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남구만(南九萬)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B0A8AD6CB9CCB1629X0
자(字)운로(雲路)
호(號)미재(美齋)
시호(諡號)문충(文忠)
생년1629(인조 7)
졸년1711(숙종 37)
시대조선중기
본관의령(宜寧)
활동분야문신 > 문신
남일성(南一星)
저서『약천집』
저서『주역참동계주(周易參同契註)』

[상세내용]

남구만(南九萬)
1629년(인조 7)∼1711년(숙종 37).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자는 운로(雲路), 호는 약천(藥泉) 또는 미재(美齋).

개국공신 남재(南在)의 후손으로 부친은 현령 남일성(南一星)이다. 송준길(宋浚吉)의 문하에서 수학, 1651년(효종 2) 진사시에 합격하고, 1656년 별시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가주서전적사서문학을 거쳐 이듬해 정언이 되었다.

1659년 홍문록에 오르고 바로 교리에 임명되었다.

1660년(현종 1) 이조정랑, 이어 집의응교사인승지대사간이조참의대사성을 거쳐, 1668년 안변부사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662년에는 영남에 어사로 나가 진휼사업을 벌였다.

1674년 함경도관찰사로서 유학(儒學)을 진흥시키고 변경 수비를 튼튼히 하였다. 숙종초 대사성형조판서를 거쳐 1679년(숙종 5) 좌윤이 되었으며, 같은해 윤휴(尹鑴)허견(許堅) 등의 방자함을 탄핵하다가 남해(南海)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경신대출척(庚申大黜陟)으로 남인이 실각하자 도승지부제학대사간 등을 역임하였으며, 1680년과 1683년 두 차례 대제학에 올랐다. 병조판서가 되어 폐한 사군(四郡)을 다시 설치할 것을 주장하여 무창(茂昌)자성(慈城) 2군을 설치했으며, 군정(軍政)의 어지러움을 많이 개선하였다.

1684년에 우의정, 이듬해 좌의정, 1687년 영의정에 올랐다. 이즈음 송시열(宋時烈)의 훈척비호를 공격하는 소장파를 주도하여 소론(少論)의 영수로 지목되었다.

1689년 기사환국으로 남인이 득세하자 강릉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났다.

1694년 갑술옥사(甲戌獄事)로 다시 영의정에 기용되고, 1696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701년 희빈 장씨(禧嬪張氏)의 처벌에 대하여 중형을 주장하는 김춘택(金春澤)한중혁(韓重爀) 등 노론의 주장에 맞서 경형(輕刑)을 주장하다가 숙종희빈 장씨의 사사를 결정하자 사직, 낙향하였다.

그뒤 부처(付處)‧파직 등 파란을 겪다가 다시 서용되었으나, 1707년 관직에서 물러나 봉조하(奉朝賀)가 되었다가 기로소에 들어갔다. 당시 정치운영의 중심인물로서 정치‧경제‧형정‧군정‧인재등용‧의례(儀禮) 등 국정전반에 걸쳐 경륜을 폈을 뿐만 아니라 문장에 뛰어나 책문(冊文)‧반교문(頒敎文)‧묘지명 등을 많이 썼다.

또한, 국내외 기행문과 우리 역사에 대한 고증도 남기고 있다. 서화에도 뛰어났으며,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가 『청구영언』에 전한다. 숙종 묘정(廟庭)에 배향, 강릉신석서원(申石書院), 종성(鐘城)종산서원(鐘山書院), 무산(茂山)향사(鄕祠) 등에 제향되었다.

저서로 『약천집』『주역참동계주(周易參同契註)』가 전한다. 글씨로는 좌상남지비(左相南智碑), 찬성장현광비(贊成張顯光碑), 개심사(開心寺)양화루(兩花樓)영송루(迎送樓)의 액자를 남겼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肅宗實錄
國朝人物考
燃藜室記述
國朝榜目
槿域書畵徵
朝鮮金石總覽

[집필자]

유승주(柳承宙)

명 : "구만(九萬)"에 대한 용례

전거용례
紀年便攷v26每田一結秋収米七斗春収米六斗摠計本道田結十九萬八百五十五結除復戶二萬一千八十四結則實結為十六萬九千七百七十一結每結収十三斗為十四萬七千一百三十四石
紀年便攷v26上命敗船罪人權時談依事目䲷示九萬䟽曰弑逆元惡也禦人大憝也未甞不取服行法豈可以元惡大憝不施之律施之於此罪哉又引范仲淹救鼂仲約事僃陳古人
紀年便攷v27九萬上䟽曰故清風府院君金佑明妾之弟卽前校理正字評堅妻也府院君之妾有興堅相詰事徃堅家為堅所政至於折齒號哭還
紀年便攷v27同宗懻忮者命宗府覈出全平君漷主其事坐不卽覈命下吏鞫問世采因此不安出城待罪領議政南九萬右議政呂聖齊請對九萬奏曰朴世采方出城待罪臣窃以為聖明䖏分過常至於提調未嘗有宗親除拜之䂓物情之朱安有所以也且殿下未有儲嗣當
紀年便攷v27應先於酒家乘其醉窃其號牌其意欲先禍申汝哲去其兵権仍為網打西人之計而李弘渤義徵子實主其謀云弘渤受刑而斃九萬尙運䓁請對曰自古巫蠱獄必欲窮治其禍終至於難言梁武帝時昭明太子母丁嬪墓有埋蠟鵝者将窮其事尙書傼射徐勉苦
紀年便攷v28軆國誠深惟奉法憂時力瘁自㤀身之句辛巳有㤪者請竄配牙山少有清名而晩怵禍福緩討希載而貸死出於經法之外雖慕九萬者莫不疑焉及有丁酉七月事建儲而人始以為不可及名入茟苑辛卯卒年八十三謚文忠配享肅宗廟庭清議以得罪於仁顯
國朝人物志v3南九萬言先朝待楨柟過厚不得其終爲鑑上盛怒聖齊繼進曰首相辭不達意非有他上以聖齊九萬合辭救解竄聖齊九萬又命荐棘到配四朔同釋己巳拜領議政辭遞歸楊江時黨人誣惑上聽黜
國朝人物志v3等通宮禁謀復位閔黯等方鞫治而會上黜黯等召用舊臣或言此輩黯等所欲殺何必爲世充建德報仇九萬曰金淸城庚申事雖曰有功本非所宜爲私逕一開覆轍相尋不痛防之國必亡上疏言鞫其虛實夬正王誅然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