿域書畵徵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유승주(柳承宙)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