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치검색 표제어 전체
검색
이유장(李惟樟)

[요약정보]

UCIG002+AKS-KHF_13C774C720C7A5B1625X0
자(字)하경(夏卿)
호(號)마애(磨崖)
호(號)나암(懶庵)
호(號)우원(芋園)
호(號)우포(芋圃)
호(號)사익당(四益堂)
생년1625(인조 3)
졸년1701(숙종 27)
시대조선중기
본관예안(禮安)
활동분야문신 > 문신
이정발(李廷發)
조부이진(李珍)
출신지안동부(安東府) 풍현(豊縣)
묘소경상북도 안동(安東) 풍산현(豊山縣)
묘소용감동(龍甘洞)

[상세내용]

이유장(李惟樟)
1625년(인조 3)∼1701년(숙종 27). 조선 중기의 문신. 본관은 예안(禮安)(주1)
본관
본인의 사마방목을 참고하여 본관을 전의(全義)에서 예안(禮安)으로 수정함.
. 자는 하경(夏卿), 호는 마애(磨崖)나암(懶庵)우원(芋園)우포(芋圃)사익당(四益堂).

조부는 주부(主簿) 이진(李珍)이고, 부친은 통덕랑(通德郞) 이정발(李廷發)이다. 안동부(安東府) 풍현(豊縣)에서 태어났다. 1657년(효종 8) 재재(在齋) 이휘일(李徽逸)이 내방(來訪)하여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 등을 강론하고 수창(酬昌)했다.

1660년(현종 1) 경자식년사마시(庚子式年司馬試)에 진사(進士) 3등으로 합격하였다. 1667년(현종 8)에 대도솔촌(大兜率村)에 우거(寓居)하였다. 1689년(숙종 15)에 대신(大臣)이 행고학우(行高學優) 천이독실(踐履篤實)로 천거하였다. 6품계에 올라 와서별제(瓦署別提)공조좌랑(工曹佐郞)으로 제수되었으나 모두 나가지 않았다.

1669년(현종 10)에 모친상을 당한 후, 두문불출하였다. 이후 강학(講學)에 전면하면서 『주역(周易)』『춘추전(春秋傳)』 등에 깊은 관심을 가졌고, 특히 주자(朱子)퇴계(退溪) 선생의 예설(禮說)을 절충하여 독자적인 이론 체계를 구축하였다. 한편 이론을 분류, 수편(手編)하여 「이선생예설(二先生禮說)」을 만들었고, 우리나라 역사책을 산절(删節)하고 요약 한 뒤에 자기의 의견을 곁들어 『동사절요(東史節要)』를 만들었다. 1691년(숙종 17)에 안음현감(安陰縣監)으로 제수되었으나 연한이 지났다는 이유로 사양하였다. 그 해 겨울 익위사익찬(翊衛司翊贊)으로 제수되었지만 입직(入直)한지 7일만에 하향(下鄕)하였다.

1694년(숙종 20) 이조판서(吏曹判書) 이현일(李玄逸)이 하향(下鄕)하면서 이유장영남(嶺南)의 노성(老成)한 숙덕(宿德)으로 천거했다. 1701년(숙종 27) 5월 14일에 사망하였다. 묘는 경상북도 안동(安東) 풍산현(豊山縣) 북쪽 현공산(懸空山) 용감동(龍甘洞)에 있다. 1729년(영조 5) 동향(同鄕)의 인사들이 안동낙빈정사(洛濱精舍)을 세워 향사하였다. 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남아있는 문집으로 『고산집(孤山集)』이 있는데, 이유장의 증손 이홍진(李弘辰)이 간행하였고, 원집(原集) 8권, 부록(附錄) 2권으로 모두 5책으로 구성되어있다.

[참고문헌]

韓國文集叢刊解題
孤山集

[집필자]

김영진
수정일수정내역
2005-11-302005년도 지식정보자원관리사업 산출물로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2010-03-14규장각 소장 경자식년사마방목을 참고하여 본관을 전의(全義)에서 예안(禮安)으로 함. 개인문집 고산집을 참고하여 호 고산(孤山) 추가.